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자(金壽子) 부교수
이화인문과학원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협동과정
/호크마교양대학
연구실적
베트남전쟁 경험의 기억과 그 ‘의미’- 참전 간호장교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2024, v.17 no.2, 107-132
베트남전쟁 참전 간호장교의 베트남전에 대한 인식과 ‘기억’ -베트남전쟁 참전 간호장교의 구술을 중심으로
숭실사학, 2024, v.0 no.52, 363-383
서울의 랜드마크, 자연경관 파괴 설치물이라는 인식의 공존 : 남산공원의 케이블카를 중심으로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2023, v.16 no.2, 259-284
식민·해방 공간의 여성지식인의 여성 정치 참여 인식과 활동: 박승호의 여성단체 및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 활동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2023, v.0 no.48, 57-92
1960년대 서울시 도시계획과 ‘미래도시’ 구상 -세운상가 건립을 중심으로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2022, v.15 no.2, 31-53
김애식의 음악 교육인으로의 성장과 ‘기독교 가정’ 형성
이화사학연구, 2021, no.63, 227-255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푸른 산’ 조성과 경제·생태 인식: 〈대한뉴스〉의 ‘식목일’, ‘산림녹화’ 행사를 중심으로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2020, v.13 no.2, 91-112
사직공원 조성과 사직단을 둘러싼 ‘개발’과 ‘문화재보호’ 담론의 대립-일제시기부터 196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020, v.38, 137-170
역사 ‘기록’과 영웅 ‘출현’의 관계: 신채호의 《을지문덕》 저술을 중심으로
동방학, 2020, no.42, 305-333
‘가족계획’ 담론과 여성 ‘몸’에 대한 인식 변화 ― 1950~60년대 '여원'을 중심으로 ―
이화사학연구, 2019, v.59, 195-224
제1공화국 시기 장충단공원의 정체성의 변형 과정
한국문화연구, 2018, v.34, 279~305
탈식민, 탈냉전과 해방이후 ‘국가건설’ 연구에 대한 국제정치학적 시각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2018, v.11 no.1, 71~96
Post-Colonialism and the Restoration of Cultural Identity: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Changgyeong Palac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7, v.20 no.2, 53~80
근대 조선의 ‘탈중화’와 지역의식의 재구성
동방학, 2017, v.1 no.37, 147~175
해방후 미군정의 서울시 고문위원회 구성과 ‘자치도시’ 공표(1945~48)
서울과 역사, 2017, no. 97, 257~288
20세기 초 최남선의 ‘세계적 지식’의 전달 방식-≪로빈슨 크루소≫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016, v.30, 193~225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여성의원의 입법 활동(1946-1948): ‘여성의원 특별취급안’을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 2016, no.53, 209
제1공화국 시기 창경원의 탈식민성의 불완전성과 공원 기능의 확대
사림, 2016, v.56, 271~293
1920·1930년대 ≪신여성≫ 여성기자의여성담론 구성방식― 허정숙과 송계월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2015, v.74, 127-155
20세기 신채호의 18세기 안정복에 대한 역사인식-안정복의 동사강목을 중심으로
동방학, 2015, v.33, 253-284
신채호의 『이태리건국삼걸전』 번역 목적과 ‘영웅상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4, 80호, 45-78
{독립신문}에 나타난 개화지식인들의 근대주의와 儒學 인식
동양고전연구, 2011, v.0 no.45, 249-275
강의
2025-1학기
인물로읽는한국사
학수번호 1058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학754)
,
수 4~4
(학754)
인문학으로세상읽기
학수번호 10956 분반 01
학년 (
1학점
, 1.5시간)
원격강의 팀티칭
한국의문화유산역사여행
학수번호 11366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원격강의
그림속한국역사문화읽기
학수번호 1151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7~7
(학553)
,
수 6~6
(학553)
학부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핵심교양 교과목(2025학년도 전기 입학생 수강 권장), 한국인 및 재외국민 수강 불가
2024-2학기
인물로읽는한국사
학수번호 1058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학210)
,
목 4~4
(학210)
인문학으로세상읽기
학수번호 10956 분반 01
학년 (
1학점
, 1.5시간)
원격강의 팀티칭
한국의문화유산역사여행
학수번호 11366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원격강의
2024-1학기
인물로읽는한국사
학수번호 1058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학655)
,
수 5~5
(학655)
인문학으로세상읽기
학수번호 10956 분반 01
학년 (
1학점
, 1.5시간)
원격강의
한국의문화유산역사여행
학수번호 11366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원격강의
2023-2학기
인문학으로세상읽기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0956 분반 01
학년 (
1학점
, 1.5시간)
원격강의
2023-1학기
인문학으로세상읽기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0956 분반 01
학년 (
1학점
, 1.5시간)
원격강의
2022-2학기
인물로읽는한국사
학수번호 1058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포555)
,
수 5~5
(포555)
인문학으로세상읽기
학수번호 10956 분반 01
학년 (
1학점
, 1.5시간)
원격강의
한국의문화유산역사여행
학수번호 11366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
수 4~4
원격강의
2022-1학기
인물로읽는한국사
학수번호 1058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
수 5~5
한국의문화유산역사여행
학수번호 11366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
수 4~4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