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이화여자대학교

통합검색
nav bar
 
Ewha University

이화뉴스

이화, 연구 경쟁력으로 도약하다: THE 세계대학평가 순위 상승 N

  • 작성처
  • 등록일2025.10.15
  • 524

연구·산학협력 분야 두각, 교육환경 개선으로 상승세 이어가

세계 400위권 재진입 목표로 교육·연구·글로벌 경쟁력 혁신에 집중


본교가 영국의 세계적 대학평가기관 Times Higher Education(THE)이 발표한 ‘2026 세계대학평가(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6)’에서 연구의 질과 산학협력 부문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며 세계 501–600위권으로 상승했다. 총점은 전년도보다 1점 오른 44.2점을 기록했다. 이번 결과는 이화의 연구 경쟁력과 산업계 연계 역량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으며, 교육과 국제화 지표에서도 균형 있는 발전을 이뤄낸 성과로 평가된다.


THE 세계대학평가는 2010년부터 실시된 권위 있는 국제 평가로, 올해는 전 세계 115개국 2,191개 대학을 대상으로 순위를 산정했다. 평가지표는 △교육 여건(Teaching, 29.5%) △연구 환경(Research Environment, 29%) △연구의 질(Research Quality, 30%) △산학협력(Industry Engagement, 4%) △국제화(International Outlook, 7.5%) 등 5개 핵심 지표, 17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됐으며, 대학의 자체 제출 자료와 Scopus 데이터베이스 기반 논문·피인용수, 그리고 THE의 글로벌 설문조사를 토대로 종합 평가된다.

본교 ‘2026 THE 세계대학평가’ 세계 501–600위로 상승

본교는 올해 평가에서 연구의 질과 산학협력 부문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다. 연구의 질(Research Quality) 항목에서 50.3점으로 전년 대비 2.4점 상승하며 연구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인용 영향(Citation Impact), 연구 우수성(Research Excellence), 연구 영향력(Research Influence) 등 모든 세부 지표가 고르게 상승하며, 이화 연구진의 학문적 영향력이 글로벌 수준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산학협력(Industry Engagement) 부문에서는 199위(90.9점)를 기록해 국내 주요 대학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산업계와의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특허 성과 등이 고르게 평가되어 연구성과의 사회적 파급력을 입증했다.

본교 ‘2026 THE 세계대학평가’ 세계 501–600위로 상승이와 함께 교육 여건(Teaching Environment) 부문에서도 36.9점으로 소폭 상승하며 안정적인 개선세를 이어갔다. 학생 1인당 교수 비율과 박사학위 취득자 수, 교원당 기관수입 등에서 고른 성과를 보였으며, 교육 혁신 기반을 강화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국제화(International Outlook) 부문에서는 외국인 교원 비율과 국제 공동연구 지표가 개선되었으며, 외국인 학생 비율이 다소 감소했음에도 전체 점수는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본교는 호크마교양대학 글로벌학부를 신설해 외국인 신입생들이 1년간 글로벌학부 소속으로 학습하며 기초 교양과 한국어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와 함께 AI·융합 연구를 확대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외국인 학생 장학제도를 확대하며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본교는 이러한 성과를 더욱 확장하기 위해 ‘Ewha Global Excellence Program’을 본격 추진하여 국제공동융복합 연구생태계를 조성에 나선다. 또한 대학기초연구소지원사업(G-LAMP), 4단계 두뇌한국21(BK21)사업, 국가연구소사업(NRL 2.0) 등 대형 국책사업을 수행하며 국제 협력 기반의 연구 인프라를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글로벌 현안을 다루는 융복합 연구를 통해 연구와 교육, 국제화의 선순환 구조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평가에서 본교는 2018년 이후 처음으로 세계 501–600위권에 재진입하며 순위를 회복했다. 본교는 이러한 연구와 교육의 질적 성장의 기반 위에 세계 400위권 재진입 목표로 대전환 시대를 선도할 포용적 혁신의 실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