이화여자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이화여자대학교

통합검색
nav bar
 

이화여자대학교 소식

EWHA NEWS

본교, 제16회 한국대학랭킹포럼 성황리 개최
본교, 제16회 한국대학랭킹포럼 성황리 개최 THE·QS 등 글로벌 기관 한자리에…AI 기반 대학경쟁력 강화 모색 본교는 11월 20일(목) 교내 LG컨벤션홀에서 ‘제16회 한국대학랭킹포럼(University Ranking Forum of Korea, URFK)’을 개최했다. 한국대학랭킹포럼은 국내외 대학 평가 지표와 방법론을 논의하기 위해 매년 개최되는 행사이다. 올해 포럼은 본교가 주관하고 한국대학랭킹포럼이 주최했으며,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국내외 대학평가기관과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대학평가의 변화 방향과 미래 고등교육의 경쟁력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포럼에는 세계 주요 대학평가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 QS(Quacquarelli Symonds), 상하이랭킹, 라이덴랭킹 등의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또한 세계 최대 학술 출판사인 엘스비어(Elsevier)와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aSSIST)를 비롯한 국내외 연구성과 분석 전문가들도 참여해 연구 영향력 측정, 대학의 사회적 가치, AI 기반 데이터 분석 등 최신 이슈를 다각도로 조명했다. (왼쪽부터) 서의호 한국대학랭킹포럼 회장, 이향숙 총장, 조동성 aSSIST대학 교수 이향숙 총장은 환영사를 통해 “이화여대는 학문 분야와 AI 활용 역량을 연결하는 통합형 AI 교육 생태계를 구축하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개편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혁신과 포용, 협력을 바탕으로 AI 시대 고등교육의 미래 모델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진 기조강연에서는 상하이랭킹 컨설턴시의 쉬 양(Xue Yang) 수석 컨설턴트, THE의 필 배티(Phil Baty) 글로벌 업무 최고 책임자, QS의 벤 소터(Ben Sowter) 수석 부사장 등이 연사로 나서 AI 기술이 글로벌 평가체계와 A대학 순위 산정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했다. 오후 세션에서는 미래 대학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들이 보다 심도있게 논의되었다. THE의 실비아 키(Sylvia Kee) 한국지역 디렉터는 THE 지표에서 나타나는 한국 대학들의 강점과 국제화, 평판, 연구 영향력 제고 과제를 제시했으며, 앤더스 칼손(Anders Karlsson) 엘스비어 부사장은 연구 우수성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영향까지 확장하는 ‘4세대 대학’ 모델을 소개했다. 이 밖에도 QS·WURI 등 다양한 평가체계에 대한 대학의 대응 방안이 공유되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AI 기술을 활용한 연구성과 분석, 국제협력, 영향력 기반 평가 등 미래 대학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2026년 창립 140주년을 앞둔 이화여대는 이번 포럼을 통해 국내 대학과 글로벌 평가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AI 기반 고등교육 혁신과 대학평가의 미래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장을 마련했다.
AI 시대 학생 역량 강화를 위한 ‘2026 학부 전공 교과과정 개편’ 시행
AI 시대 학생 역량 강화를 위한 ‘2026 학부 전공 교과과정 개편’ 시행 교무처(처장 신동희)는 미래 AI시대를 선도하고자 추진 중인 ‘AI 4 All Ewha(AI4AE)’의 일환으로 ‘2026학년도 학부 전공 교과과정 개편’을 진행했다. 본교는 ‘새 시대 새 이화’ 발전계획의 핵심 전략목표인 ‘AI 시대를 대비하는 고등교육 대전환’의 실현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으며, 교무처는 모든 학생이 AI 기본 소양을 갖추고 전공과 융합하여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과과정 개편을 통하여 미래형 AI 교육 생태계 조성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번 교과과정 개편에는 13개 단과대학, 36개 전공이 참여하여 총 55개의 교과목이 새롭게 개편 또는 개발되었으며, 각 전공의 학문적 특성과 교육 목표를 반영한 AI 연계·융합형 교과목이 다수 도입되었다. 특히, 자연과학 및 공학계열뿐 아니라 인문, 예체능 계열을 두루 망라한 ‘AI+전공’형 교과목이 다수 개발되어 학생들이 전공의 특성과 AI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배울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본교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미래 교육 혁신을 선도하는 대학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전공별로 필요한 AI 사고력과 디지털 실천 역량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과과정 개편을 통하여 학생들은 AI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실천적 역량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AI와 각 전공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교육 모델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신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AI를 활용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신규 개발 AI 교과목] 대학 학과/전공 교과목명 인문과학대학 철학과 인공지능,디지털기술과윤리 영어영문학부 AI의언어,인간의언어 사회과학대학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AI활용브랜드콘텐츠기획과제작 딥러닝기반방송프로그램분석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수학으로배우는인공지능원리 통계학과 통계인공지능 화학·나노과학과 화학인공지능기초 공과대학 식품생명공학과 식품공학의AI응용 화공신소재공학과 화공신소재데이터베이스인공지능프로그래밍 건축도시시스템공학과 AI와스마트도시시스템 휴먼기계바이오공학과 AI및기계바이오공학을위한수학 조형예술대학 산업디자인전공 AI-경험디자인 사범대학 초등교육과 초등교육과AI 교육공학과 인공지능과인적자원개발 사회교육전공 인공지능과현대사회 AI기반환경경제교육 국어교육과 인공지능시대의한국어교육 화학교육전공 AI기반첨단화학기술특론 경영대학 경영학부 인공지능과경영최적화 신산업융합대학 융합콘텐츠학과 AI시대의콘텐츠실험워크샵 의류산업학과 패션과AI 융합보건학과 AI와디지털헬스 AI와디지털헬스실습(캡스톤디자인) 약학대학 약학전공/미래산업약학전공 AI융합대사와질병네트워크 스크랜튼대학 글로벌한국학전공 Quantitative Methods and AI for Area Studies 인공지능대학 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수학 교무처는 이번 전공 교과과정 개편에 이어 2026학년도에는 학생들이 필요한 강좌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는 ‘자기설계 모듈 교과목’에 AI 모듈 강좌 19개를 추가 신설하고, ‘AI 마이크로전공’ 도입, ‘AI 명사 특강’ 및 ‘AI 공모전’ 운영 등 폭넓은 프로그램을 통해 AI4AE 프로그램을 이어간다. AI 교육과정 강화를 위한 본교의 노력은 향후 2028 전공 교과과정 개편 및 학부 교양 교과과정 개편으로도 이어질 예정이다. 본교는 이번 교과과정 개편을 통해 학생들이 전공 분야에 필요한 AI 사고력과 디지털 실천 역량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AI를 기반으로 사회 문제 해결과 미래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 융합 인재 양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READ MORE

Notice & Event Information

11월의 행사

MORE

이화여자대학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EWHA SNS

  • Instagram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