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완(金世浣) 교수
경제학과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사회적경제협동과정
김세완 교수는 경제학/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소속 교수로 금융경제학을 연구하고 있다. 미국 Texas A&M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화에 오기 전 캘리포니아 주립대에서 교수로 근무하였다. 금융시장과 거시경제와의 관계, 금융시장에서의 투자자의 행태, 자산가격 이론등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까지 약 20여편의 논문을 SSCI급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였다.
- 이화·포스코관 616호
- 02-3277-4467
연구실적
- Different demands for almost the same assets? Demographic structure's different effect on direct and indirect equity purchase International Review of Finance, 2024, v.24 no.1, 104-127
- ETF 지분이 기초자산 주식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金融工學硏究, 2024, v.23 no.2, 61-79
- Following the Leader? Size-Dependent Herding in the US Equity Fund Market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2024, v.35 no.1, 85-104
- Sentiment Matters in Stock Market: Construction of Sentiment Index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2024, v.35 no.4, 87-112
- Is OCIO superior in asset allocation performance? 선물연구, 2023, v.31 no.2, 139-161
- Is OCIO superior in asset allocation performance? Journal of Derivatives and Quantitative Studies, 2023, v.31 no.2, 139-161
-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의 중독연구에 대한 문헌 연구: 중독의 공존이환에 대한 다학적 연구의 가능성에 대하여 사회과학연구논총, 2023, v.39 no.2, 5-33
- 사회적 자본이 취업 및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일본, 대만의 국제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2023, v.20 no.1, 39-69
- 임금 근로 발달장애인의 근속연수 영향요인 직업재활연구, 2023, v.33 no.1, 83-101
- Does the elderly’s private pension ownership intensify aggregate equity demand? Empirical evidence in the US Investment Analysts Journal, 2022, v.51 no.2, 83-93
- 인구구조와 직․간접 주식투자 간 관계 분석: 노년세대를 중심으로 금융연구, 2022, v.36 no.1, 1-24
-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2008년 금융위기 전후 전․후방참여 효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국제경제연구, 2021, v.27 no.3, 1-40
- 심리변수가 손해보험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위험회피수준 및 댓글감성을 중심으로 보험금융연구, 2021, v.32 no.3, 65-93
- Does Trade Elasticity Vary Across Regimes? New Evidence from Korean Exports, Incorporating Regime Changes* ASIAN ECONOMIC JOURNAL, 2020, v.34 no.4, 379-403
- Does credit supply accelerate business cycle changes in Korea?: Some new evidence by incorporating regime changes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2020, v.31 no.2, 19-39
- 세대별 인구구조가 주택 소비수요에 미치는 영향 : 광역시(廣域市)와 도(道)를 중심으로 부동산연구, 2020, v.30 no.1, 23-36
- 소셜 감성이 개별 기업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 분석 Information Systems Review, 2020, v.22 no.4, 59-74
- Does Intra-regional Trade Matter in Regional Stock Markets? New Evidence from the Asia-Pacific Region ASIAN ECONOMIC JOURNAL, 2019, v.33 no.3, 253-280
- Early 60s is not old enough: Evidence from twenty-one countries’ equity fund markets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2019, v.92, 62-74
- ETF 괴리율 결정요인은유형별로 상이한가?: 국내 ETF 시장의 실증 분석 금융연구, 2018, v.32 no.4, 151~178
- 마이크로파이낸스기관의 지속성(Sustainability)에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 2017, v.56 no.2, 321~347
- 습관형성 효용함수를 이용한 상이한 중독 심화도의 비교: 흡연과 음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2017, v.37 no.2, 477~497
- 영과잉 토빗모형을 이용한 한국 소득분포 자료의 베이지안 분석 응용통계연구, 2017, v.30 no.6, 917~929
- 해외 펀드투자에서 환율효과는 고려되는가?: 6개국 해외주식형 펀드를 통한 실증분석 재무관리연구, 2017, v.34 no.4, 1~21
- 흡연, 음주, 인터넷 게임 이용의 공존이환이 청소년의 학교 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017, no. 40, 145~171
- 하천환경이 주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광명시 안양천 사례를 중심으로 주택연구, 2016, v.24 no.2, 29~45
- Asia-Pacific Stock Market Integration: New Evidence by Incorporating Regime Changes EMERGING MARKETS FINANCE AND TRADE, 2015, v.51, S68-S88
- Who mimics whom in the equity fund market? Evidence from the Korean equity fund market PACIFIC-BASIN FINANCE JOURNAL, 2014, v.29, 199-218
- 직간접 투자자의 현금 유출입비교 분석 재무관리연구, 2014, 제31권 2호, 141-167
- [학술지논문] Different demands for almost the same assets? Demographic structure's different effect on direct and indirect equity purchase INTERNATIONAL REVIEW OF FINANCE, 2024, v.24 no.1 , 104-127
- [학술지논문] ETF 지분이 기초자산 주식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金融工學硏究, 2024, v.23 no.2 , 61-79
- [학술지논문] Following the Leader? Size-Dependent Herding in the US Equity Fund Market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2024, v.35 no.1 , 85-104
- [학술지논문] 기후변화의 위험이 시중은행과 손해보험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 대기, 2024, v.34 no.2 , 107-121
- [학술지논문] Is OCIO superior in asset allocation performance? Journal of Derivatives and Quantitative Studies, 2023, v.31 no.2 , 139-161
- [학술지논문]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의 중독연구에 대한 문헌 연구: 중독의 공존이환에 대한 다학적 연구의 가능성에 대하여 사회과학연구논총, 2023, v.39 no.2 , 5-33
- [학술지논문] 사회적 자본이 취업 및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일본, 대만의 국제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2023, v.20 no.1 , 39-69
- [학술지논문] 임금 근로 발달장애인의 근속연수 영향요인 직업재활연구, 2023, v.33 no.1 , 83-101
- [학술지논문] Does the elderly's private pension ownership intensify aggregate equity demand? Empirical evidence in the US INVESTMENT ANALYSTS JOURNAL, 2022, v.51 no.2 , 83-93
- [학술지논문] 인구구조와 직·간접 주식투자 간 관계 분석: 노년세대를 중심으로 금융연구, 2022, v.36 no.1 , 1-24
- [학술지논문] 세대별 인구구조가 주택 소비수요에 미치는 영향 : 광역시(廣域市)와 도(道)를 중심으로 부동산연구, 2020, v.30 no.1 , 23-36
- [학술지논문] 소셜 감성이 개별 기업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 분석 Information Systems Review, 2020, v.22 no.4 , 59-74
- [저역서] 한국금융의 미래: 3장: 노령화와 금융시장의 변화, 그리고 정책과제 율곡출판사, 2024, 600
강의
-
2024-2학기
-
시장경제세미나
- 학수번호 10832분반 01
- 학년 ( 2학점 , 2시간) 목 6~7 (포)
- 100분 수업
-
The Korean Economy
- 학수번호 3573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 원격강의,영어강의
-
금융경제학1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2686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6~7 (포353)
-
행동사회과학핵심세미나Ⅰ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7228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7~8 (포356)
-
-
2024-1학기
-
시장경제세미나
- 학수번호 10832분반 01
- 학년 ( 2학점 , 2시간) 목 6~7 (포)
- 100분 수업
-
1학년세미나(사회대)
- 학수번호 10848분반 06
- 1학년 ( 1학점 월 7~7
- 외국금융시장꿈을펼쳐볼사람들
-
The Korean Economy
- 학수번호 3573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 원격강의,영어강의
-
금융경제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304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포) , 목 3~3 (153)
-
-
2023-2학기
-
시장경제세미나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10832분반 01
- 학년 ( 2학점 , 2시간) 목 6~7 (포)
- 100분 수업
-
The Korean Economy
- 학수번호 3573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 원격강의,영어강의
-
금융경제학1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2686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6~7 (포353)
-
-
2023-1학기
-
시장경제세미나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10832분반 01
- 학년 ( 2학점 , 2시간) 목 6~7 (포)
- 100분 수업
-
1학년세미나(사회대)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10848분반 06
- 1학년 ( 1학점 월 7~7
- 경제학공부로 나의 미래를 펼쳐보자! / 포스코관614호
-
The Korean Economy
- 학수번호 3573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 원격강의,영어강의
-
금융경제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304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포) , 목 3~3 (153)
-
-
2022-2학기
-
시장경제세미나
- 학수번호 10832분반 01
- 학년 ( 2학점 , 2시간) 목 6~7 (포)
- 100분 수업
-
The Korean Economy
- 학수번호 3573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 원격강의,영어강의
-
금융경제학1
- 학수번호 G12686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6~7 (포353)
-
행동사회과학핵심세미나Ⅰ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7228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포451)
-
-
2022-1학기
-
시장경제세미나
- 학수번호 10832분반 01
- 학년 ( 2학점 , 2시간) 목 6~7
- 100분 수업
-
The Korean Economy
- 학수번호 3573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 원격강의,영어강의
-
금융경제학
- 학수번호 36304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 목 3~3
-
학력
Texas A&M University Ph.D.(Eco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