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 Kyeong Kim Professor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 Education Building B #569
- 02-3277-3552
- Office hours
- 수 2시-5시
- Research Interests
Research Record
- [학술지논문]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 analyze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online community of practice Contemporary Educational Technology, 2023, v.15 no.3 , 438-438
- [학술지논문] 데이터 리터러시 관점에서 초등 수학과 성취기준 및 교과서 문제의 비구조성(ill-structured) 비교분석: 한국, 미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3, v.23 no.9 , 209-229
- 비구조화된 의사결정형 문제해결에서 초등수학영재 집단의 창의적 시너지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24, v.34 no.1, 99-126
- Research Trends in the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수학교육학연구, 2023, v.33 no.3, 667-693
- 다양한 분수 모델에 대한 초등학생의 수감각 및 연산능력에 관한 연구: 영역 모델 및 수직선 모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023, v.33 no.1, 173-194
- 데이터 리터러시 관점에서 초등 수학과 성취기준 및 교과서 문제의 비구조성(ill-structured) 비교분석: 한국, 미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3, v.23 no.9, 209-229
-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합동과 대칭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귀납적 추론과 시각화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2023, v.37 no.2, 299-327
- A Case Study of Children’s Interaction Types and Learning Motivation in Small Group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in a Mathematics Classroom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2021, v.17 no.12, Article number em2051
- 예 만들기 활동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추상화 및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5학년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v.21 no.22, 105-127
- 초등학생들의 비구조화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 추론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 수학교육, 2021, v.60 no.2, 133-157
-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통계적 문제 해결 및 논의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v.21 no.13, 699-715
- Developing children’s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physical computing lessons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020, v.13 no.2, 183-198
- Investigating elementary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teacher scaffolding in solving an Ill-structured problem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2020, v.8 no.4, 274-289
- 각과 각도에 대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이해 및 오개념 분석 학교수학, 2020, v.22 no.2 , 183-203
- 체화된 인지 관점의 수학 중심 융합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집단창의성 발현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v. 20 no. 11, 1257-1287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focused STEAM education in Korea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2019, v.15 no.9, 1-13
- 초등 수학 영재 학생의 개방형 문제 생성 능력과 메타인지에 관한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2019, v.17 no.4, 5-30
- 피지컬 컴퓨팅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컴퓨팅 실천(Computational Practices)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19, v.22 no.3, 1-13
- 3D프린팅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융합수업의설계 및 적용 초등교육연구, 2018, v.31 no.4, 23~48
- 수학일지 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 수준에미치는 영향: 3학년 수와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2018, v.57 no.3, 247~270
- 체화된 인지 관점에서 초등영재의융합적 소양 및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Goldberg 장치에서 각도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v.18 no.19, 403~432
- 체화된 인지와 창의·융합적 관점에서의 수학 수업의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v.17 no.9, 247~271
- 초등학생들의 다양한 어림 전략을 통한 길이 어림 분석 초등수학교육, 2017, v.20 no.1, 1-18
- CBAM(Concerns-Based Adoption Model)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대한 초등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관계 연구 수학교육, 2016, v.55 no.4, 417
-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in an integrated math-science instruction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2016, v.19, 38-48
- Mathematical Abstraction in the Solving of Ill-Structured Problem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2016, v.12 no.2, 267-281
-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otivation an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in Korea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2016, v.12 no.6, 1569-1587
- Sociomathematical norms and the teacher's mathematical belief: A case study from a Korean in-service elementary teacher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2016, v.12 no.10, 2733-2751
- 비(非)구조화된 수학문제의 해결에서교사의 스캐폴딩 제공에 따른 학생 간 상호작용 초등교육연구, 2016, v.29 no.4, 227
-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인식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기반 수학수업 설계 및 적용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16, v.19 no.4, 329
-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Renzulli의 삼부심화모델 도입개방형 수학 문제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수학교육, 2016, v.55 no.2, 209~232
- 초등학생의 수학적 모델링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5학년 수와 연산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2016, v.55 no.1, 41-71
- 초등학생의 창의ㆍ융합적 사고 및 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초등 수학 비(非)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2016, v.18 no.3, 541~569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Instruc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in Korea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2015, v.11 no.1, 3-14
- The Study of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2015, v.11 no.2, 299-311
- 다양한 표상활동 중심 분수학습이 분수의 이해 및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 논문집, 2015, v.29 no.2, 215-239
- 서술형 평가 문항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분수 연산 능력과오류 유형과의 관계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14, 제17권 3호, 409-435
-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 간의인식, 실행 및 기대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수학교육, 2014, 제53권 1호, 131-146
- 초등 수학 영재 프로그램 평가 - 서울시 A 교육청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4, 제18권 1호, 149-168
- 초등수학에서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모형 설계, 적용 및 그 교육적 의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4, 제18권 2호, 189-209
-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형성되는 규범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14, 제17권 2호, 207-234
- 초등학생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비(非)구조화된 수학문제에서의 문제해결전략 및 정당화 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4, 제14권 7호, 127-148
- The influence of implemented curriculum variable on TIMSS 2007 Mathematics assessment 교육과정연구, 2013, 제31권 1호, 187-208
- [학술지논문] 비구조화된 의사결정형 문제해결에서 초등수학영재 집단의 창의적 시너지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24, v.34 no.1 , 99-126
- [학술지논문] 시각적 표현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학생들이 만든 문제 양상 및 비례 추론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2024, v.26 no.2 , 267-292
- [학술지논문] Research Trends in the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수학교육학연구, 2023, v.33 no.3 , 667-693
- [학술지논문] 다양한 분수 모델에 대한 초등학생의 수감각 및 연산능력에 관한 연구: 영역 모델 및 수직선 모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023, v.33 no.1 , 173-194
- [학술지논문] A Study on Inductive Reasoning and Visua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gruence and Symmetry Lessons with Exploratory Software 수학교육 논문집, 2023, v.37 no.2 , 299-327
- [저역서] 수학 5-1 동아출판, 2023, 157
- [저역서] 수학 5-2 동아출판, 2023, 163
- [저역서] 수학 6-1 동아출판, 2023, 157
- [저역서] 수학 6-2 동아출판, 2023, 155
- [저역서] 인공지능시대의 정보교육론 교육과학사, 2023, 378
- [저역서] 수학 3-1 동아출판, 2022, 153
- [저역서] 수학 3-2 동아출판, 2022, 159
- [저역서] 수학 4-1 동아출판, 2022, 155
- [저역서] 수학 4-2 동아출판, 2022, 163
- [저역서]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 예술 과학 융합 수업 모음집 III 경문사, 2021, 172
- [저역서] 체화된 앎 실현을 위한 창의·융합 수학 수업의 개발과 실천적 탐구 경문사, 2020, 218
Courses
-
2025-1st
-
First-Year Seminar
- Subject No 10857Class No 05
- 1Year ( 1Credit , 1Hour) Wed 7~7 (EDU-)
-
Basic Theories of Elementary Mathematics
- Subject No 21576Class No 01
- 3Year ( 3Credit , 3Hour) Tue 4~5 (EDU-)
-
Basic Theories of Elementary Mathematics
- Subject No 21576Class No 03
- 2Year ( 3Credit , 3Hour) Tue 2~3 (EDU-)
-
Studies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Subject No G12500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
-
-
2024-2nd
-
Teaching Methods of Elementary Mathematics
- Subject No 21575Class No 01
- 3Year ( 3Credit , 3Hour) Wed 4~5 (EDU-)
-
Studies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and Problem Solving
- Subject No G12687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
-
-
2024-1st
-
First-Year Seminar
- Subject No 10857Class No 08
- 1Year ( 1Credit Wed 7~7
-
Basic Theories of Elementary Mathematics
- Subject No 21576Class No 01
- 3Year ( 3Credit , 3Hour) Tue 4~5 (EDU-)
-
Teaching and Learn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 Subject No G18821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
- Classroom Changed
-
-
2023-2nd
-
Teaching Methods of Elementary Mathematics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21575Class No 01
- 3Year ( 3Credit , 3Hour) Tue 2~3 (EDU-)
-
Studies on Number Sense and Operations in Childhood
- Subject No G12521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8~9 (EDU-)
-
Seminars on Current Issues in Elementary Schools Mathematics
- Subject No EE251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
-
-
2022-2nd
-
Teaching Methods of Elementary Mathematics
- Subject No 21575Class No 01
- 3Year ( 3Credit , 3Hour) Wed 2~3 (EDU-)
-
Studies on Mathematical Connections
- Subject No G12692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EDU-)
-
-
2022-1st
-
First-Year Seminar
- Subject No 10857Class No 08
- 1Year ( 1Credit Tue 7~7 (EDU-)
-
Basic Theories of Elementary Mathematics
- Subject No 21576Class No 01
- 3Year ( 3Credit , 3Hour) Tue 2~3 (EDU-)
-
Studies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Subject No G12500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8~9 (-)
-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and Gifted Education
- Subject No EE207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8~9 (EDU-)
-
Academic Background
Iowa State University Ph.D.(Curriculum & Instruction)
Ewha Womans University 교육학석사(수학교육)
Ewha Womans University 이학사(수학)
Work Experience
Principal, Ewha University Elementary School 2014-10-08 ~ 2018-08-31
Principal, Ewha University Elementary School 2014-09-01 ~ 2014-10-07
Department Chair, Gifted Education 2012-02-01 ~ 2014-01-31
Department Chair,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2009-02-01 ~ 2011-01-31
Department Chair,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2005-02-01 ~ 2007-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