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yun Lee Professor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Social Economy
- Education Building B #570
- 02-3277-2680
- Office hours
- 월 3-5시, 목 9-11시
- Research Interests
Research Record
- Effects of Embedding Special Interest Area in Instruction on the Engagement and Out-of-Seat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24, v.39 no.4, 203-215
- 비구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를 위한 의사소통 조기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및 과제 자폐성장애연구, 2024, v.24 no.3, 83-112
-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스킬스트리밍 기반 교수가 일반 유아의 사회성 기술 및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24, v.24 no.2, 1-25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일상생활 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2024, v.23 no.4, 35-60
- 유치원 일과 전반에 삽입된 학급 차원의 우정활동이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24, v.24 no.3, 33-54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일상생활 기술 중재 관련 국외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2024, v.59 no.2, 229-257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얼굴 표정 인식 관련 중재연구의 동향 및 과제 자폐성장애연구, 2024, v.24 no.1, 61-91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를 위한 놀이 중심의 자연적 발달적 행동적 중재(NDBI)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유아특수교육연구, 2024, v.24 no.1, 159-184
-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을 받은 아동의 부모를 위한 진단 직후 지원 관련 연구 동향 특수교육학연구, 2024, v.59 no.2, 259-290
-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 연구 동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4, v.30 no.6, 1913-1939
- 직장에서의 자폐인 지원 관련 국내외 질적연구 동향 분석 자폐성장애연구, 2024, v.24 no.3, 143-174
- 학령기 자폐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자기관리 중재 연구 국내외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2024, v.17 no.3, 121-154
-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이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 의사소통 시작하기 및 놀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23, v.23 no.1, 111-139
- SCERTS 기반의 종합적 중재 실행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참여 경험 및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2023, v.23 no.4, 61-92
- Validation of the Korean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2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23, v.103, 102128
- 선호도 활용 놀이를 통한 학급 차원의 또래 중재가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23, v.23 no.3, 123-143
- 자연적 환경에서 실시한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놀이 중재 연구의 동향 및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2023, v.39 no.1, 29-56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가상현실 활용 중재 연구 동향 및 과제 특수아동교육연구, 2023, v.25 no.1, 153-180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활동 스케줄 중재연구 동향 분석: 국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23, v.62 no.1, 137-164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중재 연구의 동향 및 과제 자폐성장애연구, 2023, v.23 no.2, 1-30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인지 프로파일 분석: K-CARS 2 표준화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폐성장애연구, 2023, v.23 no.1, 1-28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특별한 관심 영역을 활용한 사회적 기술 중재 연구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2023, v.58 no.1, 25-52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의 모방 증진 관련 국외 중재연구 분석 특수교육연구, 2023, v.30 no.1, 100-132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조기개입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논문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2023, v.23 no.1, 61-82
- 협력교수 기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2023, v.22 no.4, 39-62
-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및 놀이 기술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 2022, v.29 no.1, 199-233
- 「2019 개정 누리과정」운영에 따른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지원 경험과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2022, v.22 no.1, 31-62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인지 프로파일 연구 동향 -DSM-5 적용 이후를 중심으로- 자폐성장애연구, 2022, v.22 no.1, 55-80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를 교육하는 교사 대상 전문성 향상 연구의 동향 및 과제 특수교육, 2022, v.21 no.1, 87-118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를 위한 놀이 기술 교수 중재의 동향: 국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2022, v.21 no.4, 37-64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정서 조절 관련 중재연구의 동향 및 과제 자폐성장애연구, 2022, v.22 no.3, 1-36
- 자폐 범주성 장애 특성을 반영한 중학교 전환 지원 프로그램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도와 어머니의 중등 전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2022, v.57 no.3, 49-80
- 특별한 관심 영역을 활용한 전략 교수가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과제 수행률 및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22, v.22 no.3, 37-60
- 유아특수교육 환경에서의 문제행동 지원을 위한 교사 전문성 향상 관련 연구 동향 및 과제 특수교육, 2021, v.20 no.3, 121-150
- 자폐 범주성 장애 및 장애 위험 영아를 위한 부모 실행 중재 동향 분석: 국외 RCT 연구를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2021, v.21 no.3, 139-167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위한 종합적인 중재 모델 탐색: 통합교육 환경에서 실행한 국외 연구 중심으로 자폐성장애연구, 2021, v.21 no.1, 33-56
-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위한 읽기 이해 중재 연구의 동향 및 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 2021, v.28 no.1, 95-130
-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 대상 교사교육 연구 동향 및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021, v.38 no.3, 29-57
- 행동기술훈련을 적용한 발달지체 및 장애 영유아 양육자 코칭에 대한 문헌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2021, v.21 no.4, 99-119
- 협력적 접근을 통한 활동 중심 삽입교수가 장애 유아의 요구하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21, v.21 no.1, 61-87
-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이장애 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역할 만족도,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2020, v.54 no.4, 51-80
- 비디오 상황이야기 중재가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또래 놀이로의 전이 행동과 또래 놀이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2020, v.19 no.1, 139-164
- 어머니가 실행하는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20, v.20 no.3, 57-80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맞춤형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태도 및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20, v.20 no.3, 1-31
- 장애 유아 조기교육 현장에서의 컨설팅 실행 연구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2020, v.20 no.1, 89-107
- 중심축 반응 중재의 동기 향상 전략을 적용한 개별화된 또래 놀이 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초등학생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20, v.20 no.3, 1-26
- 형제자매 주도의 상호작용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20, v.20 no.1, 1-22
- 가정방문을 통한 어머니의 반응성 증진 교육이발달지체 영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2019, v.18 no.1, 29-53
-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놀이 참여와 발달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19, v.19 no.1, 59~86
- 개별화 교육과정 중심의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이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상호작용 행동 및 장애 유아의 교수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19, v.19 no.4, 141-163
- 상호작용 전략 교수 중심의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중국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19, v.19 no.2, 85~110
-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2019, v.54 no.3, 19-47
- 재능재활을 통한 정규직 취업과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삶에 대한 질적연구: 오티스타 디자이너와 부모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자폐성장애연구, 2019, v.19 no.2, 1~37
-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 현황 및 지원 요구: 통합유치원 운영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2019, v.19 no.1, 1~36
-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019, v.35 no.2, 1~30
-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을 위한 직무지도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내 디자인 업무 수행률 및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18, v.18 no.3, 1~27
- 유치원 통합교육 가이드북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완전통합 실행 교사의 경험과 기대 유아특수교육연구, 2018, v.18 no.3, 33~57
- Rapid assessment of microbiota changes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bacteria-derived membrane vesicles in urine Experimental Neurobiology, 2017, v.26 no.5, 307-317
- 교육용 앱을 활용한 어머니와의 놀이 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17, v.17 no.2, 101~129
- 어머니가 실행하는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을 적용한 환경 중심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17, v.17 no.3, 147~170
- 유아특수교사 임용시험 준비 및 응시 경험을 통한 교원양성과정과 임용시험의 개선 방안 고찰 유아특수교육연구, 2017, v.17 no.3, 33~64
- 유치원-가정 연계 반응적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중복장애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17, v.17 no.2, 79~100
-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2017, v.16 no.2, 5~25
-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 통합교육 관련 질적연구의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자폐성장애연구, 2017, v.17 no.1, 47~74
-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위한 증거 기반의 실제 탐색: 국내 연구에 대한 질적지표 분석을 중심으로 자폐성장애연구, 2017, v.17 no.3, 1~28
- 자폐 범주성 장애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지원 요구 자폐성장애연구, 2017, v.17 no.2, 1~28
- 자폐 범주성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의 공동관심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동향 및 과제 특수교육, 2016, v.15 no.2, 5~30
-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시각적 지원 중재 연구의 동향 및 질적평가지표에 의한 분석 -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자폐성장애연구, 2016, v.16 no.1, 53~75
- 중국의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가족의 양육 경험과 지원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2016, v.16 no.2, 29~55
-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이자폐 범주성 장애 성인의 직장 내업무 독립수행율 및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15, v.15 no.2, 23-48
- 자폐 범주성 장애를 동반한 청각중복장애 아동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 동향 및 과제 특수교육, 2015, v.14 no.3, 141-161
- 특수교사 지원으로 일반교사가 실행하는 활동 중심 삽입교수가 통합된 장애 유아의수세기 기술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15, v.15 no.4, 173-199
- 선호 과제 포함 자기계획 활동스케줄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과 과제 완수율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014, 제30권 2호, 181-206
- 어머니가 실행하는 공동관심 중심의 놀이 활동이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공동관심선행기술과 공동관심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14, 제14권 1호, 21-45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국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2014, 제16권 1호, 25-57
-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 및 지원 체계 수립 요구: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자폐성장애연구, 2014, 제14권 3호, 131-169
-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특성 및 교수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특수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3호, 195-217
- 장애유아 의무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특수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1호, 373-401
- 지역사회 기관 중심의 자폐 범주성 장애 선별 가능성 탐색 특수교육, 2014, 제13권 3호, 99-117
-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에 관한 상사의 경험 및 인식 자폐성장애연구, 2014, 제14권 3호, 53-80
-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생활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자폐성장애연구, 2014, 제14권 2호, 65-92
- 통합유치원에서 실시한 학급 차원의 단짝친구 기술중재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14, 제14권 3호, 221-241
- [학술지논문] Beyond individual support: Employment experiences of autistic Korean designers receiving strength-based organizational support AUTISM, 2025, v.0 no.0 , 0-0
- [학술지논문] Supporting teachers’ implementation of the SCERTS model for autistic children in South Korean inclusive preschool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25, v.120 no.120 , 202530-202530
- [학술지논문] An Educational Case for Enhancing Missionary Competency of Christian Teachers: Focusing on the 「Education and Mission」 Course at E University 기독교교육정보, 2025, v.84 no.84 , 179-227
- [학술지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비약물 수면중재 국외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특수교육학연구, 2025, v.59 no.4 , 123-160
- [학술지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일상생활 기술 중재 관련 국외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2024, v.59 no.2 , 229-257
- [학술지논문]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Intervention Research in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자폐성장애연구, 2024, v.24 no.1 , 61-91
- [학술지논문]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lay-based Naturalistic Developmental Behavioral Intervention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oddlers with ASD 유아특수교육연구, 2024, v.24 no.1 , 159-184
- [학술지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일에 대한 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터 내 포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2024, v.34 no.2 , 31-60
- [학술지논문] A Photovoice on Work Experience of Autistic Adults: Focusing on Strength-Based Work Experience 특수교육, 2024, v.23 no.2 , 137-168
- [학술지논문] Effects of Supporting for ABEI with ASAP on ECSE Teachers’ Self-Efficacy and Preschooler with ASD’s Social Communication Initiation and Engagement in Play 유아특수교육연구, 2023, v.23 no.1 , 111-139
- [학술지논문] A Qualitative Study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 Support Program for SCERTS-Based Comprehensive Treatment Program 유아특수교육연구, 2023, v.23 no.4 , 61-92
- [학술지논문] Validation of the Korean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2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23, v.103 no.0 , 102128-102128
- [학술지논문] 선호도 활용 놀이를 통한 학급 차원의 또래 중재가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23, v.23 no.3 , 123-143
- [학술지논문] Trends and Tasks in Virtual Reality(VR)-based Interventions Research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특수아동교육연구, 2023, v.25 no.1 , 153-180
- [학술지논문] A Review of Single Subject Research on Activity Schedule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23, v.62 no.1 , 137-164
- [학술지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특별한 관심 영역을 활용한 사회적 기술 중재 연구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2023, v.58 no.1 , 25-52
- [학술지논문]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Interven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Korea Academic Journals 유아특수교육연구, 2023, v.23 no.1 , 61-82
- [학술지논문] The Effect of Enhanced Skill Streaming Based on Collaborative Teaching on Young Child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of Young Child with Disabilities 특수교육, 2023, v.22 no.4 , 39-62
- [학술지논문] The effectiveness of a parent-implemented SCERTS model-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특수교육연구, 2022, v.29 no.1 , 199-233
- [학술지논문]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preschools implemen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유아특수교육연구, 2022, v.22 no.1 , 31-62
- [학술지논문] The research trends of cognitive profiles of ASD: Focusing on after the DSM-5 revision 자폐성장애연구, 2022, v.22 no.1 , 55-80
- [학술지논문]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ASD: A systematic review 특수교육, 2022, v.21 no.1 , 87-118
- [학술지논문] Interventions of teaching play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literature review of single subject research 특수교육, 2022, v.21 no.4 , 37-64
- [학술지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정서 조절 관련 중재연구의 동향 및 과제 자폐성장애연구, 2022, v.22 no.3 , 1-36
- [학술지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 특성을 반영한 중학교 전환 지원 프로그램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도와 어머니의 중등 전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2022, v.57 no.3 , 49-80
- [학술지논문] 특별한 관심 영역을 활용한 전략 교수가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과제 수행률 및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22, v.22 no.3 , 37-60
- [학술지논문] Review of literature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behavioral support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ttings 특수교육, 2021, v.20 no.3 , 121-150
- [학술지논문]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Comprehensive Treatment Models for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자폐성장애연구, 2021, v.21 no.1 , 33-56
- [학술지논문] Literature review on reading comprehension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특수교육연구, 2021, v.28 no.1 , 95-130
- [학술지논문] Trends and Analysis on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 한국교원교육연구, 2021, v.38 no.3 , 29-57
- [학술지논문] 행동기술훈련을 적용한 발달지체 및 장애 영유아 양육자 코칭에 대한 문헌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2021, v.21 no.4 , 99-119
- [학술지논문] The effects of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implemented by the collaborative approach on the requesting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유아특수교육연구, 2021, v.21 no.1 , 61-87
- [학술지논문] The Effects of the SNS-Based Paternal Role Program for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on the Father’s Involvement, Role Satisfaction,and Father-Child Interaction 특수교육학연구, 2020, v.54 no.4 , 51-80
- [학술지논문] The intervention research of home visit mother-infant interaction strategy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Modern Special Education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2020, v.24 no.1 , 59-66
- [학술지논문] The effects of a video social story on peer play transition behaviors and peer play of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inclusive settings 특수교육, 2020, v.19 no.1 , 139-164
- [학술지논문] The effects of mother-implemented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based on SCERTS model on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자폐성장애연구, 2020, v.20 no.3 , 57-80
- [학술지논문] The effects of the tailored support for parents of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on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attitude and mother-toddler interactions 유아특수교육연구, 2020, v.20 no.3 , 1-31
- [학술지논문] An analysis of consulting-related studie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유아특수교육연구, 2020, v.20 no.1 , 89-107
- [학술지논문]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peer play using motivation strategies of Pivotal Response Treatment on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Elementary School 자폐성장애연구, 2020, v.20 no.3 , 1-26
- [학술지논문] Effects of Sibling-Mediated Interaction Intervention on Sibling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자폐성장애연구, 2020, v.20 no.1 , 1-22
- [저역서]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and Youth 학지사, 2024, 542
- [저역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놀이 지원 자료집 1: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 교육부/국립특수교육원, 2021, 200
- [저역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놀이 지원 자료집 2: 놀이 중심 관찰 기록 교육부/국립특수교육원, 2021, 166
- [저역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놀이 지원 자료집 3: 교사 워크북 교육부/국립특수교육원, 2021, 170
- [저역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놀이 지원 자료집 4: 놀이 중심 교육 지원 사례집 - 통합유치원 교육부/국립특수교육원, 2021, 300
- [저역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놀이 지원 자료집 5: 놀이 중심 교육 지원 사례집 - 특수학교 교육부/국립특수교육원, 2021, 228
- [저역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놀이 지원 자료집 6: 놀이 중심 교육 지원 사례집 - 순회교육 교육부/국립특수교육원, 2021, 240
- [저역서]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20, 606
Courses
-
2025-1st
-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Subject No 34524Class No 01
- 4Year ( 3Credit , 3Hour) Tue 4~5 (EDU-)
-
Understanding of School Education on the Biblical Worldview
- Subject No ED225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
-
Practices in Educ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Subject No SP237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
-
-
2024-2nd
-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Subject No 35272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Tue 3~3 (EDU-) , Thu 2~2 (461)
-
Seminar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 Subject No G13413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6~7 (EDU-)
-
Trends and Tasks in Special Education
- Subject No G1885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4~5 (EDU-)
- Classroom Changed
-
Education and Mission
- Subject No ED226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
-
-
2024-1st
-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Subject No 34524Class No 01
- 4Year ( 3Credit , 3Hour) Mon 4~5 (EDU-)
-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Subject No G13325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6~7 (EDU-)
-
Program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 Subject No G17371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2~3 (EDU-)
-
students Teaching II
- Subject No ED114Class No 19
- Year ( 2Credit , 2Hour)
-
Understanding of School Education on the Biblical Worldview
- Subject No ED225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
-
Practices i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Subject No SP231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
-
-
2023-2nd
-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5272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Mon 4~4 (EDU-) , Thu 5~5 (254)
-
Seminar in Edu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Subject No G13390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
- Classroom Changed
-
Education and Mission
- Subject No ED226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
-
-
2022-2nd
-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Subject No 35272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Tue 3~3 (EDU-A410) , Thu 2~2 (EDU-A410)
-
Research on Social Communica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 Subject No G17369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
- Classroom Changed
-
Education and Mission
- Subject No ED226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Fri 8~9 (EDU-)
-
-
2022-1st
-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Subject No 34524Class No 01
- 4Year ( 3Credit , 3Hour) Wed 6~7 (EDU-)
-
Seminar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Subject No G13151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
-
Understanding of School Education on the Biblical Worldview
- Subject No ED225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Fri 8~9 (-)
-
Academic Background
Ewha Womans University 문학사(특수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