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우(金正祐) 교수
국어교육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과정을 마치고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북경대학교 초빙교수, 영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한국어교육학회, 한국문학교육학회, 한국시학회, 국어교육학회, 한국어문학회,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등 학회에 이사 및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문학교육론, 한국현대시교육론, 생태환경과 문학교육 등의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 국어교육과장
- 교육관 A동 505호
- 02-3277-6664
연구실적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 국어과와 사회과의 민주시민 교육과 생태소양 교육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 2023, v.25 no.2, 21-51
- 북한의 시 교육 연구 - 초급중학교와 고급중학교 교과서의 작품과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021, v.0 no.73, 223-255
- 생태적 감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청람어문교육, 2021, no.79, 7-46
- 한국현대시문학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문학사 단원 분석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21, v.60, 121-148
- 고령친화 소통환경 조성을 위한 비노인 참여자들의 노인 의사소통 문제 인식 조사 -세대 간 소통, 교육 소통, 의료 소통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20, v.86, 45-87
- 노년층을 위한 국어문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요구 조사 분석 연구 어문학, 2020, no.149, 3-49
-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문화교육의 방향-문학작품 번역과 해석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20, no.68, 165-189
- 생태문학교육의 방향과 내용 - 통합적 운영과 융합과목으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2020, v.169, 1-27
- 생태시의 치유적 상상력 교육에 관한 연구 문학치료연구, 2019, v.53, 209~248
-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현대문학 영역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과교육학연구, 2018, v.22 no.1, 68~84
-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선택과목 ‘문학’의 변화와 개선 방안 문학교육학, 2017, no. 55, 47~84
- 성찰과 저항의 슬픔 - 윤동주 시의 탈식민성 한국시학연구, 2017, no. 50, 11~42
- 과학 기술 문명의 발전과 문학교육의 대응: 시선추적장치를 통해 본 지능정보사회 시 교육의 한 가능성 문학교육학, 2016, v.0 no.53, 77-120
-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신문 매체 텍스트의 한자어 이해 양상 연구: 한자 난도와 세대에 따른 양상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016, no.41, 49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새국어교육, 2016, v.107, 135~171
- A study on Sino-Korean word usage aspects as subjects of articles in online newspapers and traditional newspap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2015, v.10 no.18, 39345-39348
- 북한 중학교 『국어』의 시 교육 내용과 작품에 대한 고찰 어문학, 2015, v.0 no.129, 263-302
- 노년 세대의 문학이 가지는 치유의 기능 문학교육학, 2014, 44호, 73-106
- 스마트 교육 시대의 문학교육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1호, 77-105
- [학술지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 국어과와 사회과의 민주시민 교육과 생태소양 교육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 2023, v.25 no.2 , 21-51
- [학술지논문] 북한의 시 교육 연구 - 초급중학교와 고급중학교 교과서의 작품과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021, v.0 no.73 , 223-255
- [학술지논문] 생태감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청람어문교육, 2021, v.79 no.0 , 7-46
- [학술지논문] 한국현대시문학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문학사 단원 분석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21, v.90 no.0 , 121-148
- [학술지논문] 고령친화 소통환경 조성을 위한 비노인 참여자들의 노인 의사소통 문제 인식 조사 -세대 간 소통, 교육 소통, 의료 소통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20, v.86 no.0 , 45-87
- [학술지논문] 노년층을 위한 국어문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요구 조사 분석 연구 어문학, 2020, v.0 no.149 , 3-49
- [학술지논문]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문화교육의 방향-문학작품 번역과 해석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20, v.68 no.0 , 165-189
- [학술지논문] 생태문학교육의 방향과 내용 - 통합적 운영과 융합과목으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2020, v.169 no.0 , 1-27
- [저역서]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천 (주)박이정, 2021, 810
- [저역서] 문학교육을 위한 현대시작품론 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660
- [연구보고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1-331
- [연구보고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최종안)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1-624
- [학술발표] 교원 양성기관(사범대학)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미래 한국어교육학회 제294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2-10-07 변혁적 역량을 준비하는 (한)국어교육의 생태계: 미래로 나아가는 교사, 2022, 337-361
- [학술발표] 문학교육의 과제와 전망 제575돌 한글날 기념 전국 국어학 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1-10-15 국어교육학의 과제와 전망, 2021, 221-238
- [학술발표] 핵심역량 설정의 관점과 과제 뉴노멀시대, 국어과교육과정 개정의 쟁점과 방향, 대한민국, 서울, 2021-08-21 뉴노멀시대, 국어과교육과정 개정의 쟁점과 방향, 2021, 33-40
- [학술발표] 어르신을 위한 시 향유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한국독서학회 제45회 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0-06-20 한국독서학회 제45회 학술대회 자료집: 기초문식성과 독서복지, 2020, 70-79
강의
-
2025-1학기
-
1학년세미나(사범대)
- 학수번호 10857분반 18
- 1학년 ( 1학점 , 1시간) 수 7~7
- 국어교육과 문화 역량 (교육관 A동 505호)
-
교육실습(중등)
- 학수번호 35526분반 05
- 4학년 ( 2학점
- 국어교육과, 팀티칭
-
국어교육학개론
- 학수번호 36470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교) , 수 5~5 (251)
-
현대시교육론
- 학수번호 36480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교) , 목 5~5 (154)
-
문학교육과인접학문연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7748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A410)
-
-
2024-2학기
-
문학교육론
- 학수번호 36478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교) , 목 5~5 (461)
-
교육봉사의이론과실제
- 학수번호 36937분반 08
- 4학년 ( 2학점
- 국어교육4
-
교직적성·인성검사Ⅰ
- 학수번호 37437분반 06
- 학년 ( 0학점
- 사대만수강가능, 국어교육과 분반
-
교직적성·인성검사Ⅱ
- 학수번호 37438분반 06
- 학년 ( 0학점
- 교직적성·인성검사Ⅰ(37437) 선수강,국어교육과분반, 사대만 수강가능
-
문학이론과문학교육
- 학수번호 G1606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A414)
-
-
2024-1학기
-
1학년세미나(사범대)
- 학수번호 10857분반 22
- 1학년 ( 1학점 수 7~7
- 국어교육과 문화 역량
-
교육실습(중등)
- 학수번호 35526분반 05
- 4학년 ( 2학점
- 국어교육과, 팀티칭
-
국어교육학개론
- 학수번호 36470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교) , 수 5~5 (154)
- 5인팀티칭
-
국어교육학개론
- 학수번호 36470분반 02
-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교A406) , 목 5~5 (교A406)
- 5인팀티칭
-
현대시교육론
- 학수번호 36480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6 (교) , 목 4~4 (154)
-
현대시교육작품강독
- 학수번호 36495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금 2~3 (교)
-
현대시교육작품강독
- 학수번호 36495분반 02
- 2학년 ( 3학점 , 3시간) 금 4~5 (교)
-
한국현대시문학사교육연구
- 학수번호 G1774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A414)
-
한국현대시와문학교육
- 학수번호 KN23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교)
-
-
2023-2학기
-
문학교육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478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6 (교A402) , 목 4~4 (교A402)
-
교육봉사의이론과실제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937분반 08
- 4학년 ( 2학점
- 국어교육4
-
한국현대시교육연구
- 학수번호 G16088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5~6 (교)
-
문학교육론
- 학수번호 KN15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교)
-
-
2022-1학기
-
1학년세미나(사범대)
- 학수번호 10857분반 23
- 1학년 ( 1학점 목 7~7
- 국어교육과 문화역량
-
현대시교육론
- 학수번호 36480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3 (교A402) , 목 2~2 (교A402)
- 팀티칭
-
현대시교육작품강독
- 학수번호 36495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6 (교) , 목 4~4 (153)
- 팀티칭
-
문학교육론연구
- 학수번호 G1605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A410)
-
교육실습II(학교현장실습)
- 학수번호 ED114분반 01
- 학년 ( 2학점 , 2시간)
-
한국현대시와문학교육
- 학수번호 KN23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
학력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국어교육)
서울대학교 교육학석사(국어교육)
서울대학교 문학사(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