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준 교수는 사학전공 소속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현대사를 전공했다. 한국현대사 자료발굴과 이에 기초한 글쓰기가 주요 관심사이다. 50여 권의 한국현대사 관련 자료집을 기획·해제했으며, 근현대 주요 인물들과 정치사에 대한 글을 썼다. 지은 책으로 『몽양여운형평전』(한울), 『우남이승만연구』(역사비평), 『한국전쟁』(돌베개), 『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독립기념관), 『독도1947』(돌베개) 등이 있다.
연구실적
1945~1947년 임시정부 계열의 대북 선전・조직 활동과 대북타격 공작
이화사학연구, 2024, v.0 no.69, 232-298
김규식과 의친왕: 미국 유학시절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2023, v.0 no.152, 167-200
영국의 카이로회담 인식과 카이로선언 한국 조항에 미친 영향
역사비평, 2023, v.0 no.145, 368-419
공포와 관용 : 한국전쟁기 부역자 처벌의 이중성과 그 유산
역사와 현실, 2022, v.0 no.123, 337-390
이기종의 생애와 주요 활동 - 알려지지 않은 이범진‧이위종의 동반자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2, v.0 no.113, 73-124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Territorial Issues: Information Pamphlets on Territorial Issues: Information Pamphlets on Territorial Issues from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heir Impact
KOREA JOURNAL, 2021, v.61 no.2, 171-208
경성대학 총장 알프레드 크로프츠와 미군정 초기 대학정책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2021, v.0 no.132, 65-127
관동군 밀정 염동진과 독립투사 김혁―낙양군관학교 동기생의 엇갈린 운명과 백의사의 기원
역사비평, 2021, no.135, 289-331
한국전쟁기 미군이 노획한 북한노획문서 중 북한신문 자료의 유형과 특징
통일과 평화, 2021, v.13 no.1, 7-75
현준혁 암살과 김일성 암살시도―평남 건준의 좌절된 ‘해방황금시대’와 백의사
역사비평, 2021, no.136, 342-388
한국의 샌프란시스코평화회담 참가문제와 배제과정
한국과 국제정치, 2020, v.36 no.3, 1-42
중국 관내 신한청년당과 3·1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9, no.65, 5-64
한국전쟁 휴전회담과 전후체제의 성립
한국문화연구, 2019, v.36, 244-288
한국전쟁기 미・중・소의 참전・개입과 역할
이화사학연구, 2019, v.58, 216-264
중립을 향한 ‘반공포로’의 투쟁: 한국전쟁기 중립국행 포로 76인의 선택과 정체성
이화사학연구, 2018, no.56, 1~65
1919년, 파리로 가는 김규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7, no. 60, 79~131
3·1운동의 기폭제―여운형이 크레인에게 보낸 편지 및 청원서
역사비평, 2017, no. 119, 223~267
Political migration of Korean activists through Czechoslovakia in the post-world war II period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2017, v.30 no.1, 31-70
식민지 관제 역사학과근대 학문으로서의 한국역사학의 태동― 진단학회를 중심으로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2016, v.110, 105~162
A 350-year history of a Chungin family line interwoven with genealogical records and oral history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2015, v.28 no.2, 257-268
大韓民國臨時政府의 戰後構想과 還國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5, v.52, 177-210
金奎植의 부친 金鏞元의 가계와 생애
한국근현대사연구, 2015, v.73, 7-46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독도
독도연구, 2015, v.18, 135-166
1950년대 재미한인 『독립』그룹의 非美활동조사위원회(HUAC) 청문회 소환과 추방
이화사학연구, 2014, 48호, 27-58
Wellington Chung: Child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rushed by Cold War Regimes
KOREA JOURNAL, 2014, v.54 no.4, 106-146
카이로회담의 한국 문제 논의와 카이로선언 한국조항의 작성 과정
역사비평, 2014, 107호, 307-347
강의
2025-1학기
한국근대사의전개
학수번호 35139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학653)
,
수 4~4
(학653)
한국근대사연구의현황과과제
학수번호 G1728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7
(인105)
2024-2학기
한국현대사의전개
학수번호 35154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학552)
,
수 4~4
(학552)
한국근현대사의제문제
학수번호 G1729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7
(인105)
2024-1학기
한국근대사의전개
학수번호 35139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학210)
,
수 4~4
(학210)
국제관계와한국근현대사
학수번호 G1728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6
(인105)
2022-2학기
한국현대사의전개
학수번호 35154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캠)
,
수 4~4
(147)
한국사연구방법론
학수번호 G1283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7
(인105)
2022-1학기
1학년세미나(인문대)
학수번호 10845 분반 19
1학년 (
1학점
월 7~7
(인511)
한국근현대사산책
한국근대사의전개
학수번호 35139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포160)
,
수 4~4
(포160)
한국근대사연구의현황과과제
학수번호 G1728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7
(인105)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