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이화여자대학교

통합검색
nav bar
 

이화여자대학교 소식

EWHA NEWS

본교, 서울시여성가족재단과 성평등 사회 실현과 아동돌봄 협력위한 업무협약 체결
본교, 서울시여성가족재단과 성평등 사회 실현과 아동돌봄 협력위한 업무협약 체결 대학-지역 연계 돌봄·폭력예방·여성 경력개발 활성화 ‘맞손’ 본교는 10월 1일(수) 본관 접견실에서 서울시여성가족재단과 성평등 사회 실현과 아동돌봄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 대학-아동돌봄 협력 체계 구축 △ 대학 내 폭력 예방·대응 체계 구축 △ 여성 경력개발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교는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추진하는 ‘우리동네 키움센터’ 등과 함께 대학-아동돌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찾아가는 폭력예방교육 지원과 서울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폭력 예방에 앞장선다. 또한 여성의 IT 분야 진입과 경력 지속을 위한 교육·행사·캠페인 협력 등 다양한 공동사업을 발굴·추진하며, 여성 IT 경력개발 활성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본교와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의 협력을 통해 돌봄 품질 향상과 성평등 가치 확산, 청년세대의 적극적 참여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왼쪽부터) 본교 안동인 기획처부처장(기획), 하은희 이화글로벌사회공헌원장, 박정수 연구·대외부총장, 이향숙 총장,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박정숙 대표이사, 최자은 양성평등사업실장, 문기현 폭력예방대응통합센터장, 김민정 양성평등협력사업팀장 협약식에는 이향숙 총장과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박정숙 대표이사를 비롯해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아동돌봄과 폭력예방, 여성 경력개발 활성화라는 주요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학-공공기관 협력 모델의 방향성과 실천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향숙 총장은 “이번 협약은 단순한 기관 간 협력을 넘어 성평등 사회 실현을 향한 두 기관의 확고한 의지를 확인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저출생·고령화·디지털 성범죄 등 우리 사회가 직면한 복합적인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연구와 정책 실천, 또 교육 현장과 시민사회가 긴밀히 연결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여성학·사회복지학·교육학 등 여성과 가족 관련 분야의 경쟁력을 갖춘 이화의 교육 전문성과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의 우먼테크 교육, 초등 돌봄 프로젝트, 폭력 예방 활동 등 다양한 사업에서 협력해 좋은 결실을 맺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숙 대표이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대학과 지역이 함께 돌봄과 안전이라는 중요한 과제를 해결해 나가길 기대한다”며, “특히 대학생들이 아동돌봄과 폭력예방 활동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청년이 중심이 되는 지역 안전망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본교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대학의 교육·연구 역량과 사회적 자원을 지역사회와 연결해 아동돌봄, 폭력 예방, 여성 경력개발 등 사회적 과제 해결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성평등과 안전, 돌봄의 가치를 확산하고, 지역사회와 대학이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적 모델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교 연구팀, 간호사 업무량 실시간 측정 시스템 개발
본교 연구팀, 간호사 업무량 실시간 측정 시스템 개발 간호학·전자전기공학 융합연구 성과, SCIE 학술지 게재 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핵심 도구로써 간호 인력 관리 혁신 기대 본교 간호대학과 공과대학 연구팀이 간호사의 업무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실시간 위치정보 기반 간호업무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의학·공학·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술지를 출판하는 세계적 출판사 Wiley에서 발행하는 최우수 국제 저널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간호 분야 상위 3.1%)>에 게재되며 주목받았다. 전 세계적으로 간호 인력 부족은 보건의료의 심각한 과제로 꼽힌다. 한국 역시 간호사 1인당 환자 수가 OECD 평균의 2~5배에 달해 업무 과중이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간호사의 업무량을 과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 방법은 부족했다. 관리자 확인이나 자기 보고식의 기존 조사 방식은 관찰자 편향, 기억 오류 등의 한계가 있어 정확한 인력 배치 근거로 활용하기 어려웠다. 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전공 박형곤 교수(제1저자)와 간호대학 강윤희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은 병동 내 간호사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데이터 생성 장치(비콘) ▲간호사 단말기(스마트폰 앱)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 4개 모듈로 구성된다. 병실, 복도, 치료실, 약제 준비실 등 주요 공간에 설치된 비콘이 신호를 전송하면, 간호사 스마트폰이 이를 수집해 서버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간호사의 실시간 위치 측정을 위한 비콘 설치 병동도면 | 설치된 비콘 병동 도면 기반 비콘 부착 위치 확인 모습 | 비콘과 개발한 앱이 설치된 스마트워치 및 스마트폰 | 실시간 위치 수집 앱 화면과 기록된 위치 정보 화면 시스템 검증 실험 결과, 비콘 12~15개와 스마트폰 1대 조합에서 최대 97.5% 인식률을 기록하며 높은 정확성을 입증했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이동 경로, 소요 시간, 업무 거리 등을 객관적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연구는 간호업무량 측정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는 빅데이터와 AI 분석을 접목해 간호사 배치의 과학화를 이끌 전망이다. 연구팀은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병원 유형·부서·근무 교대별 간호업무 예측 모델을 개발해, 최적의 인력 배치 및 정책 제안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간호사 이직률을 줄이고, 환자 안전과 치료 성과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윤희 교수는 “이번 시스템은 간호업무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최초의 기술적 접근”이라며, “향후 간호사 배치의 합리성을 높이고, 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핵심 도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강윤희 교수가 연구책임자로 수행하는 한국연구재단(NRF) 중견연구자사업 과제인 ‘AICBM(인공지능-사물인터넷-클라우드-빅데이터-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정보기반 의료기관 종별 간호업무량 예측모델 개발’ 및 박형곤 교수가 총괄연구책임자로 수행하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분산/협력 AI 기반 5G+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 및 제어 기술 개발’ 연구 결과의 일환으로, 2021년부터 공동으로 수행해 온 융합연구 성과이다. * 논문 바로 가기: https://doi.org/10.1155/jonm/2188150
READ MORE

Notice & Event Information

10월의 행사

MORE

이화여자대학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EWHA SNS

  • Instagram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