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철(崔鐘哲) 교수
미술사학과[대학원]
/미디어예술인문학협동과정
미국 플로리다 대학(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에서 현대 미술 / 사진 디지털 미디어에 관한 논문으로 미술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플로리다 대학, 남 플로리다 대학, 일본 미야자키 국제대학에서 강의했으며, 한국미학예술학회, 현대미술학회, 예술과 미디어 학회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사진 윤리학, 매체 이론, 이미지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국내외에 발표했다. 매체 이론과 디지털 사진에 관한 저술을 준비 중이다.
미술사학과장/미술사학연계전공주임교수
인문관 405호
02-3277-3548
면담 가능시간
화 13:00 - 14:00 수 14:30 - 15:30
연구실적
‘증발 시대’의 예술: 데미안 허스트의 <통화> 프로젝트
현대미술학 논문집, 2024, v.28 no.1, 111-132
“매체는 기억이다”: 로절린드 크라우스의 매체론에서 기억의 작용
현대미술사연구, 2024, v.0 no.55, 37-54
현대미술의 병원(病原)적 매체: 장-뤽 낭시 그리고 포스트 코로나 공동체
미학예술학연구, 2023, v.69, 54-80
'원환(圓環)’의 붕괴 그리고 폐허 위에 모여 살기 - 사와라기 노이의 비평을 통해 본 일본 현대 미술
예술과 미디어, 2022, v.21 no.1, 97-113
‘예술의 종말’ 그리고 ‘종말의 예술’: 아서 단토의 《9/11의 예술》전시에 대한 소고
미술이론과 현장, 2022, no.33, 63-84
디지털 사진의 ‘작은 역사’: 포스트 사진 비평을 위한 역사적 기준들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2021, no.55, 117-136
포스트 진실 시대의 예술: 동시대 예술의 이율배반적 조건들
미학예술학연구, 2021, v.63, 198-221
로잘린드 크라우스 포스트 미디엄 이론의 이중성에 관한 변증적 고찰
미학예술학연구, 2016, v.46, 211-263
홍성담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그 불편함의 미학적 정당성: 바흐친의 ‘카니발(Carnival)’ 이론을 중심으로
현대미술학 논문집, 2016, v.20 no.2, 149-200
<실재의 귀환> 이후: 실재를 향한 열망, 상상계의 복권, 재난의 시대에 이미지의 심리적 위상에 대한 고찰
현대미술학 논문집, 2015, v.19 no.1, 321-391
‘재난의 재현’이 ‘재현의 재난’이 될 때: 재현불가능성의 문화정치학
미술사학보, 2014, v.0 no.42, 66-94
죽음과 혐오의 사진, 실재의 징후, 그리고 사진의 정신분석학적 계기들: 안드레 세라노의 <시체 공시소(The Morgue)>를 중심으로
현대미술학 논문집, 2014, v.18 no.2, 95-143
후기 매체 시대의 비평적 담론들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2014, v.0 no.41, 181-209
[학술지논문] ‘증발 시대’의 예술: 데미안 허스트의 <통화> 프로젝트
현대미술학 논문집, 2024, v.28
no.1
, 111-132
KCI
[학술지논문] “매체는 기억이다”: 로절린드 크라우스의 매체론에서 기억의 작용
현대미술사연구, 2024, v.0
no.55
, 37-54
KCI
[학술지논문] 미술을 공격하는 미술 – 동시대 기후 예술에 대한 행동주의의 교훈
미술사학보, 2024, v.00
no.63
, 81-113
KCI
[학술지논문] 현대미술의 병원(病原)적 매체: 장-뤽 낭시 그리고 포스트 코로나 공동체
미학예술학연구, 2023, v.69
no.0
, 54-80
KCI
[학술지논문] '원환(圓環)’의 붕괴 그리고 폐허 위에 모여 살기 - 사와라기 노이의 비평을 통해 본 일본 현대 미술
예술과 미디어, 2022, v.21
no.1
, 97-113
KCI
[학술지논문] ‘예술의 종말’ 그리고 ‘종말의 예술’: 아서 단토의 《9/11의 예술》전시에 대한 소고
미술이론과 현장, 2022, v.0
no.33
, 63-84
KCI
[학술지논문] 디지털 사진의 ‘작은 역사’: 포스트 사진 비평을 위한 역사적 기준들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2021, v.0
no.55
, 117-136
KCI
[학술지논문] 포스트 진실 시대의 예술: 동시대 예술의 이율배반적 조건들
미학예술학연구, 2021, v.63
no.1
, 198-221
KCI
[학술지논문] ‘나는 살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다시 살 수 있다’: 만년의 양식, 포스트 세월호 시대의 예술
미술사학보, 2020, v.1
no.54
, 223-241
KCI
[학술지논문] ‘예농(藝農)융합’을 위한 밑그림, 그리고 몇 가지 실례들
한국농공학회논문집, 2019, v.61
no.2
, 2-10
KCI
[학술지논문] 불멸의 사랑, 미디어의 ‘확장된 영역’을 위하여
미학예술학연구, 2019, v.57
no.1
, 215-245
KCI
[학술지논문] Photo-graphy, “The Shadow In The Cave,” Its Pain and Love: The ethics of photography
Photographies, 2018, v.11
no.1
, 95-111
Scopus
[학술지논문] Reinventing the archive in the age of digital reproduction: Walid Raad’s the Atlas Group
DIGITAL CREATIVITY, 2018, v.1
no.1
, 1-30
AHCI
[학술지논문] “걱정을 멈추고 폭탄을 사랑하기” : 포스트 미디엄 이론을 통해 본 디지털 이후의 미디어 아트
미학예술학연구, 2018, v.53
no.1
, 75-116
KCI
[학술지논문] 세월호의 귀환, 그 이미지가 원하는 것: 미첼의 이미지론을 중심으로
미학예술학연구, 2018, v.55
no.1
, 3-38
KCI
[학술지논문] Park Chan-kyong’s Asian Gothic as ‘the Most Sublime Hysteria’ in its Return
THIRD TEXT, 2017, v.30
no.5-6
, 456-473
AHCI
[학술지논문] ‘포스트 다큐멘터리’ : 예술과 정치 사이에서
미학예술학연구, 2017, v.51
no.1
, 65-94
KCI
[학술지논문] Entre art et politique / Between Art and Politics
Artpress , 2016, v.438
no.1
, 40-43
[학술지논문] 로잘린드 크라우스 포스트 미디엄 이론의 이중성에 관한 변증적 고찰
미학예술학연구, 2016, v.46
no.1
, 211-263
KCI
[학술지논문] 홍성담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그 불편함의 미학적 정당성: 바흐친의 ‘카니발(Carnival)’ 이론을 중심으로
현대미술학 논문집, 2016, v.20
no.2
, 149-200
KCI
[학술지논문] <실재의 귀환> 이후: 실재를 향한 열망, 상상계의 복권, 재난의 시대에 이미지의 심리적 위상에 대한 고찰
현대미술학 논문집, 2015, v.19
no.1
, 321-391
KCI
[학술지논문] ‘재난의 재현’이 ‘재현의 재난’이 될 때: 재현불가능성의 문화정치학
미술사학보, 2014, v.42
no.42
, 66-94
KCI
[학술지논문] 죽음과 혐오의 사진, 실재의 징후, 그리고 사진의 정신분석학적 계기들: 안드레 세라노의 <시체 공시소(The Morgue)>를 중심으로
현대미술학 논문집, 2014, v.18
no.2
, 95-143
KCI
[학술지논문] 후기 매체 시대의 비평적 담론들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2014, v.41
no.41
, 181-209
KCI
[학술지논문] 후기 사진 시대, 사진 예술의 향방
예술과 미디어, 2014, v.13
no.4
, 85-114
[저역서] 로절린드 크라우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24, 124
[저역서] 재난의 예술
그린비, 2024, 184
[저역서] 아이 웨이웨이: 인간미래
국립현대미술관, 2022, 215
[저역서] 한국현대미술작가조명IV 이형구
부산시립미술관, 2022, 249
[저역서] 낯선 전쟁
국립현대미술관, 2020, 240
[학술발표] 미술을 공격하는 미술: 기후 행동주의의 파국적 표현에 관한 고찰
미술사학연구회 2024 추계학술대회 <기후변화 시대의 시각 예술과 기후행동>, 대한민국, 2024-09-21
<기후변화 시대의 시각 예술과 기후행동> 발표집 , 2024
[학술발표] '예술의 종말' 그리고 '종말의 예술': 아서 단토의 <9/11과 예술> 전시에 대한 소고
제 7회 미술사학 대회 <재난 극복과 미술사>, 대한민국, 2021-11-13
제7회 미술사학대회 발표집 , 2021
[학술발표] ‘원환(圓環)’의 붕괴 그리고 폐허 위에 모여 살기: 사와라기 노이의 비평을 중심으로 본 일본 현대 미술
아시아 현대 미술 위기인가 기회인가?, 대한민국, 2021-12-11
예술과 미디어 학회 2021 하반기 학술대회 발표집, 2021
[번역] 언더 블루 컵 - 포스트미디엄 시대의 예술
현실문화연구, 2023
강의
2025-1학기
현대미술사
학수번호 1016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캠)
,
금 6~6
(146)
현대미술사특별연구Ⅰ
학수번호 G1429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학512)
영어강의
2024-2학기
미술비평론
학수번호 G1426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3~4
(학512)
영어강의
전후미국모더니즘
학수번호 G1432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6
(학512)
현대미술과미술비평교육
학수번호 FA25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포357)
2024-1학기
현대미술사
학수번호 1016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캠)
,
금 6~6
(146)
포스트모던미술연구
학수번호 G18616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5~6
(학512)
영어강의
현대미술사교육
학수번호 FA15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학204)
2023-2학기
사진사
학수번호 G1429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학508)
영어강의
미술사방법론
학수번호 G1429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5~6
(인204)
현대미술과미술비평교육
학수번호 FA25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학202)
강의실변경
2023-1학기
현대미술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016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7~7
(캠)
,
수 6~6
(146)
전후현대미술I
학수번호 G1432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5
(인204)
영어강의
현대미술사교육
학수번호 FA15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교)
2022-2학기
미술비평론
학수번호 G1426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4
(인204)
영어강의
현대미술세미나I
학수번호 G1432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인204)
현대미술과미술비평교육
학수번호 FA25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캠)
2022-1학기
현대미술사
학수번호 1016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
수 5~5
전후현대미술I
학수번호 G1432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5~6
(인204)
영어강의
현대미술사교육
학수번호 FA15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캠)
학력
University of Florida
Ph.D.(미술사 )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