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숙(李炯叔) 교수
영어영문학부 /미디어예술인문학협동과정
이형숙 교수는 영어영문학과 소속으로 문화연구 및 영화학 분야를 강의한다.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대학교(U of Southern California) 영상예술학부(School of Cinematic Arts) 비평학과(Cinema and Media Studies, 구 Critical Studies)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영어권 영화, 아시아 영화, 트랜스내셔널리즘, 글로컬리즘, 여성학, 후기식민주의, 장르 연구 등에 대하여 영어 및 한국어로 논문 및 공저를 출판하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SCMS(Society for Cinema and Media Studies), 문학과 영상학회, 한국아메리카학회, 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한국영어영문학회 등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영어영문학부장
- 인문관 510호
- 02-3277-6682
연구실적
- 포스트 레이스 시대 흑백 버디 영화와 모호한 관객성: 영화 <그린 북> 문학과 영상, 2024, v.25 no.2, 313-336
- 사무엘 풀러의 한국전쟁 영화에 나타나는 폐쇄적 공간 연구: <철모>와 <총검장착> 비교문학, 2020, no.82, 203-231
- Transnational Film Remaking and Destabilized Meanings: Reading Kim Jee-woon's The Good, the Bad, the Weird KOREA JOURNAL, 2019, v.59 no.3, 53-78
- 정창화 영화에서의 전쟁, 이국적 공간, 장르의 문제: <사르빈강에 노을이 진다>의 재현 전략 연구 문학과 영상, 2019, v.20 no.2, 269-298
- 1960년대 초국적 영화 리메이크 및 장르의 재구성: <요짐보>, <황야의 무법자>, <황야의 외팔이> 연구 문학과 영상, 2018, v.19 no.3, 463~496
- 영화 <디 아워스>에서 시간 속에 갇힌 인물들 영미문학페미니즘, 2017, v.25 no.2, 91~117
- 경외와 비판의 경계: 로버트 알트만의 <플레이어>에서의 할리우드 그리기 미국학 논집, 2016, v.48 no.2, 139~161
- Hallyu Stars in Hollywood Films and the Imagining of Glocal Asians 문학과 영상, 2015, v.16 no.1, 25-50
- 영화 <델마와 루이스>에서의 장르의 전복과 관객성의 문제 영미문학페미니즘, 2015, v.23 no.2, 147-170
- 영화 <숏컷>에서의 LA 초상과 표면적 모티브 연구 비교문학, 2015, v.67, 263-288
- 크리스마스 이야기에 대한 전복적 메타픽션: ‘오기 렌’(Auggie Wren) 3부작 연구 영미문학교육, 2015, v.19 no.2, 169-196
-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의 자기반영성 연구 문학과 영상, 2013, 제14권 4호, 1129-1152
- 해외 한국 영화 연구의 동향 한국문화연구, 2013, 제25권, 277-285
- 히치콕의 <이창>에서의 공간에 대한 알레고리적 읽기 미국학 논집, 2013, 제45권 2호, 217-239
- 1950년대 할리우드 장르와 사실주의의 다양한 변주: <하이눈>과 <워터프론트> 연구 문학과 영상, 2012, 제13권 4호, 765-793
- 전후 할리우드의 여성 산보자: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 연구 영미문학페미니즘, 2012, 제20권 2호, 227-251
- 테네시 윌리엄즈 영화에서의 여성의 위기와 가족 멜로드라마의 쇠퇴: <베이비 돌>과 <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연구 영미문학교육, 2012, 제16권 3호, 95-118
- 셰익스피어 영화에 있어서의 자기반영성: <햄릿>(2000)과 <야연>(2006)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2011, 제12권 4호, 1055-1081
- 할리우드 다문화주의의 한계: 영화 <크래쉬> 연구 미국학 논집, 2011, 제43권 3호, 5-25
- [학술지논문] 포스트 레이스 시대 흑백 버디 영화와 모호한 관객성: 영화 <그린 북> 문학과 영상, 2024, v.25 no.2 , 313-336
- [학술지논문] Hallyu Stars in Hollywood Films and the Imagining of Glocal Asians 문학과 영상, 2015, v.16 no.1 , 25-50
- [학술지논문] <슬럼독 밀리어네어>를 통해서 본 영화에서의 다국적 합작의 문제 문학과 영상, 2010, v.11 no.3 , 713-740
- [학술지논문] 동성애 영화에서의 ‘보는 즐거움’의 정치학: <브로크백 마운틴>,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 <쌍화점>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2009, v.10 no.2 , 431-460
- [학술지논문] 미국 무성 영화 시대의 아시아인 재현에 대한 고찰: <속임수>와 <흩어진 꽃잎>을 중심으로 비교문학, 2009, 237-260
- [학술지논문]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에 드러난 오리엔탈리즘 다시 보기 영상예술연구, 2008, 191-228
- [학술지논문] Peripherals Encounter: The Hong Kong Film Syndrome in South Korea Discourse: Journal for Theoretical Studies in Media and Culture, 2008, v.28 no.2, 3 , 98-113
- [학술지논문] 소설에서 비디오게임까지: ‘블레이드 러너 이야기’의 텍스트 변용과정 분석 문학과 영상, 2008, v.9 no.3 , 727-756
- [학술지논문] So Close: Issues of Transcultural Remakes and Multicultural Reception Spectator: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Journal of Film and Television Criticism , 2007, v.27 no.21051 , 79-87
- [저역서] 여성, 영화의 중심에 서다: 노예에서 AI까지--페미니즘으로 영화 읽기 동인, 2023, 301
- [저역서] 젠더와 재현: 영미문학과 문화를 통해 본 여성문제 이화여재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471
- [저역서] 유럽의 영화와 문학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398
- [저역서] 셰익스피어 비극 , 2009, 624
- [저역서] How East Asian Films Are Reshaping National Identities: Essays on the Cinemas of China, Japan, South Korea, and Hong Kong , 2006, 275
강의
-
2025-1학기
-
Film and Literature
- 학수번호 35199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6 (학413) , 목 4~4 (학413)
-
문화연구특수과제
- 학수번호 G11996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4 (인201)
-
-
2024-2학기
-
British and American Film
- 학수번호 35171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6 (학410) , 목 4~4 (학410)
- 영어강의
-
글로벌영상예술사
- 학수번호 3832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4 (학551) , 금 5~5 (학551)
-
-
2024-1학기
-
Film and Literature
- 학수번호 35199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6 (학413) , 목 4~4 (학413)
-
문화이론연구
- 학수번호 G1199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4 (인202)
-
-
2023-2학기
-
British and American Film
- 학수번호 35171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3 (학855) , 목 2~2 (학855)
- 영어강의
-
장르이론II
- 학수번호 G18224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6 (인202)
-
-
2022-1학기
-
Film and Literature
- 학수번호 35199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6 , 목 4~4
- 영어강의
-
특수과제연구I
- 학수번호 G12004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3 (인201)
-
학력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h.D.(Critical Studies)
New York University M.A.(Cinema Studies)
이화여자대학교 문학석사(영어영문학)
이화여자대학교 문학사(영어영문학)
경력
이화미디어센터부주간 2014-02-01 ~ 2015-01-31
인문예술미디어융합전공주임교수 2016-09-01 ~ 2022-07-31
인문경영융합전공주임교수 2019-08-01 ~ 2022-07-31
인문테크놀로지융합전공주임교수 2019-08-01 ~ 2022-07-31
U of Southern California Visiting Assistant Prof./Postdoctoral Fellow 2006-09-01 ~ 2007-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