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ENGLISH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유튜브
이화포탈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로그인
ENGLISH
모바일 메뉴 열기
로그인
ENGLISH
모바일 메뉴 닫기
이화소개
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활동
역대총장
학교법인
학교법인 이화학당
법인이사회
산하 교육기관
안전보건 목표 및 경영방침
이화정신 / 비전
교육목적
교육목표
인재상 및 핵심역량
이화비전
비전선언문
이화역사 / 상징
연혁
역사
캠퍼스역사
교명
교훈
교가 / 노래
교표
UI / SI
학교현황
일반현황
예결산공고
등록금심의위원회
기관장업무추진비
기부금 공시
대학평의원회
대학자체평가
ESG 경영
규칙집
기관안내
기구표
부총장
중앙행정기관
직·부속기관
캠퍼스안내
찾아오시는길
캠퍼스맵
VR 투어
캠퍼스투어
주차안내
교직원검색
전화번호부
입학안내
대학 입학
일반대학원 입학
전문·특수대학원 입학
공개강좌(비학위과정)
대학·대학원
대학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음악대학
조형예술대학
사범대학
경영대학
신산업융합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
약학대학
스크랜튼대학
인공지능대학
호크마교양대학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인문사회계열
자연과학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의학계열
학과간협동과정
전문대학원
국제대학원
통역번역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교육대학원
디자인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신학대학원
정책과학대학원
공연예술대학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임상치의학대학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연구·산학
연구처/산학협력단 안내
연구자 정보(PURE)
연구성과
연구소식
연구기관
학사안내
학사일정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학사정보
등록
학적변동
전공선택
수강
성적
학점인정
졸업
교원자격증
평생교육사자격증
학·석사 연계과정
장학
장학일정
장학공지
장학금 안내
장학FAQ
교과과정
교과과정 및 교과목 소개
전공별 교과과정 보기
외국인학생 예외사항
강의시간표/계획안
학부
대학원
국제교류 프로그램
교환학생
해외학습
단기특별교류
증명발급
증명발급안내
대학생활
학생활동
학생단체 활동 가이드
학생회
중앙동아리
서포터즈
언론활동
사회봉사
멘토링
이화 ROTC
학생지원
취업/현장실습지원
학술지원
행사지원
상담지원
고시지원
장애학생지원
북한이탈주민학생지원
학생증 발급
기타서비스
생활지원
식당
기숙사
휘트니스/체육시설
편의시설
대학건강센터
기도실
수련관
공간사용안내
IT/기술지원
메일
네트워크/DNS
홈페이지
이화 모바일 학생지원
공용소프트웨어
노트북
개방실습실
IT One-Stop 서비스
강의실 기술지원
IT FAQ
뉴스센터
이화뉴스
공지사항
행사/소식
행사안내
기관/학과 소식
언론에 비친 이화
이화 DNA
History
People
기부스토리
이화 홍보
홍보영상 라이브러리
홍보책자
이화매거진
이화 포토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유튜브
이화소개
이화소개
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활동
역대총장
학교법인
학교법인 이화학당
법인이사회
산하 교육기관
안전보건 목표 및 경영방침
이화정신 / 비전
교육목적
교육목표
인재상 및 핵심역량
이화비전
비전선언문
이화역사 / 상징
연혁
역사
캠퍼스역사
교명
교훈
교가 / 노래
교표
UI / SI
학교현황
일반현황
예결산공고
등록금심의위원회
기관장업무추진비
기부금 공시
대학평의원회
대학자체평가
ESG 경영
규칙집
기관안내
기구표
부총장
중앙행정기관
직·부속기관
캠퍼스안내
찾아오시는길
캠퍼스맵
VR 투어
캠퍼스투어
주차안내
교직원검색
전화번호부
입학안내
입학안내
대학 입학
일반대학원 입학
전문·특수대학원 입학
공개강좌(비학위과정)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대학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음악대학
조형예술대학
사범대학
경영대학
신산업융합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
약학대학
스크랜튼대학
인공지능대학
호크마교양대학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인문사회계열
자연과학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의학계열
학과간협동과정
전문대학원
국제대학원
통역번역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교육대학원
디자인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신학대학원
정책과학대학원
공연예술대학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임상치의학대학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처/산학협력단 안내
연구자 정보(PURE)
연구성과
연구소식
연구기관
학사안내
학사안내
학사일정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학사정보
등록
학적변동
전공선택
수강
성적
학점인정
졸업
교원자격증
평생교육사자격증
학·석사 연계과정
장학
장학일정
장학공지
장학금 안내
장학FAQ
교과과정
교과과정 및 교과목 소개
전공별 교과과정 보기
외국인학생 예외사항
강의시간표/계획안
학부
대학원
국제교류 프로그램
교환학생
해외학습
단기특별교류
증명발급
증명발급안내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활동
학생단체 활동 가이드
학생회
중앙동아리
서포터즈
언론활동
사회봉사
멘토링
이화 ROTC
학생지원
취업/현장실습지원
학술지원
행사지원
상담지원
고시지원
장애학생지원
북한이탈주민학생지원
학생증 발급
기타서비스
생활지원
식당
기숙사
휘트니스/체육시설
편의시설
대학건강센터
기도실
수련관
공간사용안내
IT/기술지원
메일
네트워크/DNS
홈페이지
이화 모바일 학생지원
공용소프트웨어
노트북
개방실습실
IT One-Stop 서비스
강의실 기술지원
IT FAQ
뉴스센터
뉴스센터
이화뉴스
공지사항
행사/소식
행사안내
기관/학과 소식
언론에 비친 이화
이화 DNA
History
People
기부스토리
이화 홍보
홍보영상 라이브러리
홍보책자
이화매거진
이화 포토
로그인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nav bar
Ewha University
홈 바로가기
연구·산학
이화소개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연구·산학
학사안내
대학생활
뉴스센터
연구소식
연구처/산학협력단 안내
연구자 정보(PURE)
연구성과
연구소식
연구기관
연구소식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2
이공계 교수, 굵직굵직한 연구 업적 잇달아
이화소식 71호 : 산소화 효소, 줄기세포 분화 미스테리 규명, 항암제 개발 등 본교 이공계 교수들이 최근 사회적 이목을 끄는 남다른 연구 업적으로 ‘과학 이화’의 명성을 드높이고 있다.남원우 교수(나노과학), 정낙신 · 이상국 교수팀(약대), 황은숙 교수(분자생명과학)들이 그 주인공. 남원우 교수는 본교 생체모방시스템 연구단과 함께 산소화 효소의 역할 및 화학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해 낸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7월,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수여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받았다. 산소화 효소는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 생체활동에 필수적인 작용을 하는 효소의 한 종류. 이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은 생명현상 이해 및 생체 반응을 모방하는 인공 생체시스템 개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산업적 촉매와 신약 개발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남교수의 연구 결과는 산소화 효소의 중간체 구조 및 메커니즘을 밝혀내 이 분야 연구 수준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했다는 인정을 받고 있다. 약대 정낙신 · 이상국 교수팀은 지난 6월 부작용을 줄인 새로운 항암제 ‘LJ-715'를 개발하는데 성공, 미국의 신약개발 전문회사인 렉산 파마수티컬스 사와 공동으로 국제 특허를 출원했다. 이들이 개발해낸 신약은 핵산 계열의 뉴크레오사이트계 화합물로서 산소 대신 탄소를 함유한 5원환 구조(carbasugar)를 갖고 있어 체내에서 위액이나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사 대신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정 교수 연구팀은 이번 개발로 렉산 사로부터 20만 달러(2억원)의 연구비를 받았으며 앞으로 임상실험단계마다 이 물질의 사용대가로 일정비율의 로열티를 받기로 했다. 정 교수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항암 물질을 해외 신약개발회사가 로열티를 주고 산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기술을 인정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황은숙 교수(분자생명과학)는 지난 8월 중순,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연구원인 남편 홍정호 박사와 함께 성체 줄기세포가 분화되는 미스터리를 밝혀내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본교 약대 출신인 황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성체 줄기세포와 일종인 중간엽 줄기세포가 뼈를 만드는 조골 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유도하고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막는 ‘TAZ’ 유전자를 발견했다. 황 교수는 “성체 줄기세포 분화와 관련된 요인들은 상당수 규명됐지만 ‘TAZ'유전자처럼 이런 요인들을 관장하는 근원적 열쇠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들의 연구 논문은 사이언스지 8월12일자에 소개됐다. - 이화소식 70호 : 과학이화 꽃피웠다 - 스승과 제자가 함께 세계적 연구성과 이뤄 본교의 스승과 제자가 손을 맞잡고 국제적인 연구 성과를 잇달아 이뤄내 화제다. 분자생명과학부의 강상원 · 최민희팀, 나노과학부의 우정원 · 황지수팀이 바로 그 주인공. 강상원 교수 연구팀은 5월 9일자 ‘네이처’지에 ‘퍼록시리독신’이란 물질이 활성 산소의 하나인 과산화수소의 세포내 농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발표했다. 이 연구결과는 비정상적으로 세포가 왕성하게 자라서 생기는 암이나 동맥경화 등의 질병을 억제하는 신약개발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연구논문의 주 연구자인 최민희 씨는 아직 석사학위도 따지 않은 대학원생. 유명 과학자도 평생에 한 편 내기도 어렵다는 ‘네이처’에 주연구자로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단숨에 차세대 여성과학자로 주목받고 있다. 최씨를 지도해온 강 교수는 “유달리 학문적 탐구심이 많은 제자”라면서 “밤늦은 실험을 위해 학교 앞으로 이사 올 정도로 열심”이라고 칭찬했다. 대학 4학년 때 강 교수의 연구팀으로 들어온 최씨는 “매일 랩 미팅을 꼼꼼히 챙기실 만큼 세심한 교수님 덕분에 연구의 내공을 쌓을 수 있었다”고 고마움을 표시했다. 차세대 광(光)컴퓨터의 핵심기술로 쓰일 ‘광다이오드’를 세계 최초 로 개발, ‘네이처 머티리얼스’(4월 24일자)지에 논문을 발표한 우정원 교수와 황지수 박사는 10년지기 사제지간이다. 3개월여에 걸친 연구 결과 빛의 전달을 임의로 제어해 전기를 이용한 반도체처럼 광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다이오드(광자결정 이종 접합계)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제 1저자로 논문을 발표한 황 박사는 “5년 동안 광학분야 하나에만 집중해 온 결과”라며 “2~3일씩 밤샘하는 일이 힘들어도 막상 아이디어가 현실로 구현되면 짜릿한 희열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런 그를 두고 스승인 우 교수는“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추진력과 집중력이 뛰어나다”고 은근히 자랑한다. 석사 졸업 후 직장생활 잘하던 황 박사를 다시 연구의 길로 들어서게 한 이도 바로 우 교수이다. 세계적인 연구업적을 이룬 스승과 제자, 이들의 쾌거는 누구보다 끈끈한 믿음과 신뢰가 있었기에 가능했는지도 모른다. (효)
No.1
작성자
홍보실
등록일
2005.09.12
조회수
21490
0
박현석 교수 논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게재
박현석 교수 논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게재 대체에너지로 주목받는 ‘슈퍼 알코올 박테리아’ 연구개발에 성공 (박현석 교수) 박현석 교수(컴퓨터학)가 국내 학자들과 공동집필한 논문 “에탄올 생산 균주 자이모모나스의 게놈정보에 관한 연구”가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 2005년 신년호에 게재된다. 박현석 교수 연구팀은 에탄올 발효 산업미생물인 자이모모나스의 게놈 DNA의 전체 염기서열을 모두 해독, 이를 DNA칩으로 만들어 알코올 생산 핵심 유전자를 찾아냄으로써 자이모모나스 세균이 다른 세균에 비해 알코올 생산 능력이 월등하게 우수한 이유를 유전자 수준에서 밝혀내는데 성공했다. 또한 이들 알코올 생산 핵심 유전자를 자이모모나스에 삽입, 지금보다 알코올 생산능력이 20% 향상된 슈퍼박테리아 연구에 성공함으로써 국내 친환경 대체에너지 개발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박현석 교수팀이 이번 연구에서 맡은 역할은 게놈의 정보 분석 분야. 박현석 교수는 이미 지난 2000년 8월 '유전자지도 재결합 방식'을 통해 약 2.05Mbp 크기의 자이모모나스 전체 염기서열을 국내 최초로 100% 분석 완료했다. 또한 2001년 11월 국내 최초로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에 유전체 정보를 등재하여 국제적으로 게놈 프로젝트의 성공을 공인 받았다. 이번 논문은 본교를 비롯, 생명공학 기업인 ㈜마크로젠, 서울대, 산업자원부 IMT-2000사업, 과기부의 BK 사업의 연구결과를 집대성한 것으로 산 ∙ 학 ∙ 연 공동연구의 대표적 성공 모델로 꼽히고 있다. (자이모모나스) (자이모모나스 게놈정보)
No.-1
작성자
홍보실
등록일
2004.12.22
조회수
19202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