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향(崔志向) 부교수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아동미디어융합전공[대학원]

최지향 프로필 사진
최지향 교수는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소속 부교수로 저널리즘과 정치커뮤니케이션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연세대학교 (학사), 인디애나대학교 (석∙박사)에서 수학했으며 한국일보사에서 다년간 언론 실무를 경험했다.
  변화하는 뉴스 미디어 환경이 이견노출, 양극화, 정치참여 등 시민들의 정치 관련 정보 획득, 태도 형성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저널리즘 분야에서 높은 인용지수를 보이는 Digital Journalism,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등 주요 저널에 관련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연구실적
  • [학술지논문] Hate prompts participation: Examining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polariz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NEW MEDIA & SOCIETY, 2025, v.27 no.1 , 443-461
    SSCI
  • [학술지논문] How are news portals integrated into daily news habits? A study on news trust, news repertoir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South Korea ONLINE INFORMATION REVIEW, 2025, v.49 no.1 , 182-199
    SSCI
  • [학술지논문] Political knowledge and affective polarization: a spillover mechanism through emotions toward partisan media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025, v.51 no.2 , 126-137
    SSCI
  • [학술지논문] Reinforcing Cycles? Empirical Reflec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ynicism and Political Cynicism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2025, v.28 no.3 , 441-458
    SSCI
  • [학술지논문] Social media news use and polarized partisan perceptions: mediating roles of like-minded and cross-cutting discussio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Politics, 2025, v.22 no.2 , 200-214
    SSCI
  • [학술지논문] 무당파는 어떤 시민인가? 순수무당파, 편향적무당파, 약한당파층의 시민역량, 투표행위, 정치냉소 비교 사회과학연구논총, 2025, v.41 no.1 , 225-256
    KCI
  • [학술지논문] 언론신뢰 결여와 관련한 다양한 태도: 청년들의 언론에 대한 불신, 회의, 냉소, 무관심과 시민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2025, v.62 no.1 , 205-225
    KCI
  • [학술지논문] Creating vicious information cycle: trust, exposure and misperception in online and offline information dynamics during health crises ONLINE INFORMATION REVIEW, 2024, v.48 no.6 , 1177-1196
    SSCI
  • [학술지논문] The Role of News Sharing in Curbing the Negative Impact of Misperceptions on Prosocial Behavio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2024, v.18 no.1 , 2368-2387
    SSCI
  • [학술지논문] Who is using ChatGPT and why?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model INFORMATION RESEARCH-AN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2024, v.29 no.1 , 54-72
    SSCI
  • [학술지논문] 기성언론보다 소셜미디어 뉴스를 선호하면서 식견 있는 시민이 될 수 있는가?: 기성언론회피형 뉴스소비에 대한 탐색 언론정보연구, 2024, v.61 no.1 , 50-93
    KCI
  • [학술지논문] 유튜브 뉴스 이용자는 누구인가? : 비이용, 간헐적 이용, 정기적 이용, 과이용층의 기성 언론 이용, 정치적 태도 및 시민성 비교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2024, v.1 no.128 , 169-197
    KCI
  • [학술지논문] 한국의 인지적 무당파는 누구이며 왜 양대 정당과 단절되었는가? :심층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024, v.72 no.0 , 49-95
    KCI
  • [학술지논문] Excluding and Including: News Tailoring Strategies in an Era of News Overload DIGITAL JOURNALISM, 2023, v.11 no.6 , 943-961
    SSCI
  • [학술지논문] Social Media as Risk-Attenuation and Misinformation-Amplification Station: How Social Media Interaction Affects Misperceptions about COVID-19 HEALTH COMMUNICATION, 2023, v.38 no.6 , 1232-1242
    SSCI
  • [학술지논문] 건강정보습득 경로에 따른 건강정보효능감과 정부권고수준의 차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23, v.37 no.4 , 158-193
    KCI
  • [학술지논문] 정말 아는 시민과 아는 것 같은 시민 수동적 뉴스소비가 주관적·객관적 정치지식 및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023, v.37 no.4 , 310-333
    KCI
  • [학술지논문] Confusing Effects of Fake News on Clarity of Political Information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JOURNALISM PRACTICE, 2022, v.16 no.10 , 2147-2165
    SSCI
  • [학술지논문] Effects of online incivility and emotions toward in-groups on cross-cutting atten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2022, v.41 no.14 , 3013-3027
    SSCI
  • [학술지논문] 유튜브 뉴스채널의 신뢰도 형성 메커니즘 분석: 뉴스품질 인식과 정파성기대부합 인식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2022, v.59 no.1 , 50-91
    KCI
  • [학술지논문] 정치적 성향이 일치하는 정치뉴스의 감정적표현 정도가 뉴스품질 및 신뢰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 각성 및 정치토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22, v.66 no.6 , 271-306
    KCI
  • [학술지논문] Cross-Cutting Scanning, Integrating, and Interacting: Dimensions of Cross-Cutting Exposure on Social Media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2021, v.15 no.0 , 1595-1616
    SSCI
  • [학술지논문] Engagement in Emotional News on Social Media: Intensity and Type of Emotion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2021, v.98 no.4 , 1017-1040
    SSCI
  • [학술지논문] News Repertoires and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News Overload SAGE OPEN, 2021, v.11 no.1 , 1-9
    SSCI
  • [학술지논문] 소셜Q&A사이트에서의 건강정보검색과 예방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21, v.22 no.6 , 959-967
    KCI
  • [학술지논문] 왜 한국 신문의 문제적 사실확인 관행은 고쳐지지 않는가?: 사회부 취재기자와 에디터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나타난 구조적 원인 분석 언론과 사회, 2021, v.29 no.2 , 5-57
    KCI
  • [학술지논문] 우리는 선거에서 함께 최선의 판단을 내릴 수 있는가? 허위정보생태계 속 여론역량의 하락과 언론의 정보확산윤리 방송문화연구, 2021, v.33 no.2 , 47-76
    KCI
  • [학술지논문] 유튜브 정치인플루언서 채널 이용에 따른 인지적, 감정적 충족이 저널리즘 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념적 공명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21, v.35 no.3 , 87-116
    KCI
  • 누가 뉴스 맞춤화(customization)를 이용하며 시민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정향욕구, 뉴스 맞춤화, 의제다양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20, v.64 no.4, 325-354
    KCI dColl.
  • 소셜미디어에서 이견(異見) 관련 경험과 의견극화: 접촉, 교류, 회피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20, v.21 no.7, 1261-1271
    KCI dColl.
  • [학술지논문] 가치, 교과목, 교수인력의 빈곤 속 한국 저널리즘 교육의 발전방안 모색모델 교육과정 수립과 협업시스템 강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19, v.63 no.5 , 38-86
    KCI
  • [학술지논문] 한국 공영방송 TV 뉴스의 형식적, 내용적 도식에 따른 심층성 분석KBS <9시뉴스>와 BBC <10시뉴스>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19, v.63 no.5 , 152-189
    KCI
  • [학술지논문] 트위터는 어떻게 가짜뉴스를 유통시키는가? <교통법규 개정설>과 <9월 전쟁설>의 트위터 유통 패턴과 유력자, 빈출단어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018, v.35 no.4 , 203-251
    KCI
  • [학술지논문] Investigating effects of social media news sha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heterogene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7, v.75 no.1 , 25-31
    SSCI
  • [학술지논문] Differential Use, Differential Effects: Investigating the Roles of Different Modes of News Use in Promoting Political Participat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2016, v.21 no.6 , 436-450
    SSCI
  • [학술지논문] New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The Dimensions of News Sharing on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2016, v.93 no.4 , 816-835
    SSCI
  • [학술지논문] SNS 이용과 정치참여 : 정치적 사회자본과 정보 및 오락추구 동기의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16, v.60 no.5 , 123-144
    KCI
  • [학술지논문] Why do people use news differently on SNSs? An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motivations, media repertoires, and technology cluster on citizens' news-related activiti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6, v.54 no.0 , 249-256
    SSCI
  • [학술지논문]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news sharing and political interest on social media network heterogenei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5, v.44 no.1 , 258-266
    SSCI
  • [학술지논문]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내에서의 이견노출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이견관찰, 이견관여, 당파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15, v.59 no.5 , 152-177
    KCI
  • [학술지논문] 정향욕구와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참여적 뉴스 사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15, v.59 no.3 , 7-28
    KCI
  • [학술지논문] All things considered? Investigating the diversity of public affairs issues that individuals think about in the Internet 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4, v.32 no.0 , 112-122
    SSCI
  • [학술지논문] Social media, network heterogeneity, and opinion polariz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2014, v.64 no.4 , 702-722
    SSCI
  • [학술지논문] The global journalists in the 21st century: A cross-national study of journalistic competencies Journalism Practice, 2013, v.60 no.5 , 163-183
강의
  • 2024-2학기

    • 글로벌커뮤니케이션

      • 학수번호 20307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포152) , 수 2~2 (포152)
      • 영어강의
    • 정치커뮤니케이션

      • 학수번호 G1380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포160)
  • 2024-1학기

    • 1학년세미나(사회대)

      • 학수번호 10848분반 15
      • 1학년 ( 1학점 월 7~7 (포565)
      • 뉴스와 시민/포565호
    • News Reporting & Writing

      • 학수번호 35104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7 (포563)
      • 영어강의
    • 언론사회학

      • 학수번호 36032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포) , 수 4~4 (151)
    • 미디어프로젝트자기설계Ⅰ

      • 학수번호 38358분반 02
      • 4학년 ( 3학점
      • 도전학기 선발학생만 수강 가능
    • 미디어프로젝트자기설계Ⅱ

      • 학수번호 38359분반 02
      • 4학년 ( 3학점
      • 도전학기 선발학생만 수강 가능
  • 2023-2학기

    • 글로벌커뮤니케이션

      • 학수번호 20307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포261) , 수 2~2 (포261)
      • 영어강의
    • 저널리즘연구

      • 학수번호 G13798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7 (포563)
  • 2023-1학기

  • 2022-2학기

    • 글로벌커뮤니케이션

      • 학수번호 20307분반 01
      •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포261) , 수 5~5 (포261)
      • 영어강의
    • 정치커뮤니케이션

      • 학수번호 G1380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5 (포352)
  • 2022-1학기

    • 1학년세미나(사회대)

      • 학수번호 10848분반 18
      • 1학년 ( 1학점 수 7~7 (포352)
      • 뉴스와 시민
    • News Reporting & Writing

      • 학수번호 35104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7
      • 영어강의
    • 언론사회학

      • 학수번호 36032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 수 5~5
학력

Indiana University Ph.D.(Mass communications)

경력

이화미디어센터주간직무대행 2018-02-01 ~ 2018-07-31

이화미디어센터부주간 2016-09-01 ~ 2021-02-28

이화미디어센터부주간 2022-09-01 ~ 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