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숙 명예교수

본교 무용과를 졸업한 뒤 무용학으로 세계적인 명문학교인 영국의 Surrey대학에서 무용학 박사를 취득하였고 본교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의 aSSIST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도 취득하였다. 30편 이상의 발레작품을 창작공연하면서 K발레의 미학적 토대를 구축한 안무자이다. 무용이란 늘 공연을 통해서 사람들과 조우하고 사회에 메시지를 던지며 세상의 변화를 유도하는 행위라고 생각하며 이제 극장을 초월한 삶 전체를 무대로 인식한다. 교내에서는 공연문화연구센터 소장으로서 서울시의 지원사업 <PRAME 이화창조아카데미> 를 4년간 진행하였다. 이는 학생들에게 문화예술 교육을 시키고 그 분야의 기업에 진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현재는 <문화예술 도시재생연구소> 소장으로 통영도시재생 사업 중 일부 인 통영리스타트플랫폼에서 취․창업 교육 프로젝트 책임을 맡고 있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자문을 맡고 있다. - 발레안무가로서 20년간 33편 이상의 발레작품을 창작․공연하면서 K발레의 미학적 토대를 구축함. 대표작: <그녀가 온다: 여신 서왕모>, <그녀가 논다: 여신 항아> 등 기획 및 공연. - 무용연구자로서 35편 이상의 논문과 저서가 있고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을 한국에 소개하고 정착시킴. 저서:『날고싶은 인간의 욕망, 발레』, 한국무용기록학회 회장 역임, 국제 학술지 JDSP(Journal of Dance and Somatic Practices) Editorial Board 등 참여. - 26회 이상의 문화예술기획을 통해서 시민의 무용예술 향유와 무용의 사회적 역할을 실행해 옴. 대표기획: <서울시민 몸축제>, <치유예술제> 등 주관.
사진 출처=이대학보
연구실적
-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축제에서 예술콘텐츠 개발 사례 : 통통 통영골목예술제를 중심으로 연기예술연구, 2020, v.18 no.2, 119-144
- 무용기록학의 새로운 인식: 무용 에크프라시스의 개념 및 방식에 대한 시론 무용역사기록학, 2018, v.49 no.0, 9~31
- CIS 고려인의 전통춤 계승의 무용사적 의미 무용역사기록학, 2017, v.46, 163~188
- 몸, 춤 그리고 춤 만들기에 대한 일 고찰 연기예술연구, 2022, v.27 no.3, 283-301
- 무용작품 <멈추지 않는 순간>에 관한 연구* - 윤회 특성을 기반으로 - 연기예술연구, 2022, v.25 no.1, 21-40
- 무용작품 「경계에서」의 연구* 연기예술연구, 2022, v.25 no.1, 55-74
- 소마 춤에서 몸과 소통: SCL ‘움직임을 통한 경청과 소통실습’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 2017, v.44 no.44, 275~300
- 소매틱(Somatics) 기반움직임 교육원리 탐색 및 프로그램 개발 무용역사기록학, 2016, v.42, 141~168
-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의 <신데렐라> 분석+: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계모와 두 자매 무용역사기록학, 2015, v.38, 131-153
- 무용연구에서 데이터의 생산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실기기반 연구’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 2014, 제33권, 35-62
-
무용작품
에 관한 연구- 몸적학습(Somatic Learning)을 기반으로 무용역사기록학, 2014, 제32권, 1-20 - [학술지논문]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축제에서 예술콘텐츠 개발 사례 - 통통 통영골목예술제를 중심으로 - 연기예술연구, 2020, v.18 no.2 , 119-144
- [전시발표] 조기숙뉴발레단 공연 <물끄러미, 하영없이> 대한민국, 서울, 삼성홀, 2021
- [전시발표] 조기숙뉴발레단 기획 공연 '코로나 시대의 나' 대한민국, 서울, M극장, 2021
- [전시발표] In memory of the Victims 대한민국, 철원, 백마고지전적지, 2020
- [전시발표] 햄릿의 방 대한민국, 서울, 메리홀, 2020
- [학술발표] 예술로 꿈을 꾸다: 예술로 취·창업하기 예술로 꿈을 꾸다: 예술로 취·창업하기, 대한민국, 2020-02-21 예술로 꿈을 꾸다: 예술로 취·창업하기, 2020
강의
-
2024-1학기
-
무용의이해
- 학수번호 10576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생활318) , 목 5~5 (생활318)
-
무용창작기초
- 학수번호 21355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4 (체AHI)
-
실기기반연구법
- 학수번호 G1049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5~6 (체)
-
-
2023-2학기
-
무용창작워크숍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0590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4 (체AHI)
-
춤과젠다
- 학수번호 G10584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4 (캠)
-
-
2023-1학기
-
무용의이해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10576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캠) , 수 5~5 (146)
-
무용창작기초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21355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4 (체AHI)
-
외국무용사세미나
- 학수번호 G10417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3~4 (캠)
-
-
2022-2학기
-
무용창작워크숍
- 학수번호 30590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4 (체AHI)
-
테크놀로지를활용한디지털댄스
- 학수번호 G1054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4 (체)
-
-
2022-1학기
-
무용창작기초
- 학수번호 21355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4 (체AHI)
-
발레워크숍
- 학수번호 21365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체AHI) , 목 3~3 (체AHI)
-
무용창작워크숍2.발레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042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2~3 (체CHV)
-
발레작품연구분석법
- 학수번호 G1049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
학력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경영학박사(경영학)
중앙대학교(서울) 행정학석사(문화예술학과)
이화여자대학교 이학사(무용과)
University of Surrey Ph.D.(Dance Studies)
경력
공연문화연구센터소장 2011-09-01 ~ 2019-01-31
한국무용기록학회 회장 2011-03-01 ~ 2014-03-31
무용역사기록학회 초대공동회장 2014-04-20 ~ 2017-02-28
프레임(PRAME) 이화창조아카데미사업단장 2015-09-01 ~ 2018-06-30
서울특별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4기, 5기 자문위원 2018-03-01 ~ 2022-02-28
한국문화예술위원회 6기 위원 2018-11-01 ~
JDSP(Journal of Dance and Somatic Practices) Editorial Board 2019-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