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See Kim Associate Professor
Division of Fine Arts/Posthuman Studies/Media Arts and Technology
Prof. Nam-see Kim is in charge of the field Cultural Theory and Aesthetics. He graduated Department of Aesthetic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received Ph.D. in Cultural Studies (Kulturwissenschaft) in Humboldt University Berlin. He is publishing many articles regarding cultural theory, aesthetics and media theory. He is author of <what is seeing>, and translator of Walter Benjamin, Daniel Paul Schreber and Han Byung-Chul.
- Department Chair, Fine Arts
- Arts & Design Building A/ Natural History Museum #505
- 02-3277-2529
- Office hours
- 수시

Research Record
- 신실재론 미학의 쟁점 2: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신실재론 예술론 미학예술학연구, 2024, v.71, 28-48
- 신실재론 미학의 쟁점. 그레이엄 하먼의 형식주의 미술론 고찰 美學(미학), 2022, v.88 no.2, 75-107
- 혁신적 문화의 확산을 위한 미술관 교육 연구: 기술 발전과 미디어 산업 지형 변화에 따른 디지털 플랫폼 현황을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 2022, v.23 no.2, 153-172
- 구더신(Gu Dexin) 미술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알레고리적 사유들 :발터 벤야민의 알레고리 이론 중심으로 현대미술학 논문집, 2021, v.25 no.1, 7-30
- 혁신으로서의 레디메이드 – 보리스 그로이스의‘새로움’개념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18, v.19 no.5, 57~70
- 현대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로서의 여성의 몸: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트(Abject)개념을 중심으로 현대미술학 논문집, 2018, v.22 no.1, 35~61
- 시각 이미지에는 있으나 언어에는 없는 것 - 시(詩) 이미지 연구 방법론을 위한 제언 한국시학연구, 2016, no.48, 11
- 아카이브 미술에서 과거의 이미지발터 벤야민의 ‘잔해(Trümmer)’와 ‘파편조각(Scherbe)’ 개념을 중심으로 미학예술학연구, 2016, v.49, 29
- 발터 벤야민 예술론에서 기술의 의미「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다시 읽기 美學(미학), 2015, v.81 no.2, 49-86
- 포스트-미디어(Post-Media)시대 예술에서 나타난 ‘참여’의 의미 현대미술학 논문집, 2015, v.19 no.1, 217-268
- 과거를 어떻게 (대)할 것인가: 발터 벤야민의 회억 개념 안과밖:영미문학연구, 2014, 37호, 243-272
- 예술가의 마니페스트- 미래주의 마니페스트를 중심으로 미학예술학연구, 2014, 제40권, 75-100
- [학술지논문] Issues in New-Realism Aesthetics 2: Markus Gabriel’s New Realism Art Theory 미학예술학연구, 2024, v.71 no.0 , 28-48
- [학술지논문] 신체가 맞이하는 국면들. 조영주의 매개적 퍼포먼스 조0주, 2024, v.2024 no.2 , 158-163
- [학술지논문] 이미테이션 게임으로서의 로봇 아트 Public Art, 2024, v.218 no.202411 , 96-99
- [학술지논문] 관점주의/다자연주의 Public Art, 2023, v.2023 no.200 , 60-61
- [학술지논문] 글쓰기의 매체 - 신체 매체-신체, 2023, v.2023 no.7 , 44-61
-
[학술지논문] 살갗없는 몸짓. 김두진의
KIM DUJIN, 2023, v.2023 no.10 , 2-11 - [학술지논문] 인간 신체와 그 데이터. 장신승의 Datenprotokoll 2022 경기시각예술 성과발표전 생생화화, 2023, v.1 no.1 , 126-135
- [학술지논문] 주문으로서의 노래. 김기라의 프로젝트 비비디바비디부 2022 경기시각예술 성과발표전 생생화화, 2023, v.1 no.1 , 96-105
- [학술지논문] 홍콩미술계는 무엇을 꿈꾸는가 Public Art, 2023, v.2023 no.206 , 108-113
- [학술지논문] 미술관은 무엇을 하지 않는가라는 질문 월간 인미공, 2022, v.2022 no.8 , 12-17
- [학술지논문] 신실재론 미학의 쟁점. 그레이엄 하먼의 형식주의 미술론 고찰 美學(미학), 2022, v.88 no.2 , 75-107
- [학술지논문] 오재우, 표면의 풍경, 전통의 표면. 오재우의 <피상팔경> seeState(between); , 2022, v.2021 no.2021 , 128-133
- [학술지논문] 정재희. 전자제품-사물로 할 수 있는 미술 작가&평론가 워크숍 결과자료집, 2022, v.2022 no.2 , 33-40
- [학술지논문] 최지원의 회화적 콜라주 Public Art, 2022, v.17 no.9 , 90-93
- [학술지논문] 해체되는 사진, 떠오르는 시간. 조경재의 <검은 눈> seeState(between); , 2022, v.2021 no.2021 , 190-195
- [학술지논문] 객체지향미술의 현재 뉴 래디컬 리뷰, 2021, v.1 no.2 , 339-349
- [학술지논문]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 다변화하는 미술의 존재양식 Sema Coral , 2021, v.1 no.1 , 1-10
- [학술지논문] 미술에서의 빛 빛으로 그리는 신세계, 2021, v.2021 no.12 , 8-13
- [학술지논문] 부정을 통해 도달하는 평정. 박웅규의 <십팔방> 현시적, 전경, 2021, v.2021 no.12 , 71-77
- [학술지논문] 트라우마와 예술 트라우마와 예술:15분, 2021, v.2021 no.7 , 96-100
- [학술지논문] 1900년대 이후 미술에서 객체 Object 와 사물 Thing 토끼방향 오브젝트, 2020, v.1 no.1 , 114-151
- [학술지논문] 우리가 살아가는 거대한 내부 잇다, 2020, v.2020 no.12 , 27-30
- [학술지논문] 플랫폼이라는 평평함 월간 시인동네, 2020, v.06 no.86 , 136-143
- [저역서] 이끼바위쿠르르 : 함께 아트선재센터, 2025, 188
- [저역서] AI, 예술의 미래를 묻다 시공사, 2024, 258
- [저역서] Hong Jung Ouk 옵스큐라, 2024, 164
- [저역서] Jeongsu Woo : Three Devils by the Bedside 아트선재센터, 2024, 106
- [저역서] Unod Effect 하이트문화재단, 2024, 157
- [저역서] 마르쿠스 가브리엘 커뮤니케이션북스, 2024, 93
- [저역서] 한 신경병자의 회상록 도서출판b, 2024, 600
- [저역서] 김라연. 텍스트 생태 청주시립 대청호미술관, 2023, 71
- [저역서] 나의 축제는 거칠 것이 없어라 백남준아트센터, 2023, 448
- [저역서] 어떤 Norm(all) 수원시립미술관, 2023, 213
- [저역서] 크래쉬. 기술, 속도, 미술시장을 읽는 열 시간 일민미술관, 2023, 414
- [저역서] 회화아닌 대구미술관, 2023, 193
- [저역서] 과거의 문턱. 사진에 관한 에세이 열화당, 2022, 128
- [저역서] 예술의 힘 이비, 2022, 128
- [저역서] 뱀의식. 북아메리카 푸에블로 인디언 구역의 이미지들 읻다, 2021, 183
- [저역서] 보여진다는 것 너머학교, 2020, 128
- [학술발표] "For the Symbiosis of Humans and Technology: How Are We Supposed to Think About Ourselves?" ART Diffusion, 대한민국, 2024-10-29 Art Diffusion , 2024
- [학술발표] 신실재론 미학의 쟁점. 그레이엄 하먼의 형식주의 예술론 한국 미학회 춘계학술대회 , 대한민국, 2022-05-07 한국 미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2022
- [학술발표] 줌 온라인 수업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질문들 연세대 인문학연구원-산하연구소 공동 심포지엄, 대한민국, 2021-06-30 코로나 이후의 매체와 인문학 , 2021
- [학술발표] 1900년대 이후 미술에서 사물과 객체 아트플랜트 아시아 2020 전시 연계 세미나 1 정동사물, 대한민국, 서울, 2020-10-08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전시연계 세미나 1 정동사물, 2020
- [서평] 미술사를 뛰어넘는 이미지의 힘 서울리뷰오브북스, 2022, v.7 , 156-165
- [서평] 팔로어는 힘이 세다. <한편 2호 : 인플루언서> 리뷰 민음사 인문잡지 한편, 2020
Courses
-
2025-1st
-
Arting and Thinking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8750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Tue 2~2 (A) , Fri 3~3 (T-A/NHM524)
-
Contemporary Arts and Theory
- Subject No G10612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5~6 (A)
-
Independent Study Ⅱ
- Subject No G18757Class No 01
- Year ( 3Credit Mon 3~4
-
-
2024-2nd
-
Cultural Theories
- Subject No G10409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Mon 5~6 (A)
-
Art/Semiology/Information
- Subject No G1066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hu 5~6 (A)
-
Independent Study Ⅲ
- Subject No G18758Class No 01
- Year ( 3Credit Mon 3~4
-
-
2024-1st
-
Arting and Thinking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8750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Tue 4~4 (A) , Fri 5~5 (T-A/NHM524)
-
Sociological Approach to Artworks
- Subject No G1061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Fri 6~7 (A)
-
Independent Study Ⅰ
- Subject No G18756Class No 01
- Year ( 3Credit
-
-
2023-2nd
-
Things and Arts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11135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4~4 (A) , Fri 5~5 (T-A/NHM524)
-
Art/Semiology/Information
- Subject No G1066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6~7 (A)
-
Art/Semiology/Information
- Subject No G18775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6~7 (A)
-
-
2023-1st
-
Art and Technology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11263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Wed 3~3 (A) , Fri 4~4 (T-A/NHM524)
-
Arting and Thinking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8750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Tue 3~3 (A) , Thu 2~2 (T-A/NHM524)
-
Sociological Approach to Artworks
- Subject No G1061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5~6 (A)
-
-
2022-2nd
-
Things and Arts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11135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5~5 (A) , Thu 4~4 (T-A/NHM524)
-
Culture and Art
- Subject No G10638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2~3 (A)
-
-
2022-1st
-
Art and Technology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11263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5~5 , Fri 6~6
-
Arting and Thinking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Subject No 38750Class No 01
- 1Year ( 3Credit , 3Hour) Tue 4~4 , Thu 4~4
-
Sociological Approach to Artworks
- Subject No G10614Class No 01
- Year ( 3Credit , 3Hour) Tue 2~3 (-)
-
Academic Background
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Dr.Phil.(문화학과)
Seoul Nat'l Univ. 문학석사(미학과)
Seoul Nat'l Univ. 문학사(미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