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충수(韓忠洙) 부교수
철학과 /미디어예술인문학협동과정
- 인문관 624호
- 02-3277-6680
연구실적
- 하이데거의 환한 밝힘(Lichtung) 개념과 노자의 무(無) 개념에 관한 비교 연구: 하이데거의 『도덕경』 11장 번역을 중심으로 철학사상, 2024, v.0 no.93, 85-
- An Elucidation of the Citation from Hölderlin’s Poem “The Journey” in Heidegger’s Essay “The Origin of the Work of Art” Kritike, 2023, v.16 no.3, 172-179
-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의 근원」에서 진리가 일어나는 세 번째 방식에 관한 연구 현대유럽철학연구, 2023, v.0 no.71, 67-94
- HEIDEGGER'S EXPLANATION OF THE HOELDERLIN'S POETRY: THE TRANSFORMATION OF THE BIOGRAPHICAL INTO POETIC KRITERION-REVISTA DE FILOSOFIA, 2019, v.60 no.144, 497-511
-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의 근원」에 등장하는 “국가 건립 행위”에 대한 해명 철학사상, 2019, no.71, 95-120
- 존재와 시간의 서문에 대한 고찰 현대유럽철학연구, 2018, v.48 no.48, 37~59
-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 개념과 장자의 무용지용 사상 현대유럽철학연구, 2018, v.50 no.50, 65~88
- 후설과 하이데거의 경험 개념 비교 연구 -하이데거의 『헤겔의 정신현상학』(1930/31)에서 두 종류의 경험 개념을 중심으로1)- 철학사상, 2018, v.67 no.67, 93~114
- HEIDEGGER'S RECEPTION OF TAOISM: THE NECESSITY OF THE UNNECESSARY (USELESS) IN THE RESULT-ORIENTED SOCIETY KRITERION-REVISTA DE FILOSOFIA, 2017, v.58 no.138, 509-520
- 비극의 탄생에서 니체의 모방 개념 현대유럽철학연구, 2017, v.45 no.45, 127~148
- [학술지논문]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의 근원」에서 예술의 본질에 관한 규정이 지닌 두 종류의 이중적 의미(Zweideutigkeit)에 대한 해명 현대유럽철학연구, 2024, v.73 no.73 , 27-55
- [학술지논문] An Elucidation of the Citation from Hölderlin’s Poem “The Journey” in Heidegger’s Essay “The Origin of the Work of Art” Kritike, 2023, v.16 no.3 , 172-179
- [학술지논문]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의 근원」에서 진리가 일어나는 세 번째 방식에 관한 연구 현대유럽철학연구, 2023, v.71 no.71 , 67-94
- [학술지논문] 하이데거와 슬르터다이크의 휴머니즘 JAHRBUCH FUR INTERNATIONALE GERMANISTIK, 2022, v.145 no.1 , 387-395
- [저역서] 이야기꾼과 놀이꾼 이학사, 2023, 462
- [저역서] 세상의 변화를 읽는 100책 국회도서관, 2022, 450
- [저역서] 예술 작품의 샘 이학사, 2022, 214
- [저역서] The Routledge Handbook of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Philosophy Routledge, 2020, 840
- [저역서] 철학적 생각을 배우는 작은 수업 이학사, 2020, 277
- [대학간행물] [읽어야 산다] 읽기 위해 사는 삶은 어떨까 이대학보, 2022, 5-5
- [학술발표] An Elucidation of the Comparative Degree (seiender) of Being in Heidegger’s Essay “The Origin of the Work of Art”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Heidegger Circle in Asia, 대만, 타이페이, 2023-10-04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Heidegger Circle in Asia, 2023, 48-56
- [학술발표] 쓸모없음의 쓸모 - 장자와 하이데거의 생각 지관서가의 인문학 강연, 대한민국, 2023-04-20 논문집 없음, 2023
- [학술발표] 하이데거의 예술관: 회화 속의 진리 서산 철학 강좌, 대한민국, 서울, 2023-11-09 예술을 향한 철학의 시선, 2023
- [학술발표] 하이데거의 장자 해석 140 Years Korean-German Partnerships Conference, 대한민국, 서울, 2023-09-19 Beyond Borders, 2023
- [학술발표] An Elucidation of the Citation from Hölderlin’s Poem “The Journey” in Heidegger’s Essay “The Origin of the Work of Art”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Heidegger Circle in Asia, 대한민국, 2022-12-03 논문집 없음, 2022
- [학술발표] 장자와 하이데거: 무용지용 사상의 수용 및 변용 제29회 인문과학대학 교수학술제, 대한민국, 2022-05-20 논문집 없음, 2022
- [학술발표] An Elucidation of Heidegger’s Expression “Founding a Political State” THE FIFTY-NINTH ANNUAL MEETING, 미국, 2021-09-24 논문집 없음, 2021
- [서평] 고명섭 『하이데거 극장』 창작과 비평, 2023, v.51 no.1 , 437-440
강의
-
2024-2학기
-
인간과철학적사유
- 학수번호 1104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생활319) , 목 5~5 (생활319)
- 영어강의
-
예술철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20215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6 (학409) , 목 4~4 (학409)
-
현상학
- 학수번호 G13884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6~7 (인205)
-
-
2024-1학기
-
인간과철학적사유
- 학수번호 1104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3 (학510) , 금 3~3 (학510)
- 영어강의
-
실존철학
- 학수번호 20211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4 (학552) , 금 5~5 (학552)
-
실존철학연구
- 학수번호 G13848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4~5 (인205)
-
예술론
- 학수번호 G18228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2~3 (인108)
-
-
2023-2학기
-
인간과철학적사유
- 학수번호 1104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학510) , 수 4~4 (학510)
- 영어강의
-
예술철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20215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학409) , 수 5~5 (학409)
-
동서미학연구
- 학수번호 G13896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인205)
-
-
2023-1학기
-
인간과철학적사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1104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포) , 목 4~4 (152)
- 영어강의
-
호크마세미나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11302분반 07
- 1학년 ( 1학점 수 7~7 (인624)
- 철학적 생각을 배우는 작은 수업
-
실존철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20211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캠) , 목 5~5 (225)
-
하이데거연구
- 학수번호 G13850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2~3 (인205)
-
-
2022-2학기
-
인간과철학적사유
- 학수번호 1104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교A202) , 수 4~4 (교A202)
- 영어강의
-
문화철학연구
- 학수번호 G13900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인205)
-
-
2022-1학기
-
인간과철학적사유
- 학수번호 1104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 수 4~4
- 영어강의
-
호크마세미나
- 학수번호 11302분반 05
- 1학년 ( 1학점 월 7~7 (인613)
- 철학적 생각을 배우는 작은 수업
-
실존철학
- 학수번호 20211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포358) , 목 5~5 (포358)
-
예술철학의문제
- 학수번호 G13877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6~7 (인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