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은진 교수는 영어영문학부 소속 교수로,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학, 석사, 미국 Stanford University의 Department of Linguistics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언어 간의 음성 차이, 이중 언어 화자의 음성 체계, 음성 변이형의 사회 음성학적인 해석, 세계어의 관점에서 한국어 음성 체계의 일반화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Journal of Phonetics>, <언어>, <영어학>, <언어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음성과학>, <말소리>,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등의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고, 단독 저서 <외국어 음성 체계>와 2권의 공저가 있다.
Effects of base token for stimuli manipulation on the perception of Korean stops among native and non-native listeners말소리와 음성과학, 2020, v.12 no.1, 43-50
Effects of gender on the use of voice onset time and fundamental frequency cues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stopsLinguistic Research, 2019, v.36 no.1, 67-89
Spectral patterns of the American English diphthong /aI/ as a function of coda voicing produced by native Korean speakersLinguistic Research, 2018, v.35 no.1, 179-201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and English stops by bilinguals with extensive experience residing in the U.S.: Individual patterns말소리와 음성과학, 2017, v.9 no.3, 33~40
[학술지논문] Investigating ChatGPT’s phonology problem-solving abilities through reasoning with varying custom instructions
Linguistic Research, 2025, v.42
no.1
, 53-93
Scopus
[학술지논문] 인공지능 언어 모델들의 음운론 형태론 문제 추론 능력 비교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25, v.31
no.1
, 49-90
KCI
[학술지논문] Discrimination and perceptual assimilation of French vowels by native Korean listeners
언어과학연구, 2024, v.110
no.110
, 165-187
KCI
[학술지논문] ChatGPT로 음운론 시험 문제 풀기: 특성, 오류, 추론 능력 분석
언어와 정보, 2023, v.27
no.2
, 73-115
KCI
[학술지논문] Perceptual assimilation of French oral vowels in consonantal contexts by naïve Korean listeners
Linguistic Research, 2023, v.40
no.1
, 93-118
Scopus
[학술지논문] 개별 학습자 단계에서 영어 모음 [i]-[ɪ] 음향 신호 사용의 지각-조음 관계
언어학연구, 2022, v.27
no.1
, 145-165
KCI
[학술지논문] Perception-production relation in the cue use patterns of Korean stops by native Chinese speakers*
Linguistic Research, 2021, v.38
no.SpecialEdition
, 77-100
Scopus
[학술지논문] 지각 훈련을 통한 한국어 폐쇄음 음향 신호 가중치의 L2 학습
말소리와 음성과학, 2021, v.13
no.4
, 9-21
KCI
[학술지논문] Effects of base token for stimuli manipulation on the perception of Korean stops among native and non-native listeners
말소리와 음성과학, 2020, v.12
no.1
, 43-50
KCI
[학술지논문] 영어 무성음 앞 모음의 과잉조음 현상: 모국어 화자와 이중언어 화자 값
언어연구, 2020, v.36
no.3
, 329-347
KCI
[학술지논문] Effects of gender on the use of voice onset time and fundamental frequency cues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stops
Linguistic Research, 2019, v.36
no.1
, 67-89
Scopus
[학술지논문] Spectral patterns of the American English diphthong /aI/ as a function of coda voicing produced by native Korean speakers
Linguistic Research, 2018, v.35
no.1
, 179-201
Scopus
[학술지논문] The use of a voice onset time cue in the perception of Seoul Korean stops as a function of listener gender
언어, 2018, v.43
no.4
, 761-780
KCI
[학술지논문]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and English stops by bilinguals with extensive experience residing in the U.S.: Individual patterns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7, v.9
no.3
, 33-40
KCI
[학술지논문]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미국 영어 치경 탄설음 조음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6, v.8
no.3
, 21-29
KCI
[학술지논문] Dynamic spectral patterns of American English front monophthong vowels produced by Korean-English bilingual speakers and Korean late learners of English
언어연구, 2013, v.30
no.2
, 293-312
KCI
[학술지논문] 미국 영어 모음 [eɪ]와 [oʊ]의 동적 전이 학습: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구사자와 한국인 영어 학습자 간 비교
언어연구, 2013, v.29
no.2
, 323-343
KCI
[학술지논문] 미국 영어 중후설 단모음의 동적 전이 학습
영어학, 2013, v.13
no.3
, 755-778
KCI
[학술지논문] 한국어 전설 모음의 포먼트 전이 형태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3, v.5
no.4
, 195-200
KCI
[학술지논문] 모음 공간의 크기 및 모음 변화에 대한 화자 성별의 효과: 한국어의 경우
언어연구, 2012, v.28
no.3
, 531-553
[학술지논문] 영어의 유무성 폐쇄음 앞 모음 길이 차이에 대한 몇 가지 문제들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2, v.4
no.3
, 85-92
KCI
[학술지논문] The Mid and Low Vowel Systems of Korean-English Bilingual Speakers
언어, 2011, v.36
no.3
, 635-657
[학술지논문] Speaker Gender and the Degree of Coarticulation
언어, 2010, v.35
no.3
, 743-766
[학술지논문] The Coronal Stop Places of Early Korean-English Bilingual Speakers
언어, 2010, v.35
no.1
, 155-181
[학술지논문] 언어 경험과 원형 저장 모델
곡정 김영석 선생 정년 기념 영어학 논문집, 2010, 457-479
[학술지논문] The High Vowel Systems of Korean-English Bilingual Speakers
영어학, 2009, v.9
no.4
, 633-661
[학술지논문] 발화 속도에 따른 한국어 폐쇄음의 VOT 값 변화
말소리와 음성과학, 2009, v.1
no.3
, 39-48
[학술지논문] Coarticulation in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French: An acoustic study
JOURNAL OF PHONETICS, 2008, v.36
no.2
, 361-384
AHCI
[학술지논문] VOT of English voiced stops by place of articulation in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universal phonetic component
영어학, 2008, v.8
no.1
, 75-92
[학술지논문] V-to-C Coarticulation Effects in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Russian: A Locus-equation Analysis
말소리, 2007, v.1
no.63
, 1-21
[학술지논문] 음성적 모음 축소 현상에 영어 자음의 유무성 환경이 미치는 효과
음성과학, 2007, v.14
no.4
, 81-98
[학술지논문] Differences in Vowel Duration Due to the Underlying Voicing of the Following Coda Stop in Russian and English: Native and Non-native Values
음성과학, 2006, v.13
no.3
, 19-33
[학술지논문] 미국 영어 모음 체계의 몇 가지 지역 방언적 차이
음성과학, 2006, v.13
no.4
, 69-87
[학술지논문] Absolute and Proportional Undershoot Values as Indices of Coarticulation
음성과학, 2005, v.12
no.1
, 65-74
[학술지논문] The contextualized windows
영어학연구, 2003, v.8
, 111-121
[학술지논문] 설단폐쇄음의 목표 F2 값: 한국어, 영어, 불어의 비교
음성과학, 2003, v.10
no.4
, 81-92
[학술지논문] Fronting of back vowels in coronal contexts: a cross- language study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02, v.8
no.2
, 239-254
[학술지논문] 언어 개별적 음성 문법
영어학연구, 2002, v.7
, 53-72
[학술지논문] 자음의 조음 위치와 인접 모음 길이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영어와 한국어의 경우
음성과학, 2002, v.9
no.3
, 201-210
[학술지논문] Explaining phonetic variation of consonants in vocalic context
음성과학, 2001, v.8
no.3
, 31-41
[학술지논문] Non-native locus equations and the unit of phonetic acquisition
영어학, 2001, v.1
no.3
, 497-508
[저역서] 외국어 음성 체계
한국문화사, 2015, 409
[저역서] 한영일 음운대비
, 2004, 306
[저역서] 영어학의 이해
, 2003, 399
[학술발표] Do perceptual assimilation patterns predict the discrimination of foreign-language sounds?2024 언어과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대한민국, 2024-02-22
2024 언어과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언어학과 언어교육의 미래, 2024
[학술발표] 지각 훈련을 통한 한국어 폐쇄음 음향 신호 가중치의 L2 학습2021 한국음성학회 가을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1-11-19
2021 한국음성학회 가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2021
[학술발표] Knowledge of word stress patterns in English in Korean learners: The case of English trisyllabic nounsThe 178th Meeting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미국, San Diego, 2019-12-03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019
[학술발표] The effect of base token selection for stimuli manipulation on the perception of lenis and aspirated stops in Seoul Korean2019 한국음성학회 봄 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19-06-01
2019 한국음성학회 봄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