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ntent analysis of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in popular kids’ YouTube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024, v.48 no.6, 497-510
Effects of network heterogeneity on social media on opinion polarization among South Koreans: Focusing on fear and political orientationInternational Communication Gazette, 2020, v.82 no.2, 119-139
Expanding affective intelligence theory through social viewing: Focusing on the South Korea's 2017 presidential election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8, v.83, 119-128
Hasty discussion, cross-cutting exposure, and tolerance: A comparative study of South Korean and American online discussantsINTERNATIONAL COMMUNICATION GAZETTE, 2018, v.80 no.6, 570-594
Network analyses of attention to deviance and social significance based on gene and culture co-evolution theoryMedia Scholarship in a Transitional Age: Research in Honor of Pamela J. Shoemaker, 2018 , 175-192
Understanding social viewing through discussion network and emotion: A focus on South Korean presidential debatesTELEMATICS AND INFORMATICS, 2018, v.35 no.5, 1382-1391
Emergence of the viewing public: Does social television viewing transform individual viewers into a viewing public?Telematics and Informatics, 2017, v.34 no.7, 1059-1070
[학술지논문] A content analysis of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in popular kid's YouTub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024, v.48
no.6
, 497-510
SSCI
[학술지논문] 고령층의 부정적 심리적 상태가 틱톡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 충동성의 매개효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2024, v.40
no.2
, 357-396
KCI
[학술지논문] 스터디위드미(Study With Me) 동영상 이용 시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 성취감의 관계 : 물리적 실재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송통신연구, 2024, v.126
no.126
, 7-47
KCI
[학술지논문] 어린이 영상콘텐츠 품질지수 개발을 위한 자동화 분석: 인지, 정서, 사회화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24, v.38
no.4
, 325-376
KCI
[학술지논문] 어린이 자녀의 영상미디어 시청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태도와 기대가 자녀의 학습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미디어 중재와 지적 호기심의 이중 매개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24, v.68
no.3
, 83-124
KCI
[학술지논문] ‘연결’을 위한 미디어 이용에서 공존감의 매개효과 : 스터디위드미 동영상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23, v.119
no.119
, 162-195
KCI
[학술지논문] 미디어 폭력성 측정방식의 전환: 컴퓨터 비전을 통한 자동화된 폭력장면 검출
방송문화연구, 2023, v.35
no.2
, 5-59
KCI
[학술지논문] 부모들의 유아 유튜브 시청허용 동기가 시청중재와 시청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023, v.37
no.4
, 274-309
KCI
[학술지논문] 부모의 시청 중재가 어린이들의 유튜브 시청 시간·시청 콘텐츠를 거쳐 정서적 불안정과 과잉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방송문화연구, 2023, v.35
no.1
, 177-223
KCI
[학술지논문] 아동이 시청하는 프로그램의 연령 적합성과 영상 미디어 이용조절 관계 : 교육적 시청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2023, v.21
no.2
, 111-157
KCI
[학술지논문] 인스턴트 메신저의 구술성이 사회적 실재감과 친밀감을거쳐 소통의 양과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카카오톡 오픈 채팅 사용자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2023, v.122
no.122
, 74-126
KCI
[학술지논문] 흐려진 이미지 자동화 검출 방법을 이용한 사건·사고 방송뉴스의 화면흐림처리 영상분석
한국방송학보, 2023, v.37
no.1
, 129-167
KCI
[학술지논문] 드라마 <펜트하우스> 화면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맥락적 요인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2022, v.18
no.4
, 199-255
KCI
[학술지논문] The Influences of the Relationships Formed by Entertainment Program Viewers on Program-Related Behaviors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2, v.22
no.2
, 710-723
KCI
[학술지논문] 유아와 가정의 특성, 부모의 중재가 교육 프로그램 시청에 미치는 영향
방송통신연구, 2022, v.120
no.120
, 34-69
KCI
[학술지논문] 초기 청소년들의 유튜브 시청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 중재, 또래 중재, 부모의 유튜브 시청량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논총, 2022, v.38
no.2
, 83-116
KCI
[학술지논문] 19대 대선 TV토론에 대한 방송뉴스 영상의 균형성, 진실성 연구 심층학습 기반 동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한 후보자들의 등장빈도, 표정, 응시방향 분석
방송통신연구, 2021, v.0
no.114
, 113-157
KCI
[학술지논문] 관계적 시청 지수: 공중파와 개인방송의 관계적 시청지수 비교 및 프로그램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미디어 경제와 문화, 2021, v.19
no.2
, 109-155
KCI
[학술지논문] 부모 중재와 미디어 교육이 청소년 유튜브 이용에 미치는 영향 : 학년에 따른 효과의 차이 분석
방송통신연구, 2021, v.1
no.113
, 141-171
KCI
[학술지논문] 호러(Horror)시청 공포감이 시청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거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0, v.21
no.4
, 329-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