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영 교수는 사범대학 초등교육과 소속 교수로 초등영어교육과 교육실습, 교사교육 분야 연구의 권위자다. 이화여대 초등교육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남가주대학(Univ.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TESOL 분야 석사 및 교사교육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초등영어교육 영역과 창의성과 몰입의 경험에 대한 연구, 예비교사 및 현직 초등교사의 전문성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50여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JCB(Journal of Creative Behavior)> 등 SSCI급 국제학술지에 여러편 발표하였다.
저서로는 『Global Teacher Education Program 실제』, 『초등영어교육의 담론과 쟁점』, 『초등학교 교사론』, 『한국 근대 초등교육의 발전』, 『초등교육이란 무엇인가: 현상학적 이해』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성공하는 교사의 첫걸음』, 『교육의 위기: 교사의 스트레스와 탈진』이 있다.
교육관 B동 562호
02-3277-3405
면담 가능시간
연구관심분야
초등 교사교육, 초등 영어교육, 수업전문성, 교사전문성, 수업의 몰입, 창의성, 융합, 질적 연구방법
연구실적
유럽연합(EU) 인공지능 윤리지침에 기초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인공지능 윤리 내용 분석
초등교육연구, 2025, v.38 no.3, 227-248
AI 챗봇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초등학교 6학년 영어 프로그램이 영어 교과 요인 및 창의성 요인 신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024, v.28 no.1, 1-15
다문화 학생 교육 지원 정책 운영학교의 현황 및 교원의 인식과 요구 분석: 경기도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024, v.37 no.3, 207-239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수석교사의 연구동향 분석
초등교육연구, 2024, v.37 no.4, 359-382
초등학교 교무부장이 인식하는 업무 특성과 경험 탐색: 온라인 단체대화방 내용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023, v.27 no.5, 452-466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갈등상황과 대응방안 탐색
초등교육연구, 2023, v.36 no.2, 155-181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실습 지도교수 (수퍼바이저)의 경험 탐색: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022, v.35 no.4, 95-121
초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초등교육연구, 2021, v.34 no.3, 19-44
플립러닝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이 인공지능 윤리의식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021, v.25 no.5, 359-368
Comparison between Novice and Experienced English Teachers’ Perspective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Underachieving Students
교과교육학연구, 2020, v.24 no.3, 286-295
디자인 사고 과정에 기반한 초등 해커톤의 개발 및 적용
교육과학연구, 2020, v.51 no.1, 159-185
초등교사의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영어교육 경력별 대응방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v.20 no.4, 321-342
모바일 및 VR 기술과 창의적 사고를 결합한 초등 영어과 창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교과교육학연구, 2019, v.23 no.2, 147-161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초등 영어교사 전문성 개발 탐색: 인디스쿨 사례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018, v.22 no.5, 339~353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영어수업의 어려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v.18 no.20, 53~73
초등학교 임상장학에서의 멘토링 경험 연구
초등교육연구, 2018, v.31 no.3, 27~50
초등학교 교사의 1급 정교사 자격연수 경험에 대한 자기 성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v.17 no.12, 53~72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 소프트웨어 전문가 교사와 일반 교사의 인식 비교
교과교육학연구, 2017, v.21 no.5, 488~497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기반 초등 영어과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창의적 인성 및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v.17 no.14, 251~273
대본 제작 활동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쓰기 능력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016, v.20 no.1, 1-20
창의성 기법을 기반으로 한 교육연극이 초등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듣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v.16 no.1, 169-188
초등 영어교사 요구에 근거한교내 맞춤형 수업컨설팅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v.16 no.9, 993~1018
초등학교의 특수학급 교사와 일반학급 교사 간 의사결정 참여 정도와 교사 헌신도와의 관계
특수교육, 2016, v.15 no.1, 181-200
초등 영어과 수업에서 학생의 창의성을 촉진하는 교수 전략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2015, v.15 no.3, 39-57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영어교육 전문성 인식 연구
초등교육연구, 2015, v.28 no.2, 103-128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의사소통 활동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015, v.19 no.3, 743-763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읽기 전략 활용 분석
초등교육연구, 2015, 제28권 1호, 159-184
What are characteristics, patterns, and ways to promote communication in th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lassroom at elementary school in Korea?
Information (Japan), 2014, v.17 no.7, 3277-3282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문자 해독 능력, 읽기 유창성 및 흥미도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014, 제18권 3호, 703-723
[학술지논문] AI 챗봇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초등학교 6학년 영어 프로그램이 영어 교과 요인 및 창의성 요인 신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024, v.28
no.1
, 1-15
KCI
[학술지논문] 다문화 학생 교육 지원 정책 운영학교의 현황 및 교원의 인식과 요구 분석: 경기도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024, v.37
no.3
, 207-239
KCI
[학술지논문] 초등학교 교무부장이 인식하는 업무 특성과 경험 탐색: 온라인 단체대화방 내용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023, v.27
no.5
, 452-466
KCI
[학술지논문]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갈등상황과 대응방안 탐색
초등교육연구, 2023, v.36
no.2
, 155-181
KCI
[학술지논문]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실습 지도교수 (수퍼바이저)의 경험 탐색: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022, v.35
no.4
, 95-121
KCI
[학술지논문] 초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초등교육연구, 2021, v.34
no.3
, 19-44
KCI
[학술지논문] 플립러닝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이 인공지능 윤리의식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021, v.25
no.5
, 359-368
KCI
강의
2024-2학기
아동발달과교육
학수번호 21557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수 4~5
(교)
교사연구의심리사회학적기초
학수번호 G1252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교A406)
2024-1학기
1학년세미나(사범대)
학수번호 10857 분반 06
1학년 (
1학점
수 7~7
초등교육과 나의 과거, 현재, 미래
초등교육론
학수번호 21566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5
(교)
전공필수
초등영어기초이론
학수번호 35182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7
(교)
팀티칭
초등교사교육프로그램비교세미나
학수번호 G1256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교A402)
2023-2학기
초등교사전문성과리더십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8835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7
(교)
교사교육연구동향
학수번호 G1263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A414)
2023-1학기
1학년세미나(사범대)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0857 분반 05
1학년 (
1학점
수 7~7
초등교육과 함께 하는 나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교육관 6층 세미나실
초등영어기초이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5182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수 4~5
(교)
초등현직교육연구
학수번호 G1263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교A408)
2022-2학기
초등영어교육방법
학수번호 35183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3
(교)
초등학교수업관찰연구
학수번호 G1269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교A402)
교사개발과수업전문성
학수번호 EE21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교)
2022-1학기
초등영어기초이론
학수번호 35182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목 2~3
(교)
학력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h.D.(교육과정.교수학습)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S.(교육과정)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