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이화여자대학교

통합검색
nav bar
 
Ewha University

기관/학과 소식

본교 대학원생 39명 ‘2025 석·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 선정 N

  • 등록일2025.09.29
  • 2506

본교 대학원생 39명이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 석·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에 선정되며 우수한 연구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본 사업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함께 추진하는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의 하나로, 국내 대학원 석·박사과정에 전업(full-time)으로 재학중인 자에 대해 학위논문 연구를 위한 연구비를 지원하는 제도다.


이번에 선정된 학생들은 석사과정 17명, 박사과정 22명으로, 향후 연구에 필요한 안정적인 재정을 지원받는다. 박사과정생은 2년간 총 5,000만 원, 석사과정생은 1년간 1,200만 원의 연구장려금을 수혜받아 기초학문부터 융합연구에 이르는 다양한 도전적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연구 주제는 차세대 백신 개발, 친환경 소재, 고효율 반도체, 인공지능 기반 의학·공학 응용 등 인류 사회의 난제를 해결하는 첨단 분야를 아우른다. 특히,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부, 화학·나노과학과, 화공신소재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간호과학과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가 포함되어 있어 본교의 학제적 연구 수월성을 보여준다


이번 사업 선정은 BK21과 더불어 본교 대학원생들이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연구를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본교는 앞으로도 우수한 연구인재들이 세계적인 성과를 창출하도록 적극 지원하며, 국내를 넘어 글로벌 학문 네트워크를 선도하는 연구중심 대학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사업 선정 리스트를 아래와 같다. (가나다순)


구분

이름

연구개발과제명




김미정(물리학과) 

광 증강과 전하 이동 균형 제어를 위한 MoS2-Au 나노구조 연구

김민희(건축도시시스템공학)

CTGAN 기반 데이터 증강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저강도 콘크리트 부착성능 예측 모델

김세희(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부)

인공지능 기반 치과 영상·안면 사진 성장 예후 예측-시각화 모델

김예진(약학과)

Wild-type 및 돌연변이 BTK의 분해를 위한 차세대 PROTAC 개발연구

김윤정(화공신소재공학과)

결정도-신축성-전하이동도 트릴레마 규명을 통한 고신축성 반도체 개발

김지연(화학·나노과학과)

플라즈모닉 광촉매 양극재를 활용한 리튬-황 배터리의 셔틀 억제 및 고성능화 연구

김한결(생명과학과)

여드름균 유래 세포외소포에 의한 멜라닌 합성 조절 기전 연구

성경운(에코과학부)

한국 뻐꾸기(Cuculus canorus) 집단의 숙주 특이적 품종 유지 기작과 염색체 역위의 진화적 역할

성지은(식품생명공학과)

16S rRNA 및 ITS 시퀀싱을 이용한 주요 해조류의 세균·진균 군집 분석 및 잠재적 위해 미생물 탐색

신수연(건축도시시스템공학)

활동인구 빅데이터 및 컴퓨터 비전 도로폭 산출 기반의 좁은 골목길 내 인파 밀집 취약성 자동 분석

신유나(화학·나노과학과)

시냅스 모델 기반 MOF 복합체의 유독가스 감지 센서 개발

윤진경(화학·나노과학과)

시분해 분광법을 활용한 할라이드계 페로브스카이트/전하 수송층 계면 간 전하 전이 동역학 연구를 통한 C60 대체 전자수송층 개발

이나원(식품생명공학과)

쓴맛 화합물의 구조-구강처리-수용체 상호작용에 따른 지각 민감도 차이 규명 연구

이유하(건축도시시스템공학)

모듈러 유닛의 대량생산 지원을 위한 자동 시공 시퀀스-물류 최적화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개발

이지민(식품생명공학과)

마요네즈 활용 이멀젼 미세구조 조절을 통한 지방 저감화 및 포만감 증진 메커니즘 연구

조현경(화공신소재공학과)

고기능성 바이오소재 생산을 위한 Pseudomonas putida 재조합 균주 시스템 개발

진수연(전자전기공학과)

적응적 교대 제안 협상 기반의 분산적 자원 분배 연구 및 LLM 기반 멀티에이전트 시스템을 활용한 검증




강하은(화학·나노과학과)

편광 반응성 키랄 플라즈모닉 나노입자 기반의 차세대 비표지형 광기반 PCR 진단 기술 연구

김근희(환경공학과)

고염도 음식물 쓰레기 기반 dark fermentation 공정의 내염성 미생물 컨소시움 최적화

김송은(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조기진통 산모 맞춤형 자궁수축억제제 치료를 위한 현장형 약물유전체 프로파일링 기술 개발

김예진(수학과)

비선형 데이터 근사기법과 딥러닝 알고리즘 융합 연구

김예진(뇌인지과학과)

비만의 식이 행동 조절 기전: 대뇌 보상 회로의 활성 변화와 스트레스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유현(화공신소재공학과)

인공지능 기반 자율 로봇 시스템을 활용한 화학 합성 반응 최적화 기술 개발

박인경(간호과학과)

인공지능 기반 족저압 데이터를 활용한 간호사 근무 부서 예측모델 개발

백성은(약학과)

나노스케일 이미징 기반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퍼시스터의 지질막 리모델링 규명

여연주(식품영양학과)

개인의 식태도에 따른 식품 섭취 관련 반응과 식이 행동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과식 및 비만 유발 기전 이해: 초가공식품의 섭취를 중심으로

유나영(통계학과)

확률적 순서 구조 기반의 일반화된 순서형 회귀모형 개발

이선경(통계학과)

통계역학 및 확률과정론 기반의 확산 모형의 생성 효율화 방법론 개발

임서영(물리학과)

2차원물질/산화물반도체 이종구조의 밴드정렬 및 전하수송 특성 연구

임정원(식품영양학과)

음식 선택에서 맥락, 감정, 식품 기능의 역할에 대한 분석 및 실증연구

이은지(화공신소재공학과)

BBB 선택 통과형 AAV capsid 플랫폼 개발을 위한 트랜스페린 수용체 타겟팅 전략

이현지(뇌·인지과학과)

불면증에서의 뇌 내 산화 스트레스 변화 기전 규명 및 치료 표적 발굴을 위한 중재 연구

임서현(화공신소재공학과)

슈도모나스 기반 맞춤형 바이오 부품 설계를 통한 기능성 PHA 생산 플랫폼 구축

전수빈(화공신소재공학과)

글루탐산 유래 C4 케미칼 생산을 위한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플랫폼 개발

정서현(화학·나노과학과)

차세대 원편광 감응 광전자 소자를 위한 키랄 플라즈모닉 하이브리드 소재 플랫폼 개발

정승원(화공신소재공학과)

리튬이온전지 고성능 고분자 바인더 개발을 위한 분자동역학 기반 이론-실증 융합 연구

조가영(화학·나노과학과)

분자 대칭성 제어를 통한 유기소재 집적상 구조 내 엑시톤 및 전하 동역학 연구

최다영(전자전기공학과)

지능형 네트워크를 위한 구조적 의존성 표현 기반 이상 탐지 신경망 설계 연구

최영원(약학과)

인플루엔자 팬데믹 대응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신속 범용 백신 개발 및 방어 면역지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