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이화여자대학교

통합검색
nav bar
 
Ewha University

연구성과

    이수영 교수

생명과학과 이수영 교수팀 골다공증 치료의 새로운 표적 제시

오래되거나 손상된 뼈를 흡수하는 ‘파골세포’ 기능 조절 단백질 규명 


생명과학과 이수영 교수팀이 파골세포의 뼈 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새로운 인자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이수영 교수(교신저자), 김민희 박사과정생(제1저자)와 박진희 박사(제1저자) 그리고 생명과학과 김태수, 강동민, 심현보 교수(공동연구) 연구팀은 연세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파골세포의 뼈 흡수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세포내 엔도-리소좀 트래피킹(endo-lysosomal trafficking)의 조절자로 역할하는 ‘RUFY4 단백질’을 새롭게 발견하고 그 작용기전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Bone Research(IF=12.7)> 온라인에 5월 15일(수) 게재됐다.


뼈 조직은 새로운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와 오래되거나 손상된 뼈를 흡수하는 ‘파골세포’ 간의 균형을 통해 뼈의 양과 미세구조가 유지된다. 그러나 노화 및 폐경 등으로 인해 조골세포가 새롭게 만든 뼈의 양보다 파골세포가 파괴한 뼈의 양이 더 많아지면, 뼈는 약해지고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부러질 수 있다. 골다공증은 이러한 불균형으로 유발되는 대표적인 뼈 질환이다. 


파골세포는 카뎁신 K와 같은 가수분해효소를 세포 밖으로 분비하여 뼈를 갉아 먹고, 이러한 가수분해효소는 후기 엔도솜과 리소좀이 합쳐진 엔도-리소좀 안에 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파골세포 내 엔도-리소좀 형성과 이동, 그리고 세포 밖으로의 분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파골세포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RUFY 단백질 family (RUN and FYVE domain-containing protein family; RUFY1 to RUFY4, FYCO1)는 주로 세포질에 존재하여 소포수송(vesicle trafficking)과 오토파지(autophagy) 등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 RUFY4 단백질은 N-terminal RUN domain와 C-terminal FYVE domain을 통해 각각 small GTPases와 세포막 내 PtdIns(3)P에 결합하여 작용한다.

제1저자 김민희, 박진희 씨 | 파골세포 내 RUFY4 단백질에 의한 엔도-리소좀 수송 과정


연구팀은 RUFY4 단백질이 결핍된 실험 쥐의 경우 대조군보다 골밀도가 높다는 점, 그리고 RUFY4 단백질이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분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엔도-리소좀 형성과 카뎁신 K 분비 등 파골세포의 기능에만 특이적으로 관여함을 밝혀냈다. 또한, 염증 반응 및 난소 절제에 따른 뼈 파괴 마우스 모델에서도 RUFY4 단백질이 결핍된 마우스의 경우 뼈 손실이 완화됨을 확인했다.


이수영 교수는 “본 연구는 파골세포의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엔도-리소좀 트래피킹 조절인자로 새롭게 RUFY4 단백질을 규명했고, 이를 통해 골다공증과 같은 뼈 질환의 치료법 개발에 대한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멀티태스킹 대식세포 선도연구센터, 형광코어이미징분석센터,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