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선(朴智善) 부교수
초등교육과
박지선 교수는 초등교육과 소속 교수로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립 초등학교에서 정교사로 근무하였으며,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에서 연구원으로 있었다. 현재 학부와 대학원에서 초등과학교육 관련 과목 및 질적 연구 방법론을 가르치고 있다. 초등과학탐구, STEAM 및 공학적 설계,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 교육관 A동 513호
- 02-3277-4516
연구실적
- [학술지논문] Elementary Students' Management of Conflicts i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and Its Effects on Their Group Interaction Progress Asia-Pacific Science Education, 2023, v.26 no.6 , 1-20
- [학술지논문] Spelling Errors in Korean Students’ Constructed Responses and the Efficacy of Automatic Spelling Correction on Automated Computer Scoring Technology, Knowledge and Learning, 2023, v.28 no.1 , 185-205
- [학술지논문]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n Scientific Inquiry: Focusing on a Guided-Inquiry Activity Using Inquirybot Asia-Pacific Science Education, 2023, v.2 no.2 , 1-31
- [학술지논문] 공기 압력에 대한 초등영재 학생들의 과학그리기 및 과학글쓰기에서 구성된 과학적 설명과 어포던스 분석 - 다중모드적 표상의 교육적 활용 - 초등과학교육, 2023, v.42 no.1 , 161-177
- [학술지논문] 2015 개정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2022, v.41 no.2 , 267-282
- [학술지논문] An Analysis of Student-generated Drawings in Terms of the Types of Scientific Explanations and Levels of Representations New Physics: Sae Mulli, 2022, v.72 no.6 , 456-466
- [학술지논문] Features of and representational strategies in instructional videos for primary science clas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22, v.44 no.16 , 2397-2422
- [학술지논문] How to understand and support marginaliz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 science classroom from the perspective of framing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2022, v.17 no.3 , 945-954
- [학술지논문] 우리나라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추이 및 하락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2, v.42 no.2 , 215-226
- [학술지논문]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인공지능 기반 서술형 자동채점 시스템 수용의도에 대한 연구 현장과학교육, 2022, v.16 no.2 , 195-205
- [학술지논문] 초⋅중⋅고등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성취가 낮은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2, v.42 no.3 , 325-340
- [학술지논문] 인간 및 비인간 주체의 교육적 피드백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분석: 교사, 또래, 인공지능의 피드백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v.21 no.5 , 733-745
- [학술지논문] 인공지능 챗봇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및 챗봇 활용 현황 분석: 과학 교육에서의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v.21 no.13 , 729-743
- [학술지논문]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이해 -VASI-E를 바탕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1, v.41 no.2 , 83-92
- [학술지논문] An Analysis of Different Grade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soning about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within a Learning Progression Asia-Pacific Science Education, 2020, v.6 no.2 , 548-563
- [학술지논문] Developing teacher professionalism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What and how should teachers learn?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2020, v.15 no.2 , 423-431
- [학술지논문] Element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Korea: past, present, and future Asia-Pacific Science Education , 2019, v.0 no.5 , 20-20
- [학술지논문] Relations among education, religiosity and socioeconomic variables SOUTH AFRICAN JOURNAL OF EDUCATION, 2019, v.39 no.1 , 1-13
- [학술지논문]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차시 학습 목표, 교과서 확인 문제의 일치도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 3 · 4학년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019, v.23 no.3 , 241-250
- [학술지논문] 초등 임용시험 과학과 문항 분석: 2001-2018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v.19 no.3 , 647-661
- [학술지논문] 학습 도구로서의 서술형 평가 그리고 인공지능의 활용: WA3I 프로젝트 사례 현장과학교육, 2019, v.13 no.3 , 271-282
- [학술지논문] 한국, 영국, 싱가포르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질문의 유형과 특징 비교: ‘그림자와 거울’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현장과학교육, 2019, v.13 no.2 , 159-170
- [학술지논문] ‘수업을 보는 눈’으로서 교사의 전문적 시각에 대한 기존 연구의 특징과 쟁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8, v.38 no.6 , 765-780
- [학술지논문] 초등교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실태 및시각적 표상의 기능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교육, 2018, v.37 no.2 , 219-231
- [학술지논문] 초등학생이 직접 디자인한 초등 과학 교과서 앞표지 분석 및 선호도 분석 현장과학교육, 2018, v.12 no.3 , 341-352
- [저역서] 함께 생각해보는 과학 수업의 딜레마2 북스힐, 2023, 325
-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에 제시된 창의·융합 활동의 공학 설계 측면 분석 현장과학교육, 2024, v.18 no.4, 369-384
-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Cognitive Processes and Calibration with an Unsupervised Learning-Based Automated Evaluation System SAGE Open, 2024, v.14 no.3
- Development of an Unsupervised LearningBased Automated Evaluation System of Descriptive Assessment Brain, Digital, & Learning, 2023, v.13 no.4, 339-351
- Spelling Errors in Korean Students’ Constructed Responses and the Efficacy of Automatic Spelling Correction on Automated Computer Scoring Technology, Knowledge and Learning, 2023, v.28 no.1, 185-205
- 공기 압력에 대한 초등영재 학생들의 과학그리기 및 과학글쓰기에서 구성된 과학적 설명과 어포던스 분석 - 다중모드적 표상의 교육적 활용 - 초등과학교육, 2023, v.42 no.1, 161-177
- 공학적 설계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이 마주하는 실패 경험과 이에 대한 대처 행동의 특징 탐색 초등과학교육, 2023, v.42 no.4, 577-590
- 과학교사가 서술형 평가에서 겪는딜레마 경험 탐색 현장과학교육, 2023, v.17 no.4, 361-375
- 2015 개정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2022, v.41 no.2, 267-282
- Features of and representational strategies in instructional videos for primary science clas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22, v.44 no.16, 2397-2422
- How to understand and support marginaliz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 science classroom from the perspective of framing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2022
- 우리나라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추이 및 하락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2, v.42 no.2, 215-226
-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인공지능 기반 서술형 자동채점 시스템 수용의도에 대한 연구 현장과학교육, 2022, v.16 no.2, 195-205
- 초⋅중⋅고등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성취가 낮은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2, v.42 no.3, 325-340
- 인공지능 챗봇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및 챗봇 활용 현황 분석: 과학 교육에서의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v.21 no.13, 729-743
-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이해 -VASI-E를 바탕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1, v.41 no.2, 83-92
- Developing teacher professionalism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What and how should teachers learn?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2020, v.15 no.2, 423-431
- Relations among education, religiosity and socioeconomic variables SOUTH AFRICAN JOURNAL OF EDUCATION, 2019, v.39 no.1, 1611
-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차시 학습 목표, 교과서 확인 문제의 일치도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 3 · 4학년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019, v.23 no.3, 241-250
- 초등 임용시험 과학과 문항 분석: 2001-2018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v.19 no.3, 647-661
- 학습 도구로서의 서술형 평가 그리고 인공지능의 활용: WA3I 프로젝트 사례 현장과학교육, 2019, v.13 no.3, 271-282
- 한국, 영국, 싱가포르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질문의 유형과 특징 비교: ‘그림자와 거울’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현장과학교육, 2019, v.13 no.2, 159-170
- ‘수업을 보는 눈’으로서 교사의 전문적 시각에 대한 기존 연구의 특징과 쟁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8, v.38 no.6, 765~780
- 초등교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실태 및 시각적 표상의 기능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교육, 2018, v.37 no.2, 219~231
- 초등학생이 직접 디자인한 초등 과학 교과서 앞표지 분석 및 선호도 분석 현장과학교육, 2018, v.12 no.3, 341~352
- 나는 왜 그렇게 대처하였는가?: 초등 과학실험 수업 중 발생한 불일치 상황에서의 교사의 대처 초등과학교육, 2016, v.35 no.3, 277-287
- [학술지논문]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에 제시된 창의·융합 활동의 공학 설계 측면 분석 현장과학교육, 2024, v.18 no.4 , 369-384
- [학술지논문]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Cognitive Processes and Calibration with an Unsupervised Learning-Based Automated Evaluation System SAGE OPEN, 2024, v.14 no.3 , 1-15
- [학술지논문] Development of an Unsupervised LearningBased Automated Evaluation System of Descriptive Assessment Brain, Digital, & Learning, 2023, v.13 no.4 , 339-351
- [학술지논문] 공학적 설계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이 마주하는 실패 경험과 이에 대한 대처 행동의 특징 탐색 초등과학교육, 2023, v.42 no.4 , 577-590
- [학술지논문] 과학교사가 서술형 평가에서 겪는딜레마 경험 탐색 현장과학교육, 2023, v.17 no.4 , 361-375
강의
-
2025-1학기
-
초등과학교육세미나
- 학수번호 G17900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8~9 (교A313)
- 시간변경
-
초등과학교육과정연구및개발
- 학수번호 EE25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
-
-
2023-2학기
-
초등과학교육방법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21562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5 (교)
-
질적교육연구실제
- 학수번호 G12634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교A414)
-
-
2023-1학기
-
1학년세미나(사범대)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10857분반 07
- 1학년 ( 1학점 수 7~7
- 슬기로운 초교 생활 / 교육관 6층 세미나실
-
초등과학기초이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21563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5 (교)
-
초등교육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21566분반 02
- 1학년 ( 3학점 , 3시간) 수 4~5 (교)
- 전공필수
-
STEAM, SSI와 초등과학교육
- 학수번호 G1790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교)
-
초등과학교육과정연구및개발
- 학수번호 EE25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
-
2022-2학기
-
초등과학교육방법
- 학수번호 21562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5 (교)
-
현장연구및실습
- 학수번호 36938분반 01
- 3학년 ( 3학점 수 4~5 (캠)
-
-
2022-1학기
-
1학년세미나(사범대)
- 학수번호 10857분반 10
- 1학년 ( 1학점 수 7~7 (교)
- 슬기로운 초교 생활
-
초등과학기초이론
- 학수번호 21563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목 6~7 (교)
-
초등교육론
- 학수번호 21566분반 02
- 1학년 ( 3학점 , 3시간) 수 4~5 (교)
- 전공필수
-
교육실습II
- 학수번호 35527분반 01
- 4학년 ( 2학점
-
초등과학교육연구
- 학수번호 G1259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
학력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과학교육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학석사(초등과학교육)
서울교육대학교 교육학사(초등교육과)
경력
초등교육과장 2021-02-01 ~ 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