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정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미국 외교통상 전문가 웬디 커틀러 초청 특별 대담 개최
국제대학원(원장 Brendan Howe)은 4월 30일(수) ECC 이삼봉홀에서 웬디 커틀러(Wendy Cutler) 전 미국 무역대표부(USTR) 부대표를 초청해 ‘한미 경제 관계: 협력의 기회’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개최했다. 이번 특강은 본교와 미국 비영리단체 ‘태평양세기연구소(Pacific Century Institute; PCI)’가 주최하는 ‘윌리엄 페리(William J. Perry) 렉처’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향숙 총장, 브랜든 하우 국제대학원장을 비롯해 국제대학원 재학생 및 학부생, 교직원 및 외교통상, 학계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이향숙 총장은 환영사를 통해 “윌리엄 J. 페리 렉처는 매년 공공 서비스와 리더십에 헌신해 온 저명한 인사를 초청해 전문성과 경험, 통찰로부터 배우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며 감사를 전하고 “글로벌 여성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국제대학원의 ‘명사 초청 글로벌 강연 시리즈’의 일환으로 공동 주관되고 있는 특별한 강연에 여러분을 환영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이어 조영진 국제처장의 연사 소개가 이어졌다. 웬디 커틀러 전 USTR 부대표는 미국 외교통상 분야 최고 베테랑으로 꼽힌다. 1979년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국제관계학을 전공하고, 조지타운대학교에서 외교학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상무부와 무역대표부에서 외교관이자 협상가로 30여 년간 근무했다. 특히 2006~2007년 한미 FTA 협상 때 미국 측 수석대표로서 당시 김종훈 한국 수석대표와 극적인 협상을 이끌어내며 한국에도 강한 인상을 남겼다. 2015년부터는 미국과 아시아의 이해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국제기관 아시아소사이어티에 합류해 정책연구소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특강에서 웬디 커틀러 전 부대표는 본교 국제학과 손지애 초빙교수와 ‘한미 경제 관계: 협력의 기회(US-Korea Economic Relations: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를 주제로 대담을 나눴다. 웬디 커틀러 전 부대표는 한국과 미국의 무역 관계에서 나타나는 최신 동향과 향후 기회, 양국 간의 경제적 협력과 글로벌 경제 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에 관해 언급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과 관련해 “트럼프는 관세를 협상의 지렛대로 사용하면서도 동시에 재정 확보 수단으로 삼아 정책 간 충돌이 발생한다”고 지적하며 “한국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정한 90일 협상 대상국 중 하나로, LNG 및 조선 분야 협력 제안을 통해 성실한 자세로 임하고 있는 만큼, 협상을 위해서는 타이밍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무역협상가로서의 경험과 여성리더십에 대해 공유하고 “여성들은 더 많은 자신감을 가져야 하며, 네트워크 유지와 경청이 커리어에서 핵심”이라고 조언했다. 이날 행사는 국제대학원 재학생 및 학부생, 일반인들과 미국의 신뢰도, 무역적자의 정치적 해석, 한국 및 중국의 대응 전략 등 다양한 이슈에 대한 질의응답과 토론으로 마무리됐다. 본교는 미국 비영리단체 ‘태평양세기연구소’의 협력해 ‘윌리엄 페리(William J. Perry) 렉처’를 개최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미국 국방장관 및 대북정책조정관을 지낸 미국 외교정책 분야 원로 윌리엄 페리 전 장관의 이름을 따서 2016년 설립됐다. 본교는 재닛 나폴리타노 전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2021),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미국대사(2022), 미국 핵물리학자 지그프리드 헤커 박사(2023), 로버트 갈루치 미국 전 북핵 특사(2024) 등 다양한 인사들을 초청해 한반도 평화와 번영 증진을 위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이향숙 총장, ‘THE Asia Universities Summit’ 참여
한국과 대학의 과학 기술 발전 조망하는 특별 세션 연사로 참석 포용적 혁신으로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이화의 비전 밝혀 이향숙 총장은 영국의 세계 대학평가 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 초청을 받아 ‘THE 아시아 대학 서밋 2025(THE Asia Universities Summit 2025)’ 세션 발표자로 참석했다. 영국에 거점을 둔 세계 대학평가 기관인 THE는 전 세계 대학의 역량과 평판, 잠재력 등을 다각도로 평가해 고등 교육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또한 매년 세계 유수 대학과 교육 관계자들을 초청해 국제회의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향숙 총장은 본교 총장으로는 최초로 특별 세션 연사로 초청되어 발표를 진행했다. THE와 마카오과학기술대학교가 주관한 올해 행사는 ‘아시아의 부상: 과학, 기술 및 혁신의 변혁적 여정(Asia's rise: A transformative journey in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을 주제로 4월 21일(월)부터 23일(수)까지 마카오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는 과학·기술·혁신 선도를 통해 아시아가 세계의 중심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이끌어 가고 있는 주요 기관 100인의 연사들이 참여해 아시아의 경제 성장이 어떻게 역동적인 혁신 생태계를 만들어 낼 수 있었는지에 대해 논의했다. 이향숙 총장은 4월 23일(수) 오전 개최된 ‘선도적인 혁신: 한국과 대학의 과학 기술 발전에 대한 조명(Pioneering innovation: A spotlight on the role of South Korean universities in advancing science and technology)’ 세션의 연사를 맡아 경희대 김지상 총장, 한양대 이기정 총장과 함께 △우리 대학의 발전전략과 계획 △연구 수월성 강화, 대학-기업 간의 산학협력 방안 △국가 기술 발전 기여 사례 등을 공유하고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다른 대학들에게 적용 가능한 조언을 전했다. 본교는 ‘THE 세계대학 영향력평가’ 결과 ‘젠더평등(Gender Equality)’ 부문 4년 연속(2020-2023) 국내 대학 1위를 차지한 바 있으며,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재정 지원과 저소득층 학생 대상 학업 지원, 빈곤 구제를 위한 ‘지역사회 협업’ 부문, ‘빈곤 종식(No Poverty)’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홍콩과기대 낸시 입 총장과 이향숙 총장 | THE 관계자 미팅 한편 이향숙 총장은 4월 22일(화) 홍콩과기대 낸시 입 총장(Nancy Y. IP)을 비롯한 홍콩과기대 관계자를 만나 복수학위 과정 개설 등 대학 간 교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THE 관계자와의 미팅을 통해 THE 랭킹 지표 구성과 조정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등 네트워크 강화 및 전략적 국제교류 확대에 힘썼다.
READ MORE
Notice & Event Information
이화여자대학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EWHA SNS
Facebook
Instagram
Youtube
[슬로건 이벤트]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댓글로 남겨주세요! 정답을 맞춘 선착순 30명의 벗들에게 시~원한 음료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현재 이벤트 종료)
[Slogan Event] Leave a comment with the correct word to fill in the blank! The first 30 Ewha students to get it right will receive a refreshing beverage gifticon. (End of current event.)
#이벤트가왔어요 #쏘심플 #맞추는벗들에게스벅기프티콘을 #이번엔스피드업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대 #이대 #EWHA #UNIV
READ MORE
[신나는 이화사랑] 총장님이 쏜다!
대동제를 앞두고! 벗들을 응원하는 피자가 찾아옵니다!!
다음주 12(월), 13(화) 2일간 진행되는 신나는 이화사랑~ ECC 11번 출구 앞으로 다 모여랏!
#총장님이쏜다 #벗들_피자한조각해요 #행복한캠퍼스라이프를위하여 #도미노피자 #신나는이화사랑 #학생처 #학생지원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대 #이대 #EWHA #UNIV
READ MORE
‘이화’는 하나의 세계입니다. 수많은 최초의 순간이 모여 새로운 시간과 공간을 만들어낸 '이화'라는 이름의 세계. 이곳에는 넘지 못할 경계도 극복 하지 못할 한계도 없습니다. 그렇게 이화는 무한히 확장하며 끝없이 넓은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그대가 바라는 미래, 이화를 향해. Ewha, the future we create
게재: 2025. 2
READ MORE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