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민(李庭旼) 교수
교육공학과
이정민 교수는 이화여대 사범대학 교육공학과 소속 교수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학습설계 및 평가 연구 전문가다.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교육공학과에서 박사학위와 교육측정 및 통계 석사학위(복수학위)를 받았으며, 최근 스마트교육설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3년부터 BK21플러스 사업책임자로 창의혁신을 위한 스마트교육전문가양성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BK21, 교원양성 선도 사범대학 지원사업 등 다양한 연구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또한, 현재까지 총 50편 이상의 논문을 SSCI급 국제학술지 및 국내 등재학술지에 발표했다.
- 교육공학과장/멀티미디어학연계전공주임교수/교육과학연구소장
- 교육관 A동 530호
- 02-3277-2674
연구실적
-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 기반 학습에서 문제 유형에 따른 학습 데이터 분석: 네이버 엔트리(Entry)를 중심으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25, v.28 no.3, 11-25
- 예비교사를 위한 생성형AI챗봇 활용 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업 설계 프로그램 개발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5, v.31 no.1, 219-243
- 고등교육에서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 LDA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4, v.24 no.7, 458-472
- 고등학생을 위한 ChatGPT 활용 면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청소년학연구, 2024, v.31 no.5, 135-155
- 대학 튜터링 지원 챗봇 설계를 위한 튜터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v.24 no.11, 659-678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예비교사 대상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4, v.28 no.3, 275-287
- 예비교사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수업에서 생성형 AI 활용 효과 및 학습 경험 탐색: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4, v.30 no.6, 1689-1713
- 중학생 대상 M-PBL 디지털 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청소년학연구, 2024, v.31 no.5, 203-228
- 초등교사 대상 생성형 AI의 교수적 활용 사례 탐색: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4, v.28 no.4, 507-521
- 초등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교육공학연구, 2024, v.40 no.2, 475-500
- 토픽모델링과 체계적 문헌 분석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영어교육의 연구동향 Global Creative Leader : Education & Learning, 2024, v.14 no.3, 47-70
- Overcoming the Hurdles of Transition: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Distance Instru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23, v.24 no.1, 81-114
- Transforming Pre-service Teachers into Data-Driven Educators: A Developmental Research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23, v.24 no.2, 169-202
-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교수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공학연구, 2023, v.39 no.1, 315-344
- 예비교사를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3, v.29 no.4, 933-959
- 예비교사의 AI 융합교육 교수역량 측정 도구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3, v.23 no.23, 339-351
- 대학 온라인 컴퓨터 실습수업을 위한 실재감 설계원리 개발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v.22 no.6, 417-435
- 메타버스 활용 영어 말하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v.22 no.24, 777-800
- 비전공자를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파이썬 프로그래밍 학습지원시스템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2, v.28 no.3, 733-762
- 위(Wee) 프로젝트 정책의 교육복지로의 통합 가능성에 대한 정책지식의 생태학적 접근 한국교육문제연구, 2022, v.40 no.1, 75-98
- 국내 AI활용교육 연구동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1, v.25 no.6, 973-985
-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v.21 no.6, 307-325
- 국내 창의적 교육환경 연구 동향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2021, v.21 no.1, 1-21
- 국내 초등 발명교육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실과교육연구, 2021, v.27 no.1, 99-118
-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1, v.21 no.4, 331-346
- 대학 신입생 대상 온라인 동료 튜터링에 참여한 튜티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v.21 no.22, 583-605
-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1, v.21 no.11, 826-839
- 온라인 SW교양교육에서 자기조절, 교수실재감, 학습몰입이 컴퓨팅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1, v.25 no.3, 579-590
-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에서 학습실재감과 학습몰입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교육연구, 2021, v.35 no.2, 53-70
- 초등교사의 AI활용교육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1, v.27 no.4, 1325-1351
- Effects of robotics programming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TR&D-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2020, v.68 no.1, 463-484
-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2020, v.16 no.3, 18-32
-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 Systematic Review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20, v.21 no.2, 155-191
-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sharing of knowledge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online identity, self-efficacy,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s Behaviour and Information Technology, 2020, v.39 no.4, 379-390
- The Clustered Patterns of Engagement in MOOCs and Their Effects o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2020, v.16 no.4, 39-49
- Toward Serving MOOC Learners Globally: Focusing on Intent to Continue Using K-MOOC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2020, v.16 no.1, 65-74
- 가정형 위(Wee)센터의 교육적 특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파커 파머의 진리공동체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020, v.33 no.1, 143-173
-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초등교사의 SW교육 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0, v.20 no.8, 75-87
- 교육용로봇기반 SW융합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협업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0, v.24 no.2, 131-138
- 국내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0, v.26 no.4, 853-878
- 국내 증강현실 활용 교육 연구 동향: 2015년부터 2019년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v.20 no.11, 1-23
- 국내 증강현실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0, v.26 no.1, 129-156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학습성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v.20 no.19, 877-902
- 로봇 활용 SW융합교육에서 SW효능감이 컴퓨팅 사고력,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흥미와 학습참여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0, v.20 no.11, 1-14
- 역사교과 플립드러닝이 학업성취도, 교과흥미도,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020, v.26 no.3, 535-558
- 외국어로서 영어 교육에서의 플립러닝 연구동향: 체계적 문헌연구 중심으로 Global Creative Leader : Education & Learning, 2020, v.10 no.3, 109-133
- 자유학기제 연계 로봇활용 SW교육이 중학생의 컴퓨팅사고력, SW효능감, SW흥미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2020, v.24 no.3, 342-351
- 중국 MOOC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IT서비스학회지, 2020, v.19 no.1, 159-172
- 초등SW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0, v.20 no.10, 247-258
- 파이선(Python) 학습을 위한 평가 프로세스 설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0, v.24 no.1, 117-129
- Fostering group creativity through design thinking projects Knowledge Management and E-Learning, 2019, v.11 no.3, 378-392
- 대학 플립드러닝에서 수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 규명 디지털융복합연구, 2019, v.17 no.12, 1-11
- Effects of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2015, v.11 no.3, 1-6
- The Mediating Role of Self-Regu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Outcomes in the Digital Textbook for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15, v.16 no.1, 58-83
- [학술지논문] Generative AI chatbot for teachers’ data-informed decision-making: Effects and insight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2025, v.28 no.3 , 00-00
- [학술지논문] Personalized Suppor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Design and Development of a Generative AI Chatbot in Design Thinking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25, v.26 no.1 , 37-67
- [학술지논문] 예비교사를 위한 생성형AI챗봇 활용 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업 설계 프로그램 개발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5, v.31 no.1 , 219-243
- [학술지논문] 고등교육에서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 LDA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4, v.24 no.7 , 458-472
- [학술지논문] 고등학생을 위한 ChatGPT 활용 면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청소년학연구, 2024, v.31 no.5 , 135-155
- [학술지논문] 대학 튜터링 지원 챗봇 설계를 위한 튜터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v.24 no.11 , 659-678
- [학술지논문] 비전공자의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협력경험 분석: 네이버 Edwith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4, v.28 no.2 , 205-221
- [학술지논문]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예비교사 대상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4, v.28 no.3 , 275-287
- [학술지논문] 예비교사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수업에서 생성형 AI 활용 효과 및 학습 경험 탐색: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4, v.30 no.6 , 1689-1713
- [학술지논문] 중학생 대상 M-PBL 디지털 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청소년학연구, 2024, v.31 no.5 , 203-228
- [학술지논문] 초등교사 대상 생성형 AI의 교수적 활용 사례 탐색: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4, v.28 no.4 , 507-521
- [학술지논문] 초등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교육공학연구, 2024, v.40 no.2 , 475-500
- [학술지논문] 토픽모델링과 체계적 문헌 분석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영어교육의 연구동향 Global Creative Leader, 2024, v.14 no.3 , 47-70
- [학술지논문] Overcoming the Hurdles of Transition: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Distance Instru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23, v.24 no.1 , 81-114
- [학술지논문] Transforming Pre-service Teachers into Data-Driven Educators: A Developmental Research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23, v.24 no.2 , 169-202
- [학술지논문]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교수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공학연구, 2023, v.39 no.1 , 315-344
- [학술지논문] 예비교사를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3, v.29 no.4 , 933-959
- [학술지논문] 예비교사의 AI 융합교육 교수역량 측정 도구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3, v.23 no.23 , 339-351
- [학술지논문] 대학 온라인 컴퓨터 실습수업을 위한 실재감 설계원리 개발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v.22 no.6 , 417-435
- [학술지논문] 메타버스 활용 영어 말하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v.22 no.24 , 777-800
- [학술지논문] 비전공자를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파이썬 프로그래밍 학습지원시스템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2, v.28 no.3 , 733-762
- [학술지논문] Enhancing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in informatics in secondary education: the case of South Korea ETR&D-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2021, v.69 no.5 , 2869-2893
- [학술지논문] 국내 AI활용교육 연구동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1, v.25 no.6 , 973-985
- [학술지논문]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v.21 no.6 , 307-325
- [학술지논문] 국내 창의적 교육환경 연구 동향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2021, v.21 no.1 , 1-21
- [학술지논문] 국내 초등 발명교육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실과교육연구, 2021, v.27 no.1 , 99-118
- [학술지논문]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1, v.21 no.4 , 331-346
- [학술지논문] 대학 신입생 대상 온라인 동료 튜터링에 참여한 튜티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v.21 no.22 , 583-605
- [학술지논문]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1, v.21 no.11 , 826-839
- [학술지논문] 온라인 SW교양교육에서 자기조절, 교수실재감, 학습몰입이 컴퓨팅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1, v.25 no.3 , 579-590
- [학술지논문]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에서 학습실재감과 학습몰입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교육연구, 2021, v.35 no.2 , 53-70
- [학술지논문] 초등교사의 AI활용교육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1, v.27 no.4 , 1325-1351
- [학술지논문] Effects of robotics programming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TR&D-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2020, v.68 no.1 , 463-484
- [학술지논문]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2020, v.16 no.3 , 18-32
- [학술지논문]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 Systematic Review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20, v.21 no.2 , 155-191
- [학술지논문]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sharing of knowledge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online identity, self-efficacy,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s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2020, v.39 no.4 , 379-390
- [학술지논문] The Clustered Patterns of Engagement in MOOCs and Their Effects o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2020, v.16 no.4 , 39-49
- [학술지논문] Toward Serving MOOC Learners Globally: Focusing on Intent to Continue Using K-MOOC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2020, v.16 no.1 , 65-74
- [학술지논문]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초등교사의 SW교육 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0, v.20 no.8 , 75-87
- [학술지논문] 교육용로봇기반 SW융합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협업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0, v.24 no.2 , 131-138
- [학술지논문] 국내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0, v.26 no.4 , 853-878
- [학술지논문] 국내 증강현실 활용 교육 연구 동향: 2015년부터 2019년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v.20 no.11 , 1-23
- [학술지논문] 국내 증강현실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0, v.26 no.1 , 129-156
- [학술지논문]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학습성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v.20 no.19 , 877-902
- [학술지논문] 로봇 활용 SW융합교육에서 SW효능감이 컴퓨팅 사고력,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흥미와 학습참여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0, v.20 no.11 , 1-14
- [학술지논문] 역사교과 플립드러닝이 학업성취도, 교과흥미도,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020, v.26 no.3 , 535-558
- [학술지논문] 외국어로서 영어 교육에서의 플립러닝 연구동향: 체계적 문헌연구 중심으로 Global Creative Leader, 2020, v.10 no.3 , 109-133
- [학술지논문] 자유학기제 연계 로봇활용 SW교육이 중학생의 컴퓨팅사고력, SW효능감, SW흥미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2020, v.24 no.3 , 342-351
- [학술지논문] 초등SW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0, v.20 no.10 , 247-258
- [학술지논문] 파이선(Python) 학습을 위한 평가 프로세스 설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0, v.24 no.1 , 117-129
- [학술발표] Exploring the potential of DATA: Empowering In-Service Teachers through Data-Driven Decision-Making AECT International Convention 2024, 미국, 2024-10-02 AECT International Convention 2024 Proceeding, 2024
- [학술발표] From Invisible to Visible: Developing Generative AI-powered Data Visualiz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AECT International Convention 2024, 미국, 2024-10-02 AECT International Convention 2024 Proceeding, 2024
- [학술발표] 국내교육에서의 윤리적AI활용 연구동향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4-06-01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4
- [학술발표] 대학튜터링 프로그램에서 튜터 지원을 위한 생성형AI챗봇 개발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 대한민국, 2024-06-01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4
- [학술발표] 약물남용 예방교육을 위한 생성형AI기반 롤플레잉 수업설계와 효과성연구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4-06-01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4
- [학술발표] 초등교사대상 생성형AI의 교수적 활용사례 탐색-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4-06-01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4
- [학술발표] 플립러닝 기반 대학SW교육에서 자기조절학습 지원을 위한 대시보드 설계방안 탐색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4-06-01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4
- [학술발표] 협력학습 지원을 위한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교육요구도 분석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4-06-01 2024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4
- [학술발표] ChatGPT기반 학습 맥락에서 대화형 AI프롬프트 설계지침 탐색: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을 중심으로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11-11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023
- [학술발표] Design Thinking 기반 팀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지원 시스템 개발연구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11-11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023
- [학술발표] MOOC에서 자동내용분석을 통한 인지적 실재감 예측모델 규명 2023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06-17 2023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3
- [학술발표] 대학 동료튜터링에서 ChatGPT의 활용방안 탐색-튜터의 관점에서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11-11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023
- [학술발표] 대학 플립러닝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을 위한 설계전략 탐색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11-11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023
- [학술발표] 대학교육에서의 ChatGPT 활용 연구동향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11-11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023
- [학술발표] 예비교사의 교육 데이터리터러시 프레임워크 개발연구 2023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06-17 2023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2023
- [학술발표] 예비교원을 위한 AI융합교육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연구 2023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06-17 2023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3
- [학술발표] 온라인수업환경에서 초등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척도개발을 위한 구성요인 탐색 2023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05-13 2023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3
- [학술발표] 중학생의 디지털시민성 향상을 위한 M(Metaverse)-PBL수업 개발연구 2023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05-13 2023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3
- [학술발표]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유튜브 영상의 교육적 활용 연구동향 및 주제분석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11-11 2023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023
- [학술발표]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Emergency Remote Teaching: A Qualitative study in South Korea 2021 Annual Meeting of AERA, 미국, 2021-04-06 2021 Annual Meeting of AERA Proceeding, 2021
- [학술발표] 국내 AI교육 관련 연구동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05-22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1
- [학술발표] 대학 신입생 대상 온라인 튜터링에 참여한 튜티의 경험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05-22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1
- [학술발표] 메타버스를 활용한 영어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2021 한국교육공학회 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11-13 2021 한국교육공학회 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021
- [학술발표]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학습지원시스템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델파이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05-22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1
- [학술발표] Augmented reality trends in educational research: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Korean literature 2020 AECT, 미국, 잭슨빌, 2020-11-06 2020 AECT, 2020
강의
-
2025-1학기
-
교육실습(중등)
- 학수번호 35526분반 02
- 4학년 ( 2학점
- 교육공학과, 팀티칭
-
창의적융합교육연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7213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교) , 수 4~4 (461)
-
교육공학HRD현장실습Ⅰ
- 학수번호 38202분반 01
- 4학년 ( 3학점
- 추가 개설
-
학습테크놀로지연구동향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302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5~6 (교)
-
-
2024-2학기
-
교수-학습이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0710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교) , 목 5~5 (151)
-
교육봉사의이론과실제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937분반 03
- 4학년 ( 2학점
- 교육공학4
-
교직적성·인성검사Ⅰ
- 학수번호 37437분반 09
- 학년 ( 0학점
- 사대만수강가능, 교육공학과 분반
-
교직적성·인성검사Ⅱ
- 학수번호 37438분반 09
- 학년 ( 0학점
- 교직적성·인성검사Ⅰ(37437) 선수강, 교육공학과분반, 사대만 수강가능
-
교육공학HRD현장실습Ⅰ
- 학수번호 38202분반 01
- 4학년 ( 3학점
- 추가 개설
-
학습자특성연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3004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3~4 (교)
-
교육테크놀로지연구동향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EH35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
-
-
2024-1학기
-
교육실습(중등)
- 학수번호 35526분반 02
- 4학년 ( 2학점
- 교육공학과, 팀티칭
-
창의적융합교육연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7213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교) , 수 5~5 (462)
-
디지털교육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9324분반 01
- 학년 ( 1학점 , 1시간) 금 3~3 (교)
- 팀티칭
-
학습동기분석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276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4 (교)
-
-
2023-2학기
-
교수-학습이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0710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교) , 목 5~5 (151)
-
교육봉사의이론과실제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937분반 03
- 4학년 ( 2학점
- 교육공학4
-
교육공학HRD인턴십Ⅰ
- 학수번호 36957분반 01
- 3학년 ( 1학점
- 추가 개설, 인턴십, 사전 선발생만 수강 가능
-
교육공학HRD인턴십Ⅱ
- 학수번호 36958분반 01
- 3학년 ( 2학점
- 추가 개설, 인턴십, 사전 선발생만 수강 가능
-
학습테크놀로지연구동향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302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3~4 (교)
-
-
2023-1학기
-
창의적융합교육연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7213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교) , 목 6~6 (461)
-
문제해결을위한교수설계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710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4 (교)
-
-
2022-2학기
-
교수-학습이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0710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교A414) , 수 4~4 (교A414)
-
비형식학습과미디어
- 학수번호 38815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교A410)
-
학습동기분석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276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4 (교)
- 시간변경,강의실변경
-
-
2022-1학기
-
1학년세미나(사범대)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10857분반 12
- 1학년 ( 1학점 목 7~7 (교A315)
- 에듀테크 R&D
-
창의적융합교육연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7213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교) , 목 3~3 (154)
-
학습자특성연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3004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5 (교)
-
교육공학연구동향
- 학수번호 EH35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
학력
Florida State University Ph.D.(Instructional system)
이화여자대학교 문학석사(교육공학)
이화여자대학교 문학사(교육공학)
Florida State University M.S.(Measurement and Statistics)
경력
교육공학과장 2018-02-01 ~ 2020-01-31
멀티미디어학연계전공주임교수 2018-02-01 ~ 2020-01-31
Purdue Univ. Post-doc 2009-03-23 ~ 2010-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