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金守瑛) 교수
심리학과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김수영 교수는 심리학과 소속 교수로서 심리측정 및 연구방법론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교육심리학과에서 양적방법론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최근 사회과학 방법론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야의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과 혼합모형(Mixture Modeling)등을 연구하고 있다. 여러 국면에 걸친 성장혼합모형(Multiphase Growth Mixture Modeling)에 대한 세 개의 논문이 지난 2012년에서 2014년 사이에 사회과학 방법론에서 가장 높은 인용지수를 보이는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에 연속적으로 실렸으며, 다차원 문항반응이론 모형 및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에 관한 논문들 또한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와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Psychology> 등의 저명 SSCI 저널에 출판되었다. 최근에는 정규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측정변수를 이용하는 잠재성장모형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의 베이지안 추정법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 심리학과장
- 이화·포스코관 602호
- 02-3277-3792
연구실적
- [학술지논문] Comparis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from two cohorts of nurses: the Korea Nurses' Health Study and the Nurses' Health Study 3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23, v.80 no.4 , 209-217
- [학술지논문] 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are more helpful for avoiding alcohol-related problems for college drinkers who drink les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2022, v.70 no.5 , 1493-1499
- [학술지논문] Sample Size Requirements for Simple and Complex Mediation Model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22, v.82 no.1 , 76-106
- [학술지논문]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and their relation to body mass index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The Korea Nurses' Health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21, v.292 no.0 , 114-120
- [학술지논문] Performance of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 under partial longitudinal measurement invariance: A comparison of two scaling approach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A MULTIDISCIPLINARY JOURNAL, 2021, v.28 no.2 , 261-277
- [학술지논문] A comparison of Bayesian to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latent growth models in the presence of a binary outcom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020, v.44 no.5 , 447-457
- [학술지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and alcohol-related problems: An examination of race and gender differences among college drinkers JOURNAL OF ETHNICITY IN SUBSTANCE ABUSE, 2016, v.15 no.1 , 25-45
- [학술지논문] A Hierarchical Multi-Unidimensional IRT Approach for Analyzing Sparse, Multi-Group Data for Integrative Data Analysis PSYCHOMETRIKA, 2015, v.80 no.3 , 834-855
- [학술지논문] Brief Motivational Interventions for College Student Drinking May Not Be as Powerful as We Think: An Individual Participant-Level Data Meta-Analysis ALCOHOLISM-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015, v.39 no.5 , 919-931
- [학술지논문] Project INTEGRATE: An Integrative Study of Brief Alcohol Interventions for College Student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2015, v.29 no.1 , 34-48
- [학술지논문] Determining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in Single- and Multiphase Growth Mixture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A MULTIDISCIPLINARY JOURNAL, 2014, v.21 no.2 , 263-279
- [학술지논문] When Less Is More and More Is Less in Brief Motivational Interventions: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Content and Their Associations With Drinking Outcome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2014, v.28 no.4 , 1026-1040
- [학술지논문] Associations Between Alcohol Use and Alcohol-Related Negative Consequences Among Black and White College Men and Women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2013, v.74 no.4 , 521-531
- [학술지논문] Single and Multiple Ability Estimation in the SEM Framework: A Noninformative Bayesian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013, v.48 no.4 , 563-591
- [학술지논문] Investigating Stage-Sequential Growth Mixture Models with Multiphase Longitudinal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A MULTIDISCIPLINARY JOURNAL, 2012, v.19 no.2 , 293-319
- [학술지논문] Sample Size Requirements in Single- and Multiphase Growth Mixture Models: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A MULTIDISCIPLINARY JOURNAL, 2012, v.19 no.3 , 457-476
-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ve Symptoms and Treatment Burde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ultimorbid Patients With Hypertension: A Multi-Group Analysi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24, v.26 no.4, e13176
- 모든 부분집합 회귀분석의 이해: SPSS의 자동선형모델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24, v.63 no.1, 121-145
- Comparis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from two cohorts of nurses: The Korea Nurses' Health Study and the Nurses' Health Study 3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23, v.80 no.4, 209-217
-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높은 다중공선성 조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023, v.62 no.2, 159-189
- 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are more helpful for avoiding alcohol-related problems for college drinkers who drink les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2022, v.70 no.5, 1493-1499
- Sample Size Requirements for Simple and Complex Mediation Model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22, v.82 no.1, 76-106
- 구분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구조방정식 APIM의 이해 사회과학연구, 2022, v.61 no.3, 205-229
-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매개효과 검정 방법의 비교: 백분위수 부트스트랩과 편향조정 부트스트랩*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22, v.41 no.2, 103-131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결혼 만족에 의해 조절되는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2022, v.40 no.3, 55-73
- 코로나19 전후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양립 경험 변화와 부부 우울과 삶의 만족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22, v.27 no.1, 3-32
-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and their relation to body mass index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The Korea Nurses' Health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21, v.292, 114-120
- Performance of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 under partial longitudinal measurement invariance: A comparison of two scaling approach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A MULTIDISCIPLINARY JOURNAL, 2021, v.28 no.2, 261-277
- 베이지안 분석에서 사전분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21, v.40 no.4, 567-596
- 무변화 성장모형의 실재적 정의 교육평가연구, 2020, v.33 no.3, 681-705
- Using mixture models with known class membership to address incomplete covariance structures in multiple-group growth models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 STATISTICAL PSYCHOLOGY, 2014, v.67 no.1, 94-116
- [학술지논문] Power method를 기반으로 한 비정규 자료 생성 절차: R의 lavaan 패키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25, v.44 no.1 , 25-49
- [학술지논문]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ve Symptoms and Treatment Burde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ultimorbid Patients With Hypertension: A Multi-Group Analysis NURSING & HEALTH SCIENCES, 2024, v.26 no.4 , 1-9
- [학술지논문] 구조방정식 모형의 전반적인 평가 및 효과크기와 연속성에 대한 숙고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24, v.43 no.3 , 199-230
- [학술지논문] 모든 부분집합 회귀분석의 이해: SPSS의 자동선형모델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24, v.63 no.1 , 121-145
- [학술지논문]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높은 다중공선성 조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023, v.62 no.2 , 159-189
- [학술지논문]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매개효과 검정 방법의 비교: 백분위수 부트스트랩과 편향조정 부트스트랩*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22, v.41 no.2 , 103-131
- [학술지논문] 코로나19 전후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양립 경험 변화와 부부 우울과 삶의 만족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22, v.27 no.1 , 3-32
- [학술지논문] 무변화 성장모형의 실재적 정의 교육평가연구, 2020, v.33 no.3 , 681-705
- [학술지논문] 범주형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다집단 확장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20, v.39 no.2 , 175-204
- [학술지논문] 비일관적 매개효과 모형의 해석 방향 탐색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20, v.39 no.1 , 91-115
- [학술지논문] 요인분석에서 목표회전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19, v.38 no.3 , 377-400
- [학술지논문]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 인간이해, 2018, v.39 no.2 , 25-45
- [학술지논문] 이분형 종속변수를 포함하는 모형의 매개효과 검정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18, v.37 no.3 , 441-470
- [학술지논문] 영과잉 순서형 프로빗 모형의 베이지안 추론: 한국형 베일리-III 검사 자료에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17, v.36 no.2 , 215-239
- [학술지논문] 지수함수를 이용한 비선형 잠재성장모형의 탐색: 2차함수 모형의 대안으로서 교육평가연구, 2017, v.30 no.4 , 791-816
- [학술지논문] 한부모가족 청소년 자녀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 가족관계의 질, 지역사회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016, v.21 no.3 , 367-392
- [학술지논문] 잠재성장모형의 사용을 위한 표본크기 결정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15, v.34 no.2 , 599-617
- [저역서] 회귀분석, SPSS 및 PROCESS 예제와 함께 학지사, 2024, 561
- [저역서] 기초통계학 SPSS 예제와 함께 북앤정, 2023, 487
- [저역서] 사회과학통계의 기본: R예제와 함께 학지사, 2019, 615
- [저역서]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 mplus 예제와 함께 학지사, 2016, 655
강의
-
2025-1학기
-
기초심리통계
- 학수번호 36060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7~7 (포) , 목 7~7 (153)
-
다층모형
- 학수번호 G11470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5~6 (포356)
-
-
2024-2학기
-
심리연구방법
- 학수번호 21603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7 (포)
-
구조방정식
- 학수번호 G16814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포)
- 강의실변경
-
-
2024-1학기
-
기초심리통계
- 학수번호 36060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6 (포252) , 목 4~4 (포252)
-
회귀분석
- 학수번호 G1791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포552)
-
-
2023-2학기
-
심리연구방법
- 학수번호 21603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포252) , 목 6~6 (포252)
-
고급구조방정식
- 학수번호 G1815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7 (포253)
-
-
2022-2학기
-
심리연구방법
- 학수번호 21603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포253) , 수 5~5 (포253)
- 영어강의
-
구조방정식
- 학수번호 G16814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7 (포153)
-
연구윤리
- 학수번호 G90003분반 01
- 학년 (
-
-
2022-1학기
-
기초심리통계
- 학수번호 36060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 수 5~5
- 영어강의
-
기초심리통계
- 학수번호 36060분반 02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 목 6~6
-
회귀분석
- 학수번호 G1791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3~4
-
연구윤리
- 학수번호 G90003분반 01
- 학년 (
-
학력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Ph.D.(Educational Psychology)
연세대학교(서울) 경제학사(응용통계)
경력
심리학과장 2017-03-01 ~ 2018-01-31
Center of Alcohol Studies, Rutgers Univ. 2011-08-01 ~ 2013-02-28
대학원생연구지원센터장 2021-02-01 ~ 2023-01-31
대학원부원장 2021-02-01 ~ 2023-01-31
한국심리학회 정보이사 2020-08-22 ~ 2022-08-20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회장 2022-10-22 ~ 2024-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