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이화여자대학교

통합검색
nav bar
 
Ewha University

사회과학대학

김유미(金柔美) 부교수

행정학과

김유미 프로필 사진
김유미 교수는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제행정 및 정책 분야에서 심층적이고 다학제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행정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일본 와세다대학교에서 국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국제 정책, 환경 정책, 지속가능한 발전, 정책 평가 등이며, 공간 분석과 빅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방법론을 접목하여 학제 간 융합 연구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또한 일본, 미국, 중국 등 여러 국가의 연구자들과의 공동연구 및 국제 프로젝트를 통해 학문적 교류와 협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연구 성과는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등 국내외 유수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 이화·포스코관 408호
  • 02-3277-4030
  • 면담 가능시간
    • By appointment
  • 연구관심분야
    • 국제행정/국제정책, 환경정책, 정책평가, 지속가능한발전, 공간분석
연구실적
  • [학술지논문] Unveiling Urban Spatial Dynamics in Climate and Air Quality Indicators: A Local Estimation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and the Impact of Green Infrastructure ANNALS OF REGIONAL SCIENCE, 2025, v.74 no.38 , 1-22
    SSCI
  • [학술지논문] 개방형직위제도가 정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 문화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025, v.24 no.1 , 209-242
    KCI
  • [학술지논문] Tweeting climate change: analyzing actor diversity and influence in climate-change discourse post-Paris agreement Discover Sustainability, 2024, v.5 no.1 , .-.
    Scopus
  • [학술지논문]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to explore the climate change discourse about the Paris Agreement on social media Telematics and Informatics Reports, 2024, v.15 no.0 , 100148-100148
    Scopus
  • [학술지논문] 미세플라스틱 관련 환경 행동 유발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고려 요인 연구: 문화 인지 유형, 위험 인식, 심리적 거리감과 부정적 감정 중심 분석 한국소통학보, 2024, v.23 no.4 , 267-319
    KCI
  • [학술지논문] 미세플라스틱 규제 수용성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개인의 내적 요인과 정부 신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024, v.33 no.4 , 303-337
    KCI
  • [학술지논문] 미세플라스틱 위험에 대한 불확실성 인식이 대응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불신과 위험인식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거리감의 조절효과 중심 Crisisonomy, 2024, v.20 no.10 , 159-180
    KCI
  • [학술지논문] 미세플라스틱 제품 사용 저감의 내적 장벽요인과 소비자 유형화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2024, v.55 no.3 , 171-192
    KCI
  • [학술지논문] 불확실성 단서 인식이 미세플라스틱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 정부 신뢰와 문화적 세계관의 조절효과 중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4, v.24 no.11 , 143-161
    KCI
  • [학술지논문] 폭염 취약성과 노인 인구를 고려한 무더위 쉼터 입지 연구: 서울시 행정동에 대한 공간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4, v.15 no.6 , 1001-1022
    KCI
  • [학술지논문] 한국의 적응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제3차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을 위한 정부조직 협력체계를 중심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4, v.15 no.3 , 307-326
    KCI
  • [학술지논문] 환경블라인드스팟: 환경기술, 교육, 정책 방법론을 이용한 환경사회문제 인식 및 해결 방안 대한환경공학회지, 2024, v.46 no.5 , 231-262
    KCI
  • [학술지논문] Computational Analysis on Twitter Users’ Attitudes towards COVID -19 Policy Interven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2023, v.11 no.4 , 358-377
    KCI
  • [학술지논문] The Impact of International Conservation Agreements on Protected Areas: Empirical Findings from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Using Causal Inference ENVIRONMENTAL MANAGEMENT, 2023, v.72 no.1 , 203-218
    SCIE
  • [학술지논문] 파리협정과 한국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정합성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3, v.14 no.3 , 277-297
    KCI
  • [학술지논문] Investigating Spatial Heterogeneity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for Haze Pollution in China ATMOSPHERE, 2022, v.13 no.5 , 806-806
    SCIE
  • [학술지논문]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kyoto protocol, and open innovation Journal of Open Innovation: Technology, Market, and Complexity, 2021, v.7 no.3 , 198-198
    Scopus
  • [학술지논문]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 위원회의 보고체계를 통한 이행 유도 기능 분석: 한국의 성폭력 관련 권고를 중심으로 담론201, 2021, v.24 no.2 , 37-79
    KCI
  • [학술지논문] Environmental and economic effectiveness of the Kyoto Protocol PLOS ONE, 2020, v.15 no.7 , 0236299-0236299
    SCIE
  • [학술지논문] How spatial targeting of incentive payments for forest carbon storage can be adjusted for competing land uses REGIONAL ENVIRONMENTAL CHANGE, 2019, v.19 no.2 , 441-450
    SSCI
  • [학술지논문]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ocation decisions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Regional Science Policy and Practice, 2019, v.11 no.2 , 383-401
    Scopus
  • [학술지논문] The impact of environmental regulation on employment: an empirical study of China's Two Control Zone policy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019, v.26 no.26 , 26472-26487
    SCI
  • [학술지논문] Are microfinance institutions in South-East Asia pursuing objectives of greening the environment? JOURNAL OF THE ASIA PACIFIC ECONOMY, 2018, v.23 no.2 , 229-245
    SSCI
  • [학술지논문] Estimating the provincial environmental Kuznets curve in China: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pproach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2018, v.32 no.7 , 2147-2163
    SCI
  • [학술지논문] A spatial analysis of the causal factors influencing China's air pollution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2017, v.11 no.3 , 194-201
    Scopus
  • [학술지논문] Institutional Mechanisms and the Consequenc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greements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2017, v.17 no.1 , 77-98
    SSCI
  • [학술지논문] 国際環境レジームの有効性に関する定量分析:長距離越境大気汚染条約(LRTAP)を事例として 環境情報科学学術硏究論文集 , 2012, v.26 no.0 , 189-194
  • [학술지논문] 도시의 창조적 산업과 인력이 고용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2009, v.18 no.4 , 321-346
    KCI
  • [저역서]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Routledge, 2020, 138
  • [저역서] アジアの環境ガバナンスと地域統合 勁草書房, 2013, 237
  • Tweeting climate change: analyzing actor diversity and influence in climate-change discourse post-Paris agreement Discover Sustainability, 2024, v.5 no.1, 258
    Scopus dColl.
  •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to explore the climate change discourse about the Paris Agreement on social media Telematics and Informatics Reports, 2024, v.15, 100148
    Scopus dColl.
  • 미세플라스틱 관련 환경 행동 유발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고려 요인 연구: 문화 인지 유형, 위험 인식, 심리적 거리감과 부정적 감정 중심 분석 한국소통학보, 2024, v.23 no.4, 267-319
    KCI dColl.
  • 미세플라스틱 규제 수용성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개인의 내적 요인과 정부 신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024, v.33 no.4, 303-337
    KCI dColl.
  • 미세플라스틱 위험에 대한 불확실성 인식이 대응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불신과 위험인식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거리감의 조절효과 중심 Crisisonomy, 2024, v.20 no.10, 159-180
    KCI dColl.
  • 미세플라스틱 제품 사용 저감의 내적 장벽요인과 소비자 유형화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2024, v.55 no.3, 171-192
    KCI dColl.
  • 불확실성 단서 인식이 미세플라스틱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 정부 신뢰와 문화적 세계관의 조절효과 중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4, v.24 no.11, 143-161
    KCI dColl.
  • 폭염 취약성과 노인 인구를 고려한 무더위 쉼터 입지 연구: 서울시 행정동에 대한 공간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4, v.15 no.6, 1001-1022
    KCI dColl.
  • Computational Analysis on Twitter Users’ Attitudes towards COVID -19 Policy Interven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2023, v.11 no.4, 358-377
    KCI dColl.
  • The Impact of International Conservation Agreements on Protected Areas: Empirical Findings from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Using Causal Inference Environmental Management, 2023, v.72 no.1, 203-218
    SCIE Scopus dColl.
  • 파리협정과 한국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정합성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3, v.14 no.3, 277-297
    KCI dColl.
  • Investigating Spatial Heterogeneity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for Haze Pollution in China Atmosphere, 2022, v.13 no.5, 806
    SCIE Scopus dColl.
  •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kyoto protocol, and open innovation Journal of Open Innovation: Technology, Market, and Complexity, 2021, v.7 no.3, 198
    Scopus dColl.
  •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 위원회의 보고체계를 통한 이행 유도 기능 분석: 한국의 성폭력 관련 권고를 중심으로 담론201, 2021, v.24 no.2, 37-79
    KCI dColl.
  • Environmental and economic effectiveness of the Kyoto Protocol PLOS ONE, 2020, v.15 no.7, e0236299
    SCIE Scopus dColl.
  • How spatial targeting of incentive payments for forest carbon storage can be adjusted for competing land uses REGIONAL ENVIRONMENTAL CHANGE, 2019, v.19 no.2, 441-450
    SCIE SSCI Scopus dColl.
  •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ocation decisions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Regional Science Policy and Practice, 2019, v.11 no.2, 383-401
    Scopus dColl.
  • The impact of environmental regulation on employment: an empirical study of China's Two Control Zone policy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019, v.26 no.26, 26472-26487
    SCIE Scopus dColl.
  • Are microfinance institutions in South-East Asia pursuing objectives of greening the environment? JOURNAL OF THE ASIA PACIFIC ECONOMY, 2018, v.23 no.2, 229-245
    SSCI Scopus dColl.
  • Estimating the provincial environmental Kuznets curve in China: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pproach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2018, v.32 no.7, 2147-2163
    SCIE Scopus dColl.
  • Institutional Mechanisms and the Consequenc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greements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2017, v.17 no.1, 77-98
    SSCI Scopus dColl.
강의
  • 2025-1학기

    • 1학년세미나(사회대)

      • 학수번호 10848분반 03
      • 1학년 ( 1학점 , 1시간) 화 7~7 (포354)
      • 이화와 나, 그리고 멋진 미래
    • 지속가능한발전과환경정책

      • 학수번호 G1850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5~6 (포354)
    • 지속가능한발전과환경정책

      • 학수번호 PP25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포362)
  • 2024-2학기

    • 연구조사설계

      • 학수번호 G1249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6 (포352)
  • 2024-1학기

    • 1학년세미나(사회대)

      • 학수번호 10848분반 03
      • 1학년 ( 1학점 화 7~7
      • 이화와 나, 그리고 멋진 미래
    • 행정조사방법론

      • 학수번호 37175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포451) , 목 6~6 (포451)
      • 영어강의
  • 2023-2학기

    • 연구조사설계

      • 학수번호 G1249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5~6 (포352)
  • 2023-1학기

  • 2022-2학기

    • 행정조사방법론

      • 학수번호 37175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포451) , 수 4~4 (포451)
      • 영어강의
    • 연구조사설계

      • 학수번호 G1249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5~6 (포353)
    • 지속가능한발전과환경정책

      • 학수번호 PP25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포253)
  • 2022-1학기

    • 1학년세미나(사회대)

      • 학수번호 10848분반 06
      • 1학년 ( 1학점 월 7~7
      • 이화와 나, 그리고 미래
    • 국제행정론

      • 학수번호 34444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 목 5~5
      • 영어강의
    • 글로벌사회에서의국제행정

      • 학수번호 G1073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5~6
학력

Waseda University Ph.D.(International Studies)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석사(행정학과)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사(행정학과)

경력

행정학과장 2020-08-01 ~ 2022-07-31

입학처부처장(입학정보) 2023-03-01 ~ 2025-01-31

입학처부처장(입학정보)(서리) 2023-02-01 ~ 2023-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