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곤 교수는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전공 소속 교수로 미국정치, 의회-정당, 관료정치, 정책이론 분야를 전공하고 있다. 2013년 미국 UC Berkele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American Politics Research>,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Administration & Society>, <Policy Studies> 등의 SSCI 국제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실적
[학술지논문] 2024년 미국 대통령, 상원의원, 주지사 선거 결과 비교 분석
현대정치연구, 2025, v.18
no.1
, 185-208
KCI
[학술지논문] 샤이트럼프는 누구인가?: 2016년∼2024년 대선을 중심으로
미국학, 2024, v.47
no.2
, 43-68
KCI
미국 118대 의회 하원의장 선출을 위한 정치적 합의와 그 결과
미국학, 2024, v.47 no.1, 95-123
미국 하원의장 선출과 해임: 112대-118대 의회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024, v.33 no.2, 1-35
샤이트럼프는 누구인가?: 2016년∼2024년 대선을 중심으로
미국학, 2024, v.47 no.2, 43-68
후보자 도덕성과 도시, 농촌, 교외의 투표 행태 : 2020년 미국 대선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2024, v.6 no.2, 441-469
2022년 미국 중간선거 이후공화당 내부 갈등 구도 분석: 상·하원별 반트럼프 투표행태를 중심으로
의정연구, 2023, v.29 no.1, 75-102
미 의회 의원들의 중국 견제 법안 투표행태 분석
국가전략, 2023, v.29 no.2, 31-66
바이드노믹스의 경제투표 효과 분석: 2022년 미국 중간선거를 중심으로
미국학, 2023, v.46 no.2, 183-205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선거 영향력: 2022년 중간선거를 중심으로
국가와 정치, 2023, v.29 no.1, 1-33
Different policies, different voices: gender and legislative coordination in the United States Congress
Policy Studies, 2022, v.43 no.4, 659-675
The virtuous circle of participation: Female candidates and women's engagement in Korean politics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2022, v.92, 102576
미국 민주당 단점정부와 상식연합: 117대 의회의 중심축 투표자
동서연구, 2022, v.34 no.1, 167-193
바이든 vs. 트럼프: 2022년 미국 상원 중간선거와 전・현직 대통령의 선거 지원
미국학, 2022, v.45 no.2, 387-416
인종 정체성과 정당단합투표: 미국 민주당 의원들의 의회 투표 변화
미국학, 2022, v.45 no.1, 25-63
미국 대통령 의제에 대한 여당의 투표 행태: 111-116대 의회 여당 하원의원들의 대통령지지투표 분석
미국학, 2021, v.44 no.1, 81-112
미국 민주당 내부 분열: 당내 계파와 소수인종 그룹의 성장
국제지역연구, 2021, v.25 no.3, 245-274
미국 부통령 후보 지명의 선거적 의미
의정연구, 2021, v.27 no.1, 223-229
트럼프 대통령 의제에 대한 공화당 계파 의원들의 투표 행태 분석
미래정치연구, 2021, v.11 no.1, 27-54
트럼프 행정부 전후 공화당 의원들의 투표 행태 변화
사회과학연구논총, 2021, v.37 no.1, 65-101
2020 대선 대비 트럼프 대통령의 당내 계파별 포섭 전략
미국학 논집, 2020, v.52 no.2, 93-119
Strange Bedfellows: Cooperative Policy Making in a Divided Government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2020, v.35 no.2, 25-46
중도 소수 정당과 유권자 투표 행태: 2010년대 후반 총선과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동향과 전망, 2020, no.110, 278-309
트럼프 대통령의 의제에 대한 미 의회 의원의 투표 행태 분석
의정논총, 2020, v.15 no.1, 345-367
Errors in Public Management and Congressional Oversight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2019, v.34 no.2, 29-50
여성 유권자 정치이념 변화와 원인 분석
동향과 전망, 2019, no.107, 236-258
Faction Polarization and Ideological Realignment in South Korea
KOREA OBSERVER, 2018, v.49 no.1, 1-23
Network Ties and Congressional Delegation to U.S. Federal Agencies
Administration and Society, 2018, v.50 no.6, 752-777
초점 사건과 정책 결정 과정의 변화: 한국 여성 정책을 중심으로
동향과 전망, 2018, no. 102, 217~249
Designed to Succeed:Participatory Governance, Transaction Cost, and Policy Performance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2016, v.31 no.2, 1~22
Executive-Legislative Conflict and Regulation Outcomes: The Case of the U.S. FCC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2016, v.31 no.3, 75
Class Betrayal Voting: Income Group and Vote Choice in Korean Presidential Elections
KOREA OBSERVER, 2015, v.46 no.4, 783-808
Regulation Growth and Bureaucratic Politics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Policy Studies, 2015, v.30 no.2, 47-68
한국정당 조직의 상대적 불안정성: 집단행동이론과 계파갈등
동향과 전망, 2015, v.95, 157-189
PUBLIC MEETINGS FOR EFFICIENT ADMINISTRATIVE PERFORMANCE IN THE UNITED STATES
PUBLIC PERFORMANCE & MANAGEMENT REVIEW, 2014, v.37 no.3, 388-411
The Instability of Korean Political Parties : Cue-givers and Cue-chasing Politicians
JAPANES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014, v.15 no.1, 113-130
[학술지논문] 정책 특성에 따른 정부안 입법 및 국회 개입 분석
의정논총, 2021, v.16
no.2
, 5-27
KCI
[학술지논문] Environmental legislative standstill and bureaucratic politics in the USA
POLICY STUDIES, 2014, v.35
no.1
, 40-58
SSCI
[학술지논문] Contingent Party Pressure and Legislative Gridlock
AMERICAN POLITICS RESEARCH, 2013, v.41
no.2
, 175-202
SSCI
[학술지논문] The Administrative Broker: Bureaucratic Politics in the Era of Prevalent Information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2013, v.43
no.6
, 690-708
SSCI
[저역서] The Oxford Handbook of South Korean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23, 672
[저역서] 미국 중간선거 분석 바이든 승리인가, 트럼프 패배인가?
박영사, 2023, 280
[저역서] 대변동의 미국정치, 한국정치
명인문화사, 2022, 375
강의
2025-1학기
미국정치
학수번호 35064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포153)
,
금 2~2
(포153)
정치통계분석론
학수번호 G1238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6~7
(포159)
정치학특강
학수번호 PP14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포361)
2024-2학기
정치학방법론
학수번호 22185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포)
,
금 2~2
(151)
제도와권력
학수번호 G1750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4~5
(포356)
미국정치
학수번호 PP15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포261)
2024-1학기
미국정치
학수번호 35064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포252)
,
금 2~2
(포252)
정책결정과정치적선택
학수번호 G1738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4~5
(포357)
정치학특강
학수번호 PP14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포261)
2023-2학기
정치학방법론
학수번호 22185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포253)
,
금 2~2
(포253)
영어강의
정치통계분석론
학수번호 G1238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6~7
(포159)
미국정치
학수번호 PP15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포261)
2023-1학기
1학년세미나(사회대)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0848 분반 01
1학년 (
1학점
금 7~7
정치학이론 토론하기
미국정치
학수번호 35064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포252)
,
금 2~2
(포252)
영어강의
제도와권력
학수번호 G1750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4~5
(포352)
정치학특강
학수번호 PP14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포261)
2022-2학기
정치학방법론
학수번호 22185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포252)
,
금 2~2
(포252)
영어강의
정치통계분석론
학수번호 G1238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4~5
(포159)
2022-1학기
1학년세미나(사회대)
학수번호 10848 분반 01
1학년 (
1학점
금 7~7
정치학 이론 토론하기 / 장소: 교수연구실
미국정치
학수번호 35064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
금 2~2
영어강의
정책결정과정치적선택
학수번호 G1738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4~5
정치학특강
학수번호 PP14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포354)
학력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Ph.D.(Political Science)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