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희(朴善嬉) 교수
한국학과 /한국어교육학과 /글로벌한국학전공
박선희 교수는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연구와 국내·국외에서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사 양성에 힘을 써왔으며 2008년 1학기에 한국학과에 합류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제2언어 형태·통사 습득으로 다양한 언어권의 학습자들의 시제, 상, 양태 범주, 조사 습득과 이에 대한 교수 방안 등을 포함한다. 한국어 교수와 관련하여 미국 듀크대학교와 하와이대학교에서 특수 목적 한국어, 영어권 교포학습자들을 위한 교과 과정 및 자료 개발 작업을 해 왔으며, 국내·국외의 대학과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한국어 교수법, 한국어 문법 교육 등을 주제로 전문강사로도 활동한 바 있다. 연구물로는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 담화의 화시적 지시 맥락에 나타나는 ‘그’ 사용 오류 -모어로부터의 과잉투사(overprojection) 현상」, 「학습자의 근접발달영역 척도를 활용한 오류수정적 피드백 제공 방안」,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습득 연구」, 「동사연결 구성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성 인식 연구」, 「언어맥락적 상세화와 협동적 출력 과제를 통한 한국어 완료상 교수 방안 연구」, 「한국어 학습자의 명사구 격 표지 연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인식 연구」 등이 있다. 담당과목은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학, 한국어 문법교육론, 한국어 형태·통사론, 한국어 문법교육 세미나, 한국어 교수법 등이다.
-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장/언어교육원장
- 국제교육관 807호
- 02-3277-6673
연구실적
- Interaction between syntactic and information structure in the second language processing of Korean dative sentences Second Language Research, 2024, v.40 no.2, 197-219
- 체육 전공 대학생과 비체육 전공 대학생의 쓰기 능숙도 비교 연구 -어휘 다양성 및 통사적 복잡성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v.67 no.3, 165-180
- 체육 전공 대학생과 비체육 전공 대학생의 쓰기 비교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24, v.29 no.3, 161-171
- 학생선수의 국어사용능력에 대한 편견 경험 스포츠인류학연구, 2024, v.19 no.4, 273-291
-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의 주제 선정과 교재 적용 -경제․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023, v.19 no.2, 65-89
- Bilingual processing of case-marking and locative verbs in Korean: Use of L2-unique infor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ism, 2022
- 말뭉치 분석 기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었었-’ 사용 양상 연구 한국어교육, 2022, v.33 no.2, 31-57
- 제2언어 한국어 정보구조 습득 연구 -여격 구문의 생산과 실시간 처리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022, v.33 no.4, 71-89
- 체육 전공 대학생의 말하기에 나타난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인식 연구: 스포츠, 레저, 관광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22, v.27 no.4, 53-64
- 태국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연구 이중언어학, 2022, no.90, 93-121
- OHE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추측 표현 교수 방안 새국어교육, 2021, no.128, 179-208
- 과거 사태 지시 표현 유무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사용 이중언어학, 2021, no.84, 317-337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습득 연구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2021, v.18 no.2, 175-198
- 실시간 원격 수업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이중언어학, 2020, no.81, 59-99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을/를’, ‘이/가’ 교체 연구 - ‘-고 싶다’ 구문을 대상으로 언어과학, 2020, v.27 no.1, 1-26
- 제2언어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교체 습득 연구 - 장형부정문의 ‘이/가’와 ‘을/를’ 교체를 중심으로 언어사실과 관점, 2020, v.50, 261-285
- 발표 담화 평가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상 불일치 양상 연구 언어과학연구, 2019, v.90, 113-132
- 일본어 모어화자의 한국어 주격조사 습득 언어사실과 관점, 2019, v.48, 147~170
- 국외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한국어교육, 2018, v.29 no.3, 227~253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의문사 내포문 습득 연구: 동사 ‘듣다’, ‘궁금하다’를 중심으로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18, v.25 no.4, 227~245
-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동동사 구문에 나타나는 조사 대응 습득 연구 언어와 문화, 2018, v.14 no.3, 39~58
- A study on professor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real-time online Korean studies co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2017, v.12 no.17, 6946-6953
- L1 영어 한국어 학습자의 피사동주 주격 표시 연구 언어과학, 2017, v.24 no.3, 23~40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PROCESSING OF KOREAN LOCATIVE CONSTRUCTIONS BY CHINESE SPEAKERS ACTA KOREANA, 2017, v.20 no.2, 591-614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피사동주 격 표지 습득 양상 연구 언어와 문화, 2017, v.13 no.4, 35~58
- 제2언어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가’의 실현·비실현 습득 연구 언어과학, 2016, v.23 no.3, 91~110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이/가’와 ‘은/는’의 습득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016, v.39, 221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인식 연구 새국어교육, 2014, 99호, 261-282
- 한국어 타동성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중국인 학습자의 논항 구조 인식 연구 언어과학, 2014, 제21권 3호, 97-116
- 언어맥락적 상세화와 협동적 출력 과제를 통한 한국어 완료상 교수 방안 연구 언어와 문화, 2013, v.9 no.3, 141-169
- [학술지논문] Interaction between syntactic and information structure in the second language processing of Korean dative sentences SECOND LANGUAGE RESEARCH, 2024, v.40 no.2 , 197-219
- [학술지논문]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부정극어 ‘아무도’의 문법성 인식 한국언어문화학, 2024, v.21 no.4 , 39-61
- [학술지논문] Bilingual processing of case-marking and locative verbs in Korean: Use of L2-unique infor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ISM, 2023, v.27 no.5 , 586-602
- [학술지논문] Cross-linguistic influence in the second language processing of Korean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 constructions LINGUISTIC APPROACHES TO BILINGUALISM, 2022, v.12 no.5 , 687-713
- [학술지논문] 말뭉치 분석 기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었었-’ 사용 양상 연구 한국어교육, 2022, v.33 no.2 , 31-57
- [학술지논문] 제2언어 한국어 정보구조 습득 연구 -여격 구문의 생산과 실시간 처리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022, v.33 no.4 , 71-89
- [학술지논문] 태국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연구 이중언어학, 2022, v.90 no.0 , 93-121
- [학술지논문] OHE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추측 표현 교수 방안 새국어교육, 2021, v.0 no.128 , 179-208
- [학술지논문] Resetting parameters in Chinese speakers’ acquisition of Korean wh-phrase with [±Q] feature Linguistic Research, 2021, v.38 no.0 , 53-75
- [학술지논문] 과거 사태 지시 표현 유무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사용 이중언어학, 2021, v.84 no.0 , 317-337
- [학술지논문] 실시간 원격 수업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이중언어학, 2020, v.81 no.0 , 59-99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자연을 담은 한국어 읽기 초급 교사용 참고서 문화콘텐츠잼(주), 2024, 55
- [저역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경제‧사회를 담은 한국어 읽기 초급 문화콘텐츠잼(주), 2024, 99
- [저역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문화를 담은 한국어 읽기 초급 문화콘텐츠잼(주), 2024, 103
- [저역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문화를 담은 한국어 읽기 초급 교사용 참고 문화콘텐츠잼(주), 2024, 59
- [저역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생활을 담은 한국어 읽기 초급 문화콘텐츠잼(주), 2024, 97
- [저역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생활을 담은 한국어 읽기 초급 교사용 참고 문화콘텐츠잼(주), 2024, 57
- [저역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역사를 담은 한국어 읽기 초급 문화콘텐츠잼(주), 2024, 99
- [저역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역사를 담은 한국어 읽기 초급 교사용 참고 문화콘텐츠잼(주), 2024, 57
- [저역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자연을 담은 한국어 읽기 초급 문화콘텐츠잼(주), 2024, 97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경제•사회를 담은 한국어 읽기 1 문화콘텐츠잼, 2022, 85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경제•사회를 담은 한국어 읽기 2 문화콘텐츠잼, 2022, 81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경제•사회를 담은 한국어 읽기 3 문화콘텐츠잼, 2022, 83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경제•사회를 담은 한국어 읽기 4 문화콘텐츠잼, 2022, 85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경제•사회를 담은 한국어 읽기 5 문화콘텐츠잼, 2022, 83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경제•사회를 담은 한국어 읽기 교사용 참고서 문화콘텐츠잼, 2022, 167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문화를 담은 한국어 읽기 1 문화콘텐츠잼, 2022, 85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문화를 담은 한국어 읽기 2 문화콘텐츠잼, 2022, 83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문화를 담은 한국어 읽기 3 문화콘텐츠잼, 2022, 85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문화를 담은 한국어 읽기 4 문화콘텐츠잼, 2022, 85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문화를 담은 한국어 읽기 5 문화콘텐츠잼, 2022, 85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문화를 담은 한국어 읽기 교사용 참고서 문화콘텐츠잼, 2022, 165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생활을 담은 한국어 읽기 1 문화콘텐츠잼, 2022, 81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생활을 담은 한국어 읽기 2 문화콘텐츠잼, 2022, 81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생활을 담은 한국어 읽기 3 문화콘텐츠잼, 2022, 81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생활을 담은 한국어 읽기 4 문화콘텐츠잼, 2022, 81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생활을 담은 한국어 읽기 5 문화콘텐츠잼, 2022, 81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생활을 담은 한국어 읽기 교사용 참고서 문화콘텐츠잼, 2022, 167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역사를 담은 한국어 읽기 1 문화콘텐츠잼, 2022, 83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역사를 담은 한국어 읽기 2 문화콘텐츠잼, 2022, 83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역사를 담은 한국어 읽기 3 문화콘텐츠잼, 2022, 85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역사를 담은 한국어 읽기 4 문화콘텐츠잼, 2022, 83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역사를 담은 한국어 읽기 5 문화콘텐츠잼, 2022, 85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역사를 담은 한국어 읽기 교사용 참고서 문화콘텐츠잼, 2022, 169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자연을 담은 한국어 읽기 1 문화콘텐츠잼, 2022, 81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자연을 담은 한국어 읽기 2 문화콘텐츠잼, 2022, 81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자연을 담은 한국어 읽기 3 문화콘텐츠잼, 2022, 81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자연을 담은 한국어 읽기 4 문화콘텐츠잼, 2022, 81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자연을 담은 한국어 읽기 5 문화콘텐츠잼, 2022, 81
- [저역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자연을 담은 한국어 읽기 교사용 참고서 문화콘텐츠잼, 2022, 161
- [저역서] 해외 초중등 한국어B1 교사용 익힘책 국제한국어교육재단, 2022, 101
- [저역서] 해외 초중등 한국어B1 교사용 지침서 국제한국어교육재단, 2022, 193
- [저역서] 손에 잡히는 한국어 교육학개론 하우, 2021, 388
- [저역서]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5 Se-Ed, 2021, 361
- [저역서]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6 Se-Ed, 2021, 361
- [저역서]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4 Se-Ed, 2020, 378
- [학술발표] 베트남의 한국어 및 한국어교육 연구의 새로운 전환점에서 모색하는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의 개발 KF Friends Networking Workshop 2024 국제학술대회 , 베트남, 하노이, 2024-06-29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연구의 새로운 전환점, 2024
- [학술발표] 제2언어 한국어 시제 상 습득 연구의 가설과 연구방법 The 23rd Bienni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체코, 2023-06-30 Empirical approaches to Korean language and linguistics, 2023
- [학술발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자료 개발의 원리와 실제 2023년도 제3회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태국, 2023-08-25 2023년도 제3회 한구학 국제학술대회, 2023
- [학술발표] 태국의 한국어 교재 현황과 개발 방향 제3회 태국 한국어교육 발전 모색 세미나, 태국, 2022-11-25 제3회 태국 한국어교육 발전 모색 세미나, 2022
- [학술발표] 읽기 전략 향상을 위한 활동 유형 제 8 차 202 1 년도 태국 교육 자 한국학 워크숍, 태국, 2021-10-15 제 8 차 202 1 년도 태국 교육 자 한국학 워크숍, 2021
- [학술발표] 원격 한국어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2020 KAMALL Annual Conference, 대한민국, 온라인, 2020-11-07 디지털 시대 언어능력의 재정의, 2020
강의
-
2025-1학기
-
한국어 교수법
- 학수번호 KS52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4 (국903)
-
한국어교육 특수문제연구 Ⅵ
- 학수번호 KS580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국903)
-
기술별한국어교육Ⅱ:읽기·쓰기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Y8210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캠)
-
-
2024-2학기
-
한국어 읽기·쓰기교육론
- 학수번호 KS52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4~5 (국903)
-
한국어교육 세미나 III
- 학수번호 KS57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7 (국903)
-
한국어교수·학습의이해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Y8110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캠)
-
-
2024-1학기
-
한국어문법교육연구: 조사
- 학수번호 KS680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7 (국903)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학: 심화
- 학수번호 KS68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4~5 (국903)
-
기술별한국어교육Ⅱ:읽기·쓰기
- 학수번호 Y8210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캠)
-
-
2023-2학기
-
한국어 교수법
- 학수번호 KS52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2~3 (국903)
-
한국어 형태·통사론
- 학수번호 KS620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7 (국903)
-
한국어교수·학습의이해
- 학수번호 Y8110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캠)
-
한국어교육장기인턴십Ⅱ:국내
- 학수번호 Y83231분반 01
- 학년 ( 6학점
-
-
2023-1학기
-
한국어 읽기·쓰기교육론
- 학수번호 KS52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4~5 (국903)
-
한국어 문법교육 세미나
- 학수번호 KS646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국903)
-
기술별한국어교육Ⅱ:읽기·쓰기
- 학수번호 Y8210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캠)
-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국어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