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정(金秀靜) 교수
디자인학부
김수정 교수는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교수로 디자인아이덴티티와 기초디자인 분야의 연구자이다. 독일 뒤셀도르프대학교에서 시각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받고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 박사과정을 이수했다. 2006년부터 디자인과 색채이미지의 정체성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유수의 기업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조형예술관 C동 206호
- 02-3277-4472
- 면담 가능시간
- 수 10-12시, 금 1-3시
연구실적
- 디자인전문회사의 브랜드 디자인 프로세스 현황 및 주요 가치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4, v.22 no.2, 57-70
- 브랜드의 기후환경을 위한 소셜미디어캠페인 참여 유형 연구- 스포츠·아웃도어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3, v.21 no.1, 261-274
- 이색 콜라보레이션 식품 디자인의 결합 유형 연구- 펀슈머 성향과 인지적 적합성을 중심으로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3, v.21 no.1, 387-402
- 기업 이모티콘 디자인의 브랜드 경험에 나타난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2, v.20 no.3, 317-332
- 한방화장품 브랜드 진정성이 브랜드 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성적 소비가치를 매개요인으로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2, v.20 no.1, 217-232
- Analysis on the shape and size of sanitary pads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20, v.44 no.3, 485-498
- 날씨 앱(App)에 나타난 인간중심적 브랜드 특성 연구-정보 인지 유형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0, v.18 no.3, 227-240
- 브랜드 체험공간의 감성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0, v.18 no.4, 357-370
- 빅데이터 어휘 분석을 통한 유기농 브랜드 특성 연구 - 국내 유기농생리대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20, v.70, 205-218
- A study of the brands characteristics using big data corpus analysis-focused on south korean sanitary pad brand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19, v.32 no.4, 113-127
- TV 방송 프로그램 아이덴티티의 스타일 연구-요리 예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19, v.17 no.1, 105-116
- 스몰데이터 유형에 따른 시각화 표현 방법 연구 - 2000년대 이후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9, v.67, 223-235
- 재산증식형 보드게임의 속성과 디자인의 상관성 분석 연구 - 로제 카이와의 놀이 이론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9, v.67, 9-23
- Co-design 관점의 장소브랜딩 연구 - 폐철도부지 도심공원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8, v.64 no.1, 141~154
- 글로컬 브랜드화를 위한 키즈 놀이콘텐츠 연구 - 국내 키즈카페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8, v.65, 35~52
- 브랜드 경험을 활용한 스포츠센터 공간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8, v.62 no.1, 119~136
- 브랜드스케이핑에 따른 국내 부티크호텔의 특성 분석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18, v.16 no.1, 215~230
- 커스터마이징 디자인에 나타난 가치소비 트렌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8, v.62 no.0, 197~214
- A research on the organic minimalism regarding changes in minimalism: Focused on the field of contemporary branding Information (Japan), 2017, v.20 no.6, 4311-4318
- A study of graphic symbol reflecting experiences Information (Japan), 2017, v.20 no.9, 6959-6966
- B급 문화를 반영한 서체 표현 특성 분석 연구 - 언어유희(PUN)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7, v.59 no.1, 269~282
- Entertainment company's brand extension with pop culture content communication Information (Japan), 2017, v.20 no.10, 7803-7812
- K-BEAUTY 플래그쉽 스토어에 나타나는 체험마케팅 특성 분석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7, v.60, 201~214
- 로제 카이와 놀이학에 근거한 체험식 전시의 유형 연구- 국내 어린이박물관 사례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7, v.58, 151
- 이모티콘 컨텍스트에 의한 감정 커뮤니케이션 연구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17, v.18 no.3, 237~248
- 저비용항공사의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브랜드 요소 분석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7, v.61, 57~76
- 헤리티지 강화를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선 방안 연구 -제주해녀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17, v.15 no.1, 149~160
- The design methodology on government identity through visual thinking: Gestalt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2016, v.11 no.2, 798-803
- 그래픽 심볼의 정보 유형과 시각 표현에 관한 연구-공공시설의 그래픽 심볼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5호, 135-146
- 기능주의를 바탕으로 실험된 타이포그래피 표현 사례 연구 -시각 수사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6호, 451-464
- 레트로에 나타난 시대적 표현 연구- 패턴 디자인의 배색과 색채조화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014, 제28권 1호, 83-95
- [학술지논문] 브랜드의 기후환경을 위한 소셜미디어캠페인 참여 유형 연구- 스포츠·아웃도어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3, v.21 no.1 , 261-274
- [학술지논문] 이색 콜라보레이션 식품 디자인의 결합 유형 연구- 펀슈머 성향과 인지적 적합성을 중심으로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3, v.21 no.1 , 387-402
- [학술지논문] 기업 이모티콘 디자인의 브랜드 경험에 나타난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2, v.20 no.3 , 317-332
- [학술지논문] 한방화장품 브랜드 진정성이 브랜드 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성적 소비가치를 매개요인으로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2, v.20 no.1 , 217-232
- [학술지논문] 날씨 앱(App)에 나타난 인간중심적 브랜드 특성 연구-정보 인지 유형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0, v.18 no.3 , 227-240
- [학술지논문] 브랜드 체험공간의 감성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20, v.18 no.4 , 357-370
- [학술지논문] 빅데이터 어휘 분석을 통한 유기농 브랜드 특성 연구 - 국내 유기농생리대 중심으로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20, v.70 no.0 , 205-218
강의
-
2025-1학기
-
브랜드아이덴티티디자인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765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4 (조형C104(ST-4))
-
실험디자인Ⅰ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074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3~4 (조형C203)
-
-
2024-1학기
-
디지털드로잉Ⅰ
- 학수번호 37951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3 (조형A416-1)
- 수험번호 13300056~13300359
-
브랜드디자인의확장Ⅰ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614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3~4 (조형C203)
-
브랜드디자인스튜디오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D10408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조형C203)
-
-
2023-2학기
-
형과이미지Ⅱ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7952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3 (조형C101(ST-1))
- 디자인학부 1학년, 2023-1학기와 동일한 분반으로 수강신청
-
실험디자인 IV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734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4 (조형C203)
-
-
2023-1학기
-
형과이미지I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7951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3 (조형C101(ST-1))
- 디자인학부 1학년 수험번호 13030006~13030117
-
실험디자인 III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7348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4 (조형C203)
-
-
2022-2학기
-
플렉서블아이덴티티디자인
- 학수번호 36669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6 (조형C104(ST-4))
-
형과이미지II
- 학수번호 37952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수 2~3 (조형C101(ST-1))
- 디자인학부 1학년, 2022-1학기와 동일한 분반으로 수강신청
-
-
2022-1학기
-
형과이미지I
- 학수번호 37951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3 (조형C101(ST-1))
- 디자인학부 1학년, 수험번호 13030010~13030088
-
시각텍스트의해독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074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4 (조형C203)
-
브랜드디자인스튜디오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D10408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