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 Hye Kim Professor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Humanities Building #522
- 02-3277-2683
- Research Interests
Research Record
- 한·중 소설 비교를 통한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과 나위장(羅偉章)의 「우리의 길」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2024, v.0 no.99, 351-390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설 창작 교육의 가능성 어문연구(語文硏究), 2023, v.51 no.4, 373-401
- 포스트 팬데믹 시대, 문학 정전으로서의 최인훈의 <광장> 새롭게 읽기 문학교육학, 2023, v.0 no.79, 103-130
- 1960년대 이어령 소설의 탈근대성 연구 이화어문논집, 2022, v.0 no.57, 29-58
- 성인 필자의 글쓰기 공동체 연구 - ‘글방’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2022, v.0 no.55, 131-170
- 한중 소설 번역에서의 서술 방식 연구 -「삼포 가는 길」의 네 가지 중국어 번역본을 중심으로- 통역과 번역, 2022, v.24 no.2, 173-200
- 현대소설에 나타난 생명자본과 죽음 - 김애란, 윤고은, 김영하의 소설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2022, v.30 no.2, 15-42
- 노년 세대를 위한 서사 교육의 설계와 방향 독서연구, 2021, no.60, 263-297
- 고교학점제에 따른 국어교육의 과제 — 대학입시제도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020, v.55 no.3, 99-130
- 고령친화 소통환경 조성을 위한 비노인 참여자들의 노인 의사소통 문제 인식 조사 -세대 간 소통, 교육 소통, 의료 소통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20, v.86, 45-87
- 노년층을 위한 국어문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요구 조사 분석 연구 어문학, 2020, no.149, 3-49
- 디지털 세대, 새로운 서사의 향유 방식과 문학교육의 미래 국어교육, 2020, no.169, 29-57
- 다문화 문식성 함양을 위한 소설교육 연구 - 공감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19, no.69, 199-228
- 죽음 성찰과 애도를 위한 소설교육 —김애란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019, v.54 no.3, 35-63
-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새국어교육, 2019, no.120, 61-96
-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에 대한 질적 탐색 - 학습 생애사적 접근의 내러티브 인터뷰와 질적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19, no.71, 165-202
-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수업의 제(諸) 문제 - 태국 중등학교 교사 및 학습자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2019, no.166, 31-62
-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현대문학 영역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과교육학연구, 2018, v.22 no.1, 68~84
- 현대소설에 나타난 치매 표상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2018, no.72, 53~80
- 현대소설을 통한 죽음교육 연구 문학과환경, 2018, v.17 no.3, 93~124
- 소설과 과학, 그 융합 교육의 가능성 국어교육연구, 2017, no. 40, 189~217
- 재난 서사에 담긴 종교적 상징과 파국의 의미 — 김애란, 윤고은, 정용준의 소설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7, no. 70, 57~78
- 1960년대 손창섭의 신문연재소설에 나타난 청년 표상 연구 어문학, 2016, v.0 no.131, 189-214
- 청소년소설에 나타난생태주의적 상상력과 교육적 의미 연구1 문학과환경, 2016, v.15 no.4, 29
- 체육 계열 전공자를 위한 대학글쓰기- 가천대학교 계열별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2016, v.28, 35-63
- 한국전쟁의 원체험과 재구(再構)의 변주 - 이청준 소설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2016, v.88, 213~239
- [학술지논문] From Recipient to Prosumer: A Study on the Remediation Trends of Young Adult Novels -Focusing on Book Trailers - 한국교육논총, 2024, v.45 no.1 , 73-101
- [학술지논문] 한·중 SF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 비교 연구 ― 김초엽과 하오징팡(郝景芳)을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 2024, v.0 no.38 , 351-375
- [학술지논문] 한·중 소설 비교를 통한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과 나위장(羅偉章)의 「우리의 길」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2024, v.0 no.99 , 351-390
- [학술지논문]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설 창작 교육의 가능성 어문연구(語文硏究), 2023, v.51 no.4 , 373-401
- [학술지논문] 포스트 팬데믹 시대, 문학 정전으로서의 최인훈의 <광장> 새롭게 읽기 문학교육학, 2023, v.0 no.79 , 103-130
- [학술지논문] 1960년대 이어령 소설의 탈근대성 연구 이화어문논집, 2022, v.0 no.57 , 29-58
- [학술지논문] 성인 필자의 글쓰기 공동체 연구 - ‘글방’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2022, v.0 no.55 , 131-170
- [학술지논문] 현대소설에 나타난 생명자본과 죽음 - 김애란, 윤고은, 김영하의 소설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2022, v.30 no.2 , 15-42
- [학술지논문] Design and directions of narrative education oriented toward the elderly generation 독서연구, 2021, v.0 no.60 , 263-297
- [학술지논문] Korean Language Education Tasks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Focusing on the Linkage with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국어교육학연구, 2020, v.55 no.3 , 99-130
- [학술지논문] 노년층을 위한 국어문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요구 조사 분석 연구 어문학, 2020, v.0 no.149 , 3-49
- [학술지논문] 디지털 세대, 새로운 서사의 향유 방식과 문학교육의 미래 국어교육, 2020, v.0 no.169 , 29-57
- [학술발표] 웹소설을 활용한 한국 소설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제16차 국제학술대회, 베트남, 호찌민, 2024-01-13 한국어 학습자의 다변화와 한국언어문화교육, 2024, 134-139
- [학술발표] 한국과 베트남의 베트남전쟁 소설에 나타난 감정 비교 연구-<하얀전쟁>과 <전쟁의 슬픔>에 나타난 수치심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INK) 38차 추계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4-10-26 뉴노멀 시대, 한국언어문화교육의 도전과 지평 확장, 2024, 144-156
- [학술발표]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설 창작 교육의 가능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제243 전국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10-21 AI 시대, 텍스트의 재발견: 텍스트성, 저자성의 재고찰, 2023
- [학술발표] 포스트 팬데믹 시대, 문학 정전으로서의 최인훈 <광장> 새롭게 읽기 한국문학문학교육학회 92회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04-29 팬데믹 이후 사회에서 문학 텍스트 읽기, 2023, 18-29
- [학술발표] 이어령 소설의 탈근대성 연구 2022 이화어문학회 여름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2-07-12 시대를 선도한 지성, 이어령의 문학 톺아보기, 2022, 93-106
- [학술발표] 현대소설에 나타난 생명자본과 죽음-김애란, 윤고은, 김영하의 소설을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제44회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온라인줌, 2022-06-18 팬데믹 시대, 생명과 죽음, 2022, 23-36
- [학술발표] 고교학점제와 대학입학제도 연계성 문제에 따른 국어교육의 과제 제71회 국어교육학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0-06-13 고교학점제(선택 중심 교육과정) 환경에서의 국어교육, 2020, 71-81
- [학술발표] 노년 세대를 위한 서사 교육의 설계와 방향 2020 한국어교육학회, 한국독서학회 공동 학술발표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0-09-19 언어복지와 교육, 2020, 355-367
Courses
-
2025-1st
-
First-Year Seminar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10857Class No 19
- 1Year ( 1Credit , 1Hour) Thu 7~7
-
Readings in Korean Modern Prose for Education
- Subject No 36862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ue 4~4 (EDU-A406) , Fri 5~5 (EDU-A406)
-
Readings in Korean Modern Prose for Education
- Subject No 36862Class No 02
- 2Year ( 3Credit , 3Hour) Tue 6~6 (EDU-) , Thu 4~4 (154)
-
Studies of Teaching Adolescent Literature
- Subject No G16060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A410)
-
-
2024-2nd
-
Theories in Teaching Modern Korean Novels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6476Class No 01
- 3Year ( 3Credit , 3Hour) Tue 6~6 (EDU-A414) , Thu 4~4 (EDU-A414)
-
Studies in Digital Culture and Literature Education
- Subject No G17751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A410)
-
Modern Korean Fic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KN236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
-
-
2023-1st
-
Teaching Practice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5526Class No 05
- 4Year ( 2Credit
-
Theories in Teaching Literature and Culture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6483Class No 01
- 4Year ( 3Credit , 3Hour) Mon 4~4 (EDU-) , Thu 5~5 (154)
-
Readings in Korean Modern Prose for Education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6862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ue 6~6 (EDU-) , Thu 4~4 (152)
-
Teaching Practice (Advanced)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9257Class No 01
- 4Year ( 3Credit
-
Studies of Teaching Korean Modern Prose
- Subject No G16057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A406)
-
Methods of Teaching Korean Literature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KN206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
-
-
2022-2nd
-
Theories in Teaching Modern Korean Novels
- Subject No 36476Class No 01
- 3Year ( 3Credit , 3Hour) Mon 4~4 (EDU-) , Thu 5~5 (152)
-
Korean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6861Class No 01
- 4Year ( 3Credit , 3Hour) Tue 6~6 (EDU-) , Thu 4~4 (154)
-
Educational Practicum
- Subject No 36937Class No 08
- 4Year ( 2Credit
-
Studies in Literature Education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 Subject No G17809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Mon 8~9 (EDU-)
- Classroom Changed
-
Modern Korean Fic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 Subject No KN236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
-
-
2022-1st
-
Teaching Practice
- Subject No 35526Class No 05
- 4Year ( 2Credit
-
Theories in Teaching Korean and Culture
- Subject No 36483Class No 01
- 4Year ( 3Credit , 3Hour) Tue 5~5 , Thu 6~6
-
Studies in the Creative Education of Korean Modern Novels
- Subject No G17746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Mon 8~9 (-)
-
Methods of Teaching Korean Literature
- Subject No KN206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
-
Academic Background
Ewha Womans University 문학박사(국어국문학과)
Ewha Womans University 문학석사(국어국문학과)
Ewha Womans University 문학사(국어국문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