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주(權寧珠) 교수
식품생명공학과
권영주 교수는 미국 메릴랜드 대학에서 노화가 식품생리활성 성분인 커큐민의 대장암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미국 필라델피아 Fox Chase Cancer Center에서 박사후 연구원, 캔자스 의과대학에서 Senior Scientist로 재직하면서, 난소암의 표적치료, 종양미세환경과 암의 상호작용에 의한 암의 악성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암과 대사질환을 중심으로 식품생리활성 성분의 질병 억제 기능을 연구하고 있다.
- 식품산업융합기술연구소장
- 신공학관 458호
- 02-3277-3103
- 연구관심분야
- 식품생리활성 성분의 항암 작용 및 기전 규명, 식품생리활성 성분의 항비만 평가, 생리적 환경을 고려한 질병모델 연구, 식품의 안전성/독성 평가
연구실적
- YAP/TAZ as Molecular Targets in Skeletal Muscle Atrophy and Osteoporosis AGING AND DISEASE, 2025, v.16 no.1
- Assessing dietary bisphenol A exposure among Koreans: comprehensive database construction and analysi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PART A-CHEMISTRY ANALYSIS CONTROL EXPOSURE & RISK ASSESSMENT, 2024, v.41 no.8, 1018-1055
- Differential curcumin absorption and curcumin-induced STAT3 inhibition during 3T3-L1 cell adipogenesis in 2D and 3D cultures Discover Applied Sciences, 2024, v.6 no.1, 13
- Potential Pro-Tumorigenic Effect of Bisphenol A in Breast Cancer via Altering the Tumor Microenvironment CANCERS, 2022, v.14 no.12, 3021
- Epithelial-stromal communication via CXCL1-CXCR2 interaction stimulates growth of ovarian cancer cells through p38 activation CELLULAR ONCOLOGY, 2021, v.44 no.1, 77-92
- Estimation of Dietary Capsaicinoid Exposure in Korea and Assessment of Its Health Effects NUTRIENTS, 2021, v.13 no.7, 2461
- Possible beneficial effects of N-acetylcysteine for treatment of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Antioxidants, 2021, v.10 no.2, 1-22
- Development of a database of capsaicinoid contents in foods commonly consumed in Korea FOOD SCIENCE & NUTRITION, 2020, v.8 no.8, 4611-4624
- Immuno-Resolving Ability of Resolvins, Protectins, and Maresins Derived from Omega-3 Fatty Acids in Metabolic Syndrome Molecular Nutrition and Food Research, 2020, v.64 no.4, 1900824
- Use of saw palmetto (Serenoa repens) extract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19, v.28 no.6, 1599-1606
- Food-derived polyphenols inhibit the growth of ovarian cancer cells irrespective of their ability to induce antioxidant responses Heliyon, 2018, v.4 no.8, e00753
- Luteolin as a potential preventive and therapeutic candidate for Alzheimer's disease Experimental Gerontology, 2017, v.95, 39-43
- Regulation of HGF and c-MET Interaction in Normal Ovary and Ovarian Cancer: Importance of Targeting c-MET and HGF Interaction REPRODUCTIVE SCIENCES, 2017, v.24 no.4, 494-501
- Thiol-reducing agents prevent sulforaphane-induced growth inhibition in ovarian cancer cells FOOD & NUTRITION RESEARCH, 2017, v.61
- Association of curry consumption with blood lipids and glucose level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16, v.10 no.2, 212-220
- Effect of trans–fatty acids on lipid metabolism: Mechanisms for their adverse health effects Food Reviews International, 2016, v.32 no.3, 323-339
- Mechanism-based management for mucositis: option for treating side effects without compromising the efficacy of cancer therapy ONCOTARGETS AND THERAPY, 2016, v.9, 2007-2016
- Effective inhibition of c-MET-mediated signaling, growth and migration of ovarian cancer cells is influenced by the ovarian tissue microenvironment ONCOGENE, 2015, v.34 no.2, 144-153
- PTN signaling: Components and mechanistic insights in human ovarian cancer MOLECULAR CARCINOGENESIS, 2015, v.54 no.12, 1772-1785
- Curcumin as a cancer chemotherapy sensitizing ag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4, v.57 no.2, 273-280
- Estimation of curcumin intake in Korea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2)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14, v.8 no.5, 589-594
- [저역서] Present Knowledge in Food Safety Elsevier, 2022, 1154
강의
-
2025-1학기
-
생화학이론및실험Ⅱ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815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금 5~6 (공학A103) , 금 7~7 (공학)
-
식품기능성및독성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8446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7~7 (공학A101) , 목 7~7 (공학A101)
-
식품공학세미나Ⅱ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8332분반 01
- 학년 ( 1학점 , 1시간) 수 8~8 (공학)
- 강의실변경
-
-
2024-2학기
-
생화학이론및실험Ⅰ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814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금 6~7 (공학A103) , 금 8~8 (공학)
-
분자/세포생물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829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5 (공학)
-
-
2024-1학기
-
생화학이론및실험Ⅱ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815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금 5~6 (공학A103) , 금 7~7 (공학)
-
식품기능성및독성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8446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3 (공학A102) , 목 2~2 (공학A102)
-
-
2023-2학기
-
생화학이론및실험I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814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금 6~7 (공학A103)
-
기능성식품특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829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5 (공학)
-
식품독성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8307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5 (공학)
-
-
2023-1학기
-
식품기능성및독성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8446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2 (공학A102) , 금 3~3 (공학A102)
-
-
2022-2학기
-
생화학이론및실험I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814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금 5~6 (공학) , 금 7~7 (153)
- 영어강의
-
분자/세포생물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8299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3 (공학)
-
-
2022-1학기
-
생화학이론및실험II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36815분반 01
- 3학년 ( 3학점 , 3시간) 수 5~6 (공학) , 수 7~7 (152)
- 영어강의
-
식품독성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G18307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5 (공학)
-
학력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Ph.D.(Food Science)
이화여자대학교 이학석사(식품영양)
이화여자대학교 이학사(식품영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