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Byol Choi Professor
Department of Sociology
Choi SetByol is an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Sociology at Ewha Womans University. She received a B.A. from Ewha Women’s University and a M.A. and Ph.D. from Yale University. Her areas of interests are sociology of culture, sociology of art, popular culture studies, and culture-art policy. She is currently working on the study of the symbolic boundary of cultural capital in Korean society, generational culture, and a comparative study on social identity among Korea-America-China-Japan.
- Ewha-POSCO Building (Social Sciences) #610
- 02-3277-3910
Research Record
- 청년세대는 무엇을 쫓아 이동하는가: 지방소멸시대의 청년과 문화예술 문화와 사회, 2024, v.32 no.3, 7-52
- 한국 사회 가족가치관의 지형: 기성세대와 청년세대별 유형과 특성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24, v.32 no.1, 241-305
- 한국 사회에서 ‘럭셔리 브랜드 제품’은 어떻게 ‘호화사치품’에서 ‘명품’으로 변신했나? 사회과학논집, 2024, v.55 no.2, 231-258
- 한국사회에서 누가 윤리적 소비를 하는가? 문화와 사회, 2023, v.31 no.3, 279-326
- 가족다양성 수용도 질문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문화와 사회, 2022, v.30 no.2, 163-212
- 문화예술교육 및 문화수용력이 문화적 관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음악장르, 문화예술 활동, 스포츠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22, v.30 no.3, 365-401
- 다세대 사회계층이동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시론 사회과학연구, 2021, v.33 no.2, 119-155
- 명품 패션 브랜드의 미술관 전시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시론- 입생로랑, 조르지오 아르마니, 샤넬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2021, v.34 no.1, 57-93
- 수평적 취향공동체를 통한 새로운 구별짓기: 독서모임 커뮤니티 <트레바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21, v.29 no.2, 183-243
- Anything but Gugak* and Trot: Symbolic Exclusion and Musical Dislikes in South Korea Journal of Asian Sociology, 2020, v.49 no.3, 321-350
- 불평등한 미래: 청소년의 ‘꿈’, 지위표식이 되다 한국사회학, 2020, v.54 no.1, 101-138
- 윤리적 소비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20대 여성의 윤리적 소비 인식과 실천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20, v.31 no.1, 279-299
- 청년세대의 정치: 정치의 주변화인가 새로운 정치의 등장인가 사회과학연구논총, 2020, v.36 no.2, 283-318
- 혐오시대의 문화예술교육: 문화적 관용의 한계와 문화예술교육의 역할 문화와 사회, 2020, v.28 no.3, 51-96
- 가정 내 역할 수행 및 돌봄 노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녀 차이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2019, v.50 no.1, 1-28
- 맞벌이 부부의 역할분담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 2018, v.19 no.1, 47~93
- 부르디외의 지적 전통이 한국 문화정책에 갖는 함의 문화정책논총, 2018, v.32 no.2, 33~56
- 한국 사회 전문가 집단의 내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 전문가 집단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2018, v.49 no.1, 166~187
- A cultural map of South Korea, 2011 Korea Observer, 2017, v.48 no.3, 549-575
- 문화예술교육정책은 왜 혼란스러운가?: 문화예술교육정책 연구를 위한 사회학적 시론 문화와 사회, 2017, v.24, 7~54
- 청년 세대 음식소비문화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2017, v.21 no.2, 49~78
- 한국사회 전문가의 권위와 신뢰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2017, v.33 no.2, 177~215
- 가구형태와 사회적 관계의 객관적·주관적 측면이 우울에 미치는영향 :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16, v.21 no.2, 25~51
- Omnivorous consumer or omnivorous producer?: Patterns of cultural participation in Korea Development and Society, 2015, v.44 no.1, 117-142
-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개인의 문화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2015, v.29 no.2, 4-25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2015, v.16 no.1, 201-231
- 한국의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사회적 인식* - 대중적 가족 개념에 대한 성별 및연령별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015, v.27 no.2, 180-211
- 1인 가구의 문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2014, 제12권 2호, 1-24
- 구별짓기 장(場)으로서의 스포츠 영역에 관한 연구: 스포츠 활동에 대한 선호와 참여, 운동장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014, 제37권 3호, 53-77
- 대중문화와 세대: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14, 제27권 1호, 69-94
-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미술관- 미술관 연구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고찰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14, 48호, 44-51
- 선호하는 친구의 자질에 대한 동아시아 국가 간 비교연구-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2014, 제30권 2호, 141-167
- 한국 사회 문화의 상징적 위계에 대한 조사: 한국 사회의 고급문화는 무엇인가? 조사연구, 2014, 제15권 4호, 123-152
- [학술지논문] 청년 세대의 디지털 활용능력은 ‘디지털 자본’인가? 디지털경제사회연구, 2024, v.2 no.1 , 55-107
- [학술지논문] 한국 사회 가족가치관의 지형: 기성세대와 청년세대별 유형과 특성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24, v.32 no.1 , 241-305
- [학술지논문] 한국 사회에서 ‘럭셔리 브랜드 제품’은 어떻게 ‘호화사치품’에서 ‘명품’으로 변신했나? 사회과학논집, 2024, v.55 no.2 , 231-258
- [학술지논문] Who Participates in Ethical Consumerism in Korea Society 문화와 사회, 2023, v.31 no.3 , 279-326
- [학술지논문] 가족다양성 수용도 질문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문화와 사회, 2022, v.30 no.2 , 163-212
- [학술지논문] 문화예술교육 및 문화수용력이 문화적 관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음악장르, 문화예술 활동, 스포츠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22, v.30 no.3 , 365-401
- [학술지논문] 한국의 MZ세대 이야기: 기성세대의 상식을 넘어서다 지식의 지평 , 2022, v.32 no.32 , 63-76
- [학술지논문] 다세대 사회계층이동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시론 사회과학연구, 2021, v.33 no.2 , 119-155
- [학술지논문] 명품 패션 브랜드의 미술관 전시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시론- 입생로랑, 조르지오 아르마니, 샤넬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2021, v.34 no.1 , 57-93
- [학술지논문] A New Distinction through Horizontal Taste Communities Bases on Book Club Community “Trevari” 문화와 사회, 2021, v.29 no.2 , 183-243
- [학술지논문] Anything but Gugak and Trot: Symbolic Exclusion and Musical Dislikes in South Korea Journal of Asian Sociology, 2020, v.49 no.3 , 321-350
- [학술지논문] 불평등한 미래: 청소년의 ‘꿈’, 지위표식이 되다 한국사회학, 2020, v.54 no.1 , 101-138
- [학술지논문] Sociological Considerations on Ethical Consumption: Focusing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Ethical Consumption among women in their 20s 사회과학연구, 2020, v.31 no.1 , 279-299
- [학술지논문] Political participation of young generation: Is it marginalization of politics or the emergence of new politics? 사회과학연구논총, 2020, v.36 no.2 , 283-318
- [학술지논문] 혐오시대의 문화예술교육: 문화적 관용의 한계와 문화예술교육의 역할 문화와 사회, 2020, v.28 no.3 , 51-96
- [저역서] 대중문화와문화산업 한울아카데미, 2023, 383
- [저역서] 예술의사회학적읽기 동녘, 2022, 335
- [저역서] 지능정보사회의이해 나남, 2021, 472
- [저역서]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동아시아연구원, 2020, 243
- [연구보고서] Through the Lens of Fashion: The Cultural Topography of Seoul 서울생활사박물관, 2021, 1-284
- [학술발표] 청소년문화격차와 정책적 함의: 누리카드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2024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24-09-28 문화사회학 새롭게열다, 2024, 31-40
- [학술발표] 문화자본에 대한 다세대 접근에 있어서의 질적접근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사회학회 2024가을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24-09-28 문화사회학 새롭게 열다, 2024, 21-30
- [학술발표] 청년세대는 무엇을 쫓아 이동하는가?: 지역소멸시대의 청년과 문화예술 한국문화사회학회 2024 가을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24-09-28 문화사회학 새롭게 열다, 2024, 207-217
- [학술발표] 한국사회에서 '호화사치품은 어떻게 명품으로 변신했나 한국문화사회학회 2023 가을 학술대회, 대한민국, 대구, 2023-10-27 한국문화사회학회 2023 가을 학술대회 자료집, 2023, 324-340
- [학술발표] 한국의 세대 '우리'와 '당신들'의 이야기 2023 한국질적탐구학회 춘계학술대회프로그램, 대한민국, 서울, 2023-04-21 한국의 사회적 갈등 이해와 조명을 위한 질적 연구의 역할과 가능성, 2023, 27-39
- [학술발표] 한국 사회 가족 관련 가치관의 세대별 지형 한국조사연구학회 2022 추계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2-11-25 한국조사연구학회 2022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 [학술발표] 문화사회학으로 바라본 한국사회 세대간 문화 경험과 문화 갈등의 자화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1-04-24 유아교육기관 세대문화의이해와 협력방안 모색, 2021, 13-31
- [학술발표]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적 관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사회학회 2021 가을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10-22 코로나 시대와 사회변화2: 뉴노멀의 방향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성찰, 2021, 53-68
- [학술발표] BTS 성공요인에 대한 한국과 미국 신문 분석 비교 2020년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0-11-27 불안한 일상과 기술의 새로운 도전, 2020, 109-110
- [학술발표] Museums for Equality in the Era of Cultural Democracy : Pursuing Diversity and Inclusion 제14회 한국박물관국제학술대회(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Museum As, 대한민국, 서울, 2020-09-15 2020 제14회 한국박물관국제학술대회 _ 키노트 세션(2020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Museum Association _ Keynote Session), 2020, 65-77
Courses
-
2025-1st
-
K-MOOC:Art and Society
- Subject No 11459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
Seminar in Sociology Ⅰ
- Subject No G11269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5~6 (POSCO-354)
-
-
2024-2nd
-
K-MOOC:Art and Society
- Subject No 11459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
Sociology of Taste and Consumption
- Subject No 37184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Mon 4~4 (ECC) , Thu 5~5 (146)
-
Sociology of Culture
- Subject No G13069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5~6 (POSCO-358)
-
-
2024-1st
-
K-MOOC:Art and Society
- Subject No 11459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
Seminar in Sociology of Art
- Subject No G18811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5~6 (POSCO358)
-
-
2023-2nd
-
Sociology of Culture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3299Class No 01
- 3Year ( 3Credit , 3Hour) Tue 6~6 (POSCO153) , Thu 4~4 (POSCO153)
-
Qualitative Research Method
- Subject No G13043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4~5 (POSCO358)
-
-
2023-1st
-
Art and Society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10912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3~3 , Fri 3~3
-
Seminar in Cultural Studies
- Subject No G11290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5~6 (POSCO459)
-
-
2022-2nd
-
Sociology of Culture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3299Class No 01
- 3Year ( 3Credit , 3Hour) Mon 5~5 (POSCO151) , Wed 4~4 (POSCO151)
-
Sociology of Taste and Consumption
- Subject No G18410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5~6 (POSCO457)
-
-
2022-1st
-
Art and Society
- Subject No 10912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3~3 , Fri 3~3
-
Culture and Art Policy in Korea
- Subject No G17546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4~5 (-)
-
Academic Background
Yale University Ph.D.(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