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k Suh Professor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aliz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ading Education) Courses Theor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ories in Reading Education Degrees Ph.D., Korean Language Education, Seoul Nat'l University, 1996. M.A., Korean Language Education, Seoul Nat'l University, 1991. B.A., Korean Language Education, Seoul Nat'l University, 1989. Professional Experience Ewha Womans University, 2006~ George Mason University, 2012~2013.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02~2003.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6~2006
- Education Building B #574
- 02-3277-4524
- Office hours
- 월 2-4시, 수 2-4시, 금 1-2시. (사전예약 요망)
- Research Interests
Research Record
- 초·중등학생 독서 성향 조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청람어문교육, 2025, v.0 no.103, 7-46
- 독자의 비인지적 특성 조사를 위한 ‘독서 성향’의 개념 및 구인 탐색 국어교육연구, 2024, v.0 no.86, 1-47
- 문제 해결 과정에서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메타인지 읽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인식’과 ‘사용’의 차이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024, v.59 no.2, 139-173
-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한국어 학습자 수준별 읽기 양상 연구 -시선추적 기법을 활용하여- 청람어문교육, 2024, v.0 no.99, 181-212
-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어휘적 응결 장치 인식 양상 연구 독서연구, 2024, v.0 no.71, 357-386
- 포스트 AI 시대 학교 교육 환경의 변화와 확장된 문해력 교육 국어교육학연구, 2024, v.59 no.1, 5-32
- 한국어 이해 교육에서의 딕토뤄딩(Dictorauding) 적용 가능성 탐구 -딕토글로스(Dictoglos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024, v.35 no.3, 185-224
-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 : 학습 ‘도구성’과 참여자 ‘소통성’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023, v.29 no.2, 323-349
- 독서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독서 교육 : 독서 환경의 변화와 교육적 대응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023, v.0 no.68, 9-33
-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한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이해 양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2023, v.58 no.3, 133-166
- 성인의 어휘 능력 조사 결과 분석 - 어휘 등급과 응답자 수준 비교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23, v.0 no.83, 167-216
- 데이터피케이션(datafication) 환경에서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 데이터 리터러시 논의의 대안적 검토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2022, v.13 no.5, 379-411
- 비판적 읽기 교육에서의 '실천' 의미 연구 독서연구, 2022, no.65, 201-229
- 교과서 속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구현 양상 분석 : <언어와 매체> 교과서의 단원 구성 및 학습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021, no.58, 143-167
- 문자 텍스트 읽기와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021, v.56 no.1, 75-109
-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인지적 평가 요소 개발 연구 독서연구, 2020, v.54, 203-244
- 시선추적장치(Eye-tracker)를 활용한 한·중 텍스트 읽기 양상 분석 연구: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2020, no.55, 9-48
- ‘독자 반응 텍스트’의 평가 준거 개발 연구 —정보 텍스트(설명 및 설득 목적의 글) 읽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019, v.54 no.3, 363-394
- 복합양식 텍스트가 학습 목적 읽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 2019, no.72, 197-240
- 복합양식 텍스트성으로서의 영상성의 의미 고찰 독서연구, 2018, v.49 no., 125~160
-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 재개념화를 위한 시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v.18 no.2, 493~522
- 중국인 학습자 대상 중급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 난도에 대한 한국어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독서연구, 2018, no.46, 213~236
- 중등 국어과 교과서에 대한 회고와 전망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2018, v.68, 209~234
- 중학생의 양식의 정보성 인식 양상 연구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국어교육학연구, 2018, v.53 no.2, 79~109
- 고등학생 국어교과 학업성취도의 영향요인 분석 국어교육, 2017, no. 157, 265~308
- 학교교육과 한국언어문화 교육의 쟁점과 과제 한국언어문화학, 2017, v.14 no.3, 221~248
- 한・중 중급 한국어 교재의텍스트 복잡도 비교 분석 연구: 텍스트 내적 요인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017, v.45, 101~129
-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신문 매체 텍스트의 한자어 이해 양상 연구: 한자 난도와 세대에 따른 양상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016, no.41, 49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새국어교육, 2016, v.107, 135~171
- A study on Sino-Korean word usage aspects as subjects of articles in online newspapers and traditional newspap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2015, v.10 no.18, 39345-39348
- 보도자료 기사화를 통해서 본 독서 담론 형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2013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 보도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2015, v.35, 285-317
- 공공 문식성 제고를 위한 공문서 텍스트의 평가와 분석 새국어교육, 2014, 98호, 119-152
- 공공문식성 신장을 위한 인터넷 민원 문서 실행 과정 분석 국어교육연구, 2014, 33호, 103-130
- 국어 교과서 텍스트의 유형과 복잡도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1호, 445-470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국어교육, 2014, 144호, 93-119
- 온라인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과 교사효능감 연구 국어교육, 2014, 145호, 379-404
- 호주의 ESL 교육과정 운영 사례 및 시사점 국어교육, 2014, 146호, 437-474
- [학술지논문] Creativity in the Era of Generative AI and Prompt Literacy 국어교육학연구, 2025, v.60 no.1 , 41-82
- [학술지논문]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by Advanced Korean Learners in Problem-Solving Process — Difference Between ‘Awareness’ and ‘Use’ 국어교육학연구, 2024, v.59 no.2 , 139-173
- [학술지논문]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한국어 학습자 수준별 읽기 양상 연구 -시선추적 기법을 활용하여- 청람어문교육, 2024, v.99 no.0 , 181-212
- [학술지논문]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어휘적 응결 장치 인식 양상 연구 독서연구, 2024, v.71 no.0 , 357-386
- [학술지논문] Changes in the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and Extended Literacy Education in the Post-AI Age 국어교육학연구, 2024, v.59 no.1 , 5-32
- [학술지논문] 한국어 이해 교육에서의 딕토뤄딩(Dictorauding) 적용 가능성 탐구 -딕토글로스(Dictoglos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024, v.35 no.3 , 185-224
- [학술지논문]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 : 학습 ‘도구성’과 참여자 ‘소통성’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023, v.29 no.2 , 323-349
- [학술지논문] 독서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독서 교육 : 독서 환경의 변화와 교육적 대응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023, v.1 no.68 , 9-33
- [학술지논문]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for Multimodal Text 국어교육학연구, 2023, v.58 no.3 , 133-166
- [학술지논문] 성인의 어휘 능력 조사 결과 분석 - 어휘 등급과 응답자 수준 비교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23, v.83 no.0 , 167-216
- [학술지논문] 기초 문해력 교육을 위한 독서심리학으로의 초대 초기문해력 교육, 2022, v.2022 no.7 , 8-18
- [학술지논문] 데이터피케이션(datafication) 환경에서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 데이터 리터러시 논의의 대안적 검토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2022, v.13 no.5 , 379-411
- [학술지논문] A Study on the aspects of Multimodal Text Reading in ‘Languages and Media’ Textbook 독서연구, 2021, v.58 no.0 , 143-167
- [학술지논문]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tter-based Text Reading Ability and Multimodal Text Reading Ability 국어교육학연구, 2021, v.56 no.0 , 75-109
- [학술지논문]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인지적 평가 요소 개발 연구 독서연구, 2020, v.54 no.- , 203-244
- [학술지논문] Analyzing text reading patterns in Korean and Chinese using by eye-trackers : Focusing on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독서연구, 2020, v.0 no.55 , 9-48
- [저역서]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천 (주)박이정, 2021, 810
- [저역서] THE PSYCHOLOGY OF READING (주)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605
- [학술발표] 생성형 AI시대의 창의성과 프롬프트 리터러시 제83회 국어교육학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4-12-07 국어교육에서 가르친다는 것은 무엇인가?, 2024, 257-279
- [학술발표] 읽기 유창성의 개념과 요소의 재정립에 괸한 연구 -묵독 유창성과 의미독을 중심으로 2024 한국독서학회 한국작문학회 연합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4-09-28 AI 시대 독서작문과 교육적 대응, 2024, 333-349
- [학술발표] 한국어 이해교육에서의 딕토글로스 적용 탐구: 시선추적기법(Eye-tracking)을 활용하여 디지털 혁신과 융합 시대의 한국어 습득과 교수 , 대한민국, 서울, 2024-07-05 디지털 혁신과 융합 시대의 한국어 습득과 교수 , 2024, 213-220
- [학술발표] 독서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독서 교육: 독서 환경의 변화와 교육적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제51회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04-22 독서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독서교육 , 2023, 3-18
- [학술발표] 서울 학생 문해력 진단도구 개발의 방향과 특성 2023 한국독서학회-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공동 학술대회 , 대한민국, 안양시, 2023-10-21 독서교육 활성화와 독서(출판) 문화 질적 성장의 선순환, 2023, 389-399
- [학술발표] 학교 교육 환경의 변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포스트 팬데믹을 넘어서 포스트 AI 시대의 확장된 문해력 교육 2023 국어교육학회, 한국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3-12-02 팬데믹 이후 언어 환경 변화와 국어교육의 방향, 2023, 3-18
- [학술발표] 국어교육 생태계 변화와 변혁적 역량 담론의 맥락 변혁적 역량을 향한 (한)국어교육의 생태계: 학생, 대한민국, 서울, 2022-03-26 한국어교육학회 제293회 전국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22, 233-263
- [학술발표] 언어(문식성) 발달과 국어과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 제137회 한국국어교육학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1-05-29 제137회 한국국어교육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2021, 212-229
- [학술발표] 한국 사회 공동체와 독서 문화 한국리터러시학회ㅐ 2021년 가을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1-09-04 한국리터러시학회 2021년 가을학술대회 자료집, 2021, 13-32
- [학술발표] 국어과 수업 설계 및 실행에서의 교육커뮤니케이션 2020 국어교육학회.한국화법학회 연합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0-11-07 2020 국어교육학회-한국화법학회 연합학술대회, 2020, 101-123
- [지적재산권] 양적/질적 평가에 기반한 독서 교육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러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 Domestic : Patent , Registration , 10-2309633, 2021
- [기타] 디지털 시대, 왜 문해력이 필요한가? 2022
- [기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독서 2022
Courses
-
2025-1st
-
Theorie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6473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ue 5~5 (EDU-) , Thu 6~6 (154)
- Major Requisite
-
Special Issues in the Korean Listening & Reading Education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G16068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A410)
-
Principles of Materials and Metho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KN103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
-
-
2024-2nd
-
Theorie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6475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ue 6~6 (EDU-) , Thu 4~4 (151)
-
Studies of Literacy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G16079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A410)
-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AI-based Communication Education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AI108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Mon 8~9 (EDU-)
-
Studies in Teaching Reading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KN20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
-
-
2024-1st
-
An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 Subject No 36470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Mon 6~6 (EDU-) , Wed 5~5 (154)
-
An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 Subject No 36470Class No 02
- 1Year ( 3Credit , 3Hour) Mon 4~4 (EDU-A406) , Thu 5~5 (EDU-A406)
-
Theorie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6473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ue 5~5 (EDU-) , Thu 6~6 (154)
- Major Requisite
-
Studies of Communication Theory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G16046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A414)
-
students Teaching II
- Subject No ED114Class No 01
- Year ( 2Credit , 2Hour)
-
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KN101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
-
-
2023-2nd
-
Theorie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6475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ue 5~5 (EDU-) , Thu 6~6 (154)
-
Studies on Adult Literacy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G17758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A414)
-
Studies in Teaching Reading
- Subject No KN20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
-
-
2023-1st
-
First-Year Seminar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10857Class No 19
- 1Year ( 1Credit Mon 7~7
-
Theorie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6473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ue 5~5 (EDU-) , Thu 6~6 (154)
- Major Requisite
-
Studies of Teaching Reading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G1604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A414)
-
students Teaching II
- Subject No ED114Class No 01
- Year ( 2Credit , 2Hour)
-
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Subject No KN101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
-
-
2022-2nd
-
Theorie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6475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Wed 6~6 (EDU-A313) , Fri 4~4 (EDU-A406)
-
Studies of Reading Curriculum and Assessment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G17753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A410)
-
Studies in Teaching Reading
- Subject No KN20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
-
-
2022-1st
-
Theorie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 Subject No 36473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ue 5~5 (EDU-) , Thu 6~6 (154)
- Major Requisite
-
Studies of Reading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 Subject No G1775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
-
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Subject No KN101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Mon 8~9 (EDU-)
-
Academic Background
Seoul Nat'l Univ. 교육학박사(국어교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