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영(崔珍瑛) 교수
초등교육과
최진영 교수는 초등교육과 소속 교수로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에서 Curriculum, Teaching, and Educational Policy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립 초등학교에서 정교사로 근무하였으며, 이화여대에 오기 전에는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연구 관심사는 교육과정 정책 및 실행, 통합교육과정, 초등사회과 및 다문화교육과정, 교사교육 및 교사학습 등이며 교육과정연구, 초등교육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등 다양한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 부속초등학교장
- 교육관 A동 516호
- 02-3277-4557
연구실적
- 2015 및 2022 개정 공통 교육과정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관련 성취기준 분석 교육과학연구, 2024, v.55 no.3, 117-141
- 초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유튜브 과의존 및 학습 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문화연구, 2024, v.30 no.4, 429-453
- 초등학생의 유튜브 이용 동기가 유튜브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2023, v.29 no.6, 519-538
- 초임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과 수업 계획: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일반화된 지식을 중심으로1 교과교육학연구, 2023, v.27 no.5, 490-506
-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에 따른 교사들의 이해와 수업 계획 교과교육학연구, 2022, v.26 no.2, 111-129
- 교사들이 지각한 민주적·협력적 학교문화 특성 요인과 수업혁신 간의 관계 분석: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021, v.31 no.4, 21-44
- 혁신 초등학교 교사들의 비전 형성 및 비전 공유 과정에 대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v.20 no.12, 1169-1198
- 관광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접촉 이론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019, v.23 no.7, 1-29
- Bridging social justice literacies: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2018, v.15 no.2, 23-46
- Understanding elementary teachers’ different responses to reform: The case of implementation of an assessment reform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017, v.9 no.3, 581-598
- 교사의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문서 활용 양상 탐색: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v.17 no.20, 709~738
- 초등교원 임용시험 수험생들의 경험과 학습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과교육학연구, 2017, v.21 no.4, 398~410
- 핵심 역량 개발을 위한 핀란드와 캐나다의 교육과정 개혁 사례 분석: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v.17 no.8, 161~189
- Teaching for social justice: Voices from prospective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2016, v.13 no.2, 259-282
- 초등학교 내 교사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장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 비교 연구 교원교육, 2016, v.32 no.2, 213~242
- 캐나다 온타리오와 호주의 사회과 교육과정 및 미국 C3 Framework의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과 기능 관련 내용 분석: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016, v.20 no.5, 407~423
- 관광 관련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경험한 진로교육,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상태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관광학연구, 2015, v.39 no.7, 123-140
- 관광관련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상태 유형 분석:진로결정상태 모형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2015, v.30 no.3, 51-74
-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영재교육연구, 2015, v.25 no.6, 771-797
- 초등교사의 고용형태에 따른 교사의 질 관련 변인 차이 분석-OECD 6개 국가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015, v.25 no.3, 49-72
-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 유형 탐색 교원교육, 2015, v.31 no.3, 121-141
- Bennett의 다문화교육과정의 목표를 중심으로 한 미국 워싱턴 주와 한국의 초등 교육과정 비교・분석 교육과학연구, 2014, 제45권 3호, 193-220
- 교사 신뢰, 교사 협력과 학교 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과학연구, 2014, 제45권 4호, 245-273
-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2014, 제32권 4호, 77-101
- 다문화교육 접근법에 따른 다문화교육 정책 및 실행 분석 초등교육연구, 2014, 제27권 4호, 295-322
-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교육목표 및 교과목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014, 제24권 5호, 807-827
강의
-
2025-1학기
-
초등사회교육과정개발
- 학수번호 G12535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A414)
-
-
2024-2학기
-
통합교육과정
- 학수번호 32949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목 2~3 (교)
-
-
2024-1학기
-
초등학교교육과정개발현장연구
- 학수번호 G1251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A406)
-
-
2023-2학기
-
통합교육과정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2949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목 2~3 (교)
-
-
2023-1학기
-
초등사회과교육과정비교연구
- 학수번호 G1634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A414)
-
-
2022-2학기
-
통합교육과정
- 학수번호 32949분반 02
- 3학년 ( 3학점 , 3시간) 목 2~3 (교)
-
학력
Michigan State University Ph.D.(교육학)
경력
부속초등학교장 2022-09-01 ~ 2026-08-31
초등교육과장 2019-08-01 ~ 2021-01-31
교무처부처장(학적) 2017-03-01 ~ 2019-01-31
초등교육과장 2016-08-01 ~ 2017-02-28
초등교육과장 2011-02-01 ~ 201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