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ounjin Ok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Hyounjin Ok is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majoring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writing education, reading education, and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received his Ph.D.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He has experience as a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rts teacher and a researcher at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He is currently conducting a series of studies focused on improving digital media literacy in K-12 learners. He has published about 60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and several books and translations.
- Department Chair,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 Education Building A #521
- 02-3277-2820
Research Record
-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청람어문교육, 2024, v.0 no.100, 67-107
- 디지털 시민 교육 강화를 위한 중학생용 디지털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 2024, v.55 no.4, 105-146
- 미술 영재 특성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예술영재교육, 2024, v.6 no.2, 95-126
-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양상: ‘인디스쿨’에 공유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v.24 no.4, 145-162
- 학생 질문 능력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과교육학연구, 2024, v.28 no.6, 417-428
- 미래형 국어과 온라인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023, v.58 no.2, 183-217
- 중학생 모둠 토론에서 끼어들기 관여자 유형 분석 - 개입자와 피개입자의 인터뷰와 토론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 화법연구, 2023, v.0 no.62, 37-76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질문 개선 방안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 2023, v.0 no.76, 336-360
- 성찰일지에 나타난 초등 학습자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 성찰 양상 교육방법연구, 2022, v.34 no.2, 457-480
-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뉴스 리터러시 특성 분석 - 학년, 성별, 지역, 포털 이용 행태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 2022, no.73, 157-179
- 초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뉴스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 연구 문화와 융합, 2022, v.44 no.2, 1-26
- A 초등학교 학생들의 거꾸로 학습 사례 분석: 가정에서의 학습 양상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021, v.25 no.6, 525-538
- 만 3-9세 아동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및 지도 행위 연구: 부모의 미디어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2021, no.59, 107-136
- 미디어 교육 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뉴스 수용 양상 분석 교육문화연구, 2021, v.27 no.1, 265-284
-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 분석: 디지털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뉴스 이용 행태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2021, v.19 no.5, 23-30
- 우리나라 초등 6학년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성취 수준 탐색 교육문화연구, 2021, v.27 no.4, 521-543
- 초등 각 교과의 쓰기 활동 양상 분석 작문연구, 2021, no.50, 97-126
- 학교급, 지역, 학교 유형에 따른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양상 탐색 국어교육학연구, 2021, v.56 no.3, 161-196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 양상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020, v.23 no.3, 1-22
-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론: 초등학교 교과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2020, v.44 no.1, 145-176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국어교육, 2020, no.170, 203-231
-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디지털융복합연구, 2020, v.18 no.7, 1-8
- 디지털 활동 양상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관계 분석 : 중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020, v.26 no.5, 639-664
-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특성과 가정 변인 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2020, v.40 no.1, 199-222
- 증거 중심 설계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교육방법연구, 2020, v.32 no.3, 437-459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의 비교 분석 -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2020, v.11 no.5, 103-129
- 외국 인문사회영재 프로그램 분석 -내용요소의 범위, 위계, 심화·속진 양상을 중심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2019, v.17 no.4, 151-179
-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 성취기준 연구 작문연구, 2019, v.41 no.1, 161-190
- 초등 사회 교과서 역사 영역과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양상 역사교육, 2019, v.149 no.1, 61-90
- 디지털 기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과정에 나타난 인지 작용 양상 - 대학생들의 프레젠테이션 제작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2018, v.40 no.3, 511~552
-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의 평가 요소 개발 청람어문교육, 2018, v.66, 133~166
-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를 위한 시론: 리터러시 평가에서 ‘상황’을 고려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교과교육학연구, 2018, v.22 no.4, 264~273
- 인문사회 영재교육 프로그램 내용체계 개발 연구 시민교육연구, 2018, v.50 no.2, 65~97
-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 성취기준 개발 국어교육연구, 2018, v.41, 81~112
- 현재 그리고 미래 읽기 공간의 성찰과 발견 독서연구, 2018, v.47, 69~94
- 2030년 미래 국어과 교육의 방향 탐색 국어교육학연구, 2017, v.52 no.3, 37~67
-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의 인지적 특성 탐색 작문연구, 2017, v.33 no.1, 31~63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람어문교육, 2017, v.62 no.1, 7~39
- 문식 활동과 정체성 형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청람어문교육, 2017, v.63 no.1, 67~88
- 성인 문식성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작문연구, 2017, v.35 no.1, 7~38
- 초등임용시험 문항 분석: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국어과 문항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017, v.21 no.4, 290~302
-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국어교육, 2016, v.152, 251-283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새국어교육, 2016, v.107, 37~65
-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v.61, 153~188
-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개념에 대한이론적 탐색 국어교육, 2015, v.150, 263-294
-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 개발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015, v.50 no.2, 205-230
- 모둠 토론에서 초등학생들의 끼어들기 양상 화법연구, 2015, v.30, 147-174
-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가치 인식과 참여 양상의 관계 한국초등국어교육, 2015, v.59, 45-68
- 초등 인문사회 영재 학습자들의 특성 분석 독서연구, 2015, 34호, 171-198
- 국제 문식성 평가 분석을 통한문식성 교육 시사점 탐색-PIRLS, PISA, PIAAC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2014, 49호, 73-103
- 디지털 문식성 교육을 위한 학습자 프로파일 구성 요소 탐색 청람어문교육, 2014, 52호, 87-114
- 성인문식성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작문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2014, 146호, 225-250
-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문식성 교육 실행 양상 작문연구, 2014, 23호, 61-83
- [학술지논문]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청람어문교육, 2024, v.100 no.0 , 67-107
- [학술지논문]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양상: ‘인디스쿨’에 공유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v.24 no.4 , 145-162
- [학술지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Online Textbook Model for Korean Language Arts 국어교육학연구, 2023, v.58 no.2 , 183-217
- [학술지논문]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질문 개선 방안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 2023, v.76 no.0 , 336-360
- [학술지논문] 성찰일지에 나타난 초등 학습자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 성찰 양상 교육방법연구, 2022, v.34 no.2 , 457-480
- [학술지논문]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뉴스 리터러시 특성 분석 - 학년, 성별, 지역, 포털 이용 행태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 2022, v.73 no.0 , 157-179
- [학술지논문] 초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뉴스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 연구 문화와융합, 2022, v.44 no.2 , 1-26
- [학술지논문] A 초등학교 학생들의 거꾸로 학습 사례 분석: 가정에서의 학습 양상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021, v.25 no.6 , 525-538
- [학술지논문] Parents’ perceptions and guidance behavior on media use of children aged 3-9 years old : Focusing on differences in parents’ media education experience 독서연구, 2021, v.59 no.1 , 107-136
- [학술지논문] 미디어 교육 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뉴스 수용 양상 분석 교육문화연구, 2021, v.27 no.1 , 265-284
- [학술지논문]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 분석: 디지털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뉴스 이용 행태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2021, v.19 no.5 , 23-30
- [학술지논문] 우리나라 초등 6학년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성취 수준 탐색 교육문화연구, 2021, v.27 no.4 , 521-543
- [학술지논문] 초등 각 교과의 쓰기 활동 양상 분석 작문연구, 2021, v.50 no.1 , 97-126
- [학술지논문] Exploring the digital literacy patterns of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school level, region, and school type 국어교육학연구, 2021, v.56 no.3 , 161-196
- [학술지논문]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 양상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020, v.23 no.3 , 1-22
- [학술지논문]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론: 초등학교 교과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2020, v.44 no.1 , 145-176
- [학술지논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국어교육, 2020, v.170 no.0 , 203-231
- [학술지논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디지털융복합연구, 2020, v.18 no.7 , 1-8
- [학술지논문] 디지털 활동 양상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관계 분석 : 중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020, v.26 no.5 , 639-664
- [학술지논문]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and Home Variables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2020, v.40 no.1 , 199-222
- [저역서] 디지털 세상에서 읽고 쓰는 힘 (주)비상교육, 2024, 402
- [저역서] 미래사회와 교과교육 교육과학사, 2022, 433
- [저역서] 독서교육 전문가를 위한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천 박이정, 2021, 810
- [연구보고서] 코로나19와 미래핵심역량 경기도교육연구원, 2020
- [학술발표] 리터러시와 변혁적 역량의 관계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제293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03-26 한국어교육학회 제293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2022
- [학술발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내용 요소 개발의 현황과 과제 2021 세계 한국어 한마당 국제 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비대면), 2021-10-09 2021 세계 한국어 한마당 국제 학술대회 자료집, 2021
- [학술발표] 디지털 리터러시, 작문 교육은 어떻게 응답해야 하는가? 제55회 한국작문학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12-11 제55회 한국작문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2021
- [학술발표]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지평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52차 국내(봄)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1-04-1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52차 국내(봄)학술대회 자료집, 2021, 11-24
- [학술발표] 창의적인 초등교원 양성을 위한 예비교사 프로그램 개선 사례: 초등 국어과를 중심으로 2021년도 (사)한국교육심리학회 제1차 온라인 학술대회, 대한민국, 비대면, 2021-01-29 2021년도 (사)한국교육심리학회 제1차 온라인 학술대회 자료집, 2021
- [학술발표] 디지털 시대의 시민성과 리터러시 제64회 국어국문학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09-26 제64회 국어국문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2020
- [학술발표]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독서복지 정책 2020년 한국어교육학회·한국독서학회 연합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09-19 2020년 한국어교육학회·한국독서학회 연합 학술대회 자료집, 2020
Courses
-
2025-1st
-
Basic Theories of Elementary Language Arts
- Subject No 21570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Mon 4~5 (EDU-)
-
Basic Theories of Elementary Language Arts
- Subject No 21570Class No 02
- 2Year ( 3Credit , 3Hour) Thu 4~5 (EDU-)
-
Teaching Practicum
- Subject No 35527Class No 01
- 4Year ( 2Credit
-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 Subject No G18248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A-313)
- Classroom Changed
-
-
2024-2nd
-
Children's Literature
- Subject No 21555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Mon 4~5 (EDU-)
-
Field Research and Practicum
- Subject No 36938Class No 01
- 3Year ( 3Credit Mon 2~3 (EDU-)
-
Teaching Aptitude·Personality Test Ⅰ
- Subject No 37437Class No 08
- Year ( 0Credit
-
Teaching Aptitude·Personality Test Ⅱ
- Subject No 37438Class No 08
- Year ( 0Credit
-
Future Society an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 Subject No G1883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A406)
-
-
2024-1st
-
First-Year Seminar
- Subject No 10857Class No 07
- 1Year ( 1Credit Wed 7~7
-
Basic Theories of Elementary Language Arts
- Subject No 21570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ue 4~5 (EDU-)
-
Teaching Practicum
- Subject No 35527Class No 01
- 4Year ( 2Credit
-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 Subject No G16800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Mon 8~9 (EDU-A406)
-
Understanding of School Education on the Biblical Worldview
- Subject No ED225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
-
-
2023-2nd
-
Children's Literature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21555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Mon 4~5 (EDU-)
-
Teaching Methods of Elementary Language Arts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21569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ue 4~5 (EDU-)
-
Field Research and Practicum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6938Class No 01
- 3Year ( 3Credit Wed 2~3 (EDU-)
-
-
2023-1st
-
First-Year Seminar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10857Class No 06
- 1Year ( 1Credit Wed 7~7
-
Basic Theories of Elementary Language Arts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21570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hu 4~5 (EDU-)
-
Teaching Practicum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5527Class No 01
- 4Year ( 2Credit
-
Teaching and Evaluation of Digital Media Literacy
- Subject No G18503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Fri 8~9 (EDU-A408)
-
-
2022-2nd
-
Children's Literature
- Subject No 21555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Mon 4~5 (EDU-)
-
Teaching Methods of Elementary Language Arts
- Subject No 21569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hu 4~5 (EDU-)
-
rganization and operation of reading-discussion-writing programs
- Subject No G18249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Mon 8~9 (EDU-A-406)
- Classroom Changed
-
-
2022-1st
-
First-Year Seminar
- Subject No 10857Class No 09
- 1Year ( 1Credit Mon 7~7 (EDU-)
-
Basic Theories of Elementary Language Arts
- Subject No 21570Class No 01
- 2Year ( 3Credit , 3Hour) Thu 4~5 (EDU-)
-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 Subject No G18248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Mon 8~9 (-)
-
Academic Background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Ph.D.(Curriculum & Instruction)
Work Experience
Department Chair,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2023-02-01 ~ 2025-01-31
Department Chair,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2019-02-01 ~ 2019-07-31
Associate Dean, School of Continuing Education 2016-08-01 ~ 2019-01-31
Assitant Director, Center for Arts & Culture Education 2016-08-01 ~ 2019-01-31
글로벌미래평생교육원장직무대행 2016-10-26 ~ 2017-06-11
문화예술교육원장직무대행 2016-10-26 ~ 2017-06-11
Department Chair,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2015-02-01 ~ 2016-07-3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08-01 ~ 2013-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