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숙향 교수는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부교수로 미국 캔자스대학에서 특수교육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전공은 지적장애이며 특수교육 현장의 요구를 고려하여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통합교육, 전환교육 관련 연구를 주로 진행하고 있다. 주요 경력으로는 한국육영학교 및 중앙기독초등학교에서 특수교사로 근무하였으며, Beach Center on Disability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특수교육과 학과장을 역임했으며, SSCI급 및 기타 국제학술지, 국내 학술지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역서로는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증진 전략』, 『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과 전환서비스』, 『질적연구 시작부터 완성까지』 등이 있다.
연구실적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경제⋅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v.24 no.15, 43-58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과 문제해결력 및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024, v.32 no.3, 63-92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and teachers regarding health self-advocacy program with school-home connection: a qualitative study
FRONTIERS IN PSYCHIATRY, 2023, v.14, 1273324
강원도 통합학급 및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인식 및 지원 요구
열린교육연구, 2023, v.31 no.6, 189-218
발달장애 학생 대상 국내외 금융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고찰
특수교육, 2023, v.22 no.3, 89-118
자폐범주성장애 초등학생의 또래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동향 및 과제 고찰
특수교육논총, 2023, v.39 no.3, 107-134
장애아동 양육시설에서 자란 지적장애 여성의 독립, 결혼, 그리고 출산에 대한 생애사 연구
발달장애연구, 2023, v.27 no.1, 243-273
전환기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자기결정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구
특수교육학연구, 2023, v.58 no.3, 133-163
태블릿을 활용한 자기조절전략 개발(SRSD) 기반의 이야기 쓰기 교수가 경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 수행률과 이야기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2023, v.25 no.1, 53-77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와 수업참여 행동 향상을 위한 국내외 중재 연구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2023, v.16 no.4, 111-147
통합교육환경의 장애 유아를 위한 일과 및 활동 내에서의 삽입교수 관련 국내외 중재 연구 동향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2023, v.23 no.3, 195-224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이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생태감수성 및 생태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논총, 2023, v.39 no.1, 89-118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동향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2023, v.16 no.3, 133-159
협력교수 기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 및 공동체 의식과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023, v.39 no.1, 385-414
가정과 연계한 놀이중심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교육이 주 양육자의 반응적 상호작용 행동과 발달지체 유아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22, v.22 no.1, 63-90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학생과 성인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2022, v.56 no.4, 189-221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논총, 2022, v.38 no.3, 63-91
발달장애 성인, 부모, 관리자, 특수교사가 경험한 발달장애 성인의 취업 현실과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요구 고찰
장애와 고용, 2022, v.32 no.3, 171-202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2022, v.40 no.1, 147-173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을 위한 성인기 전환계획 관련 국외 연구 동향 및 과제
특수아동교육연구, 2022, v.24 no.1, 159-185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장애학생의 진로계획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022, v.38 no.3, 353-376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행능력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2022, v.21 no.3, 83-113
학교-가정연계 건강 자기옹호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의 건강관리 및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2022, v.57 no.3, 109-143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통합교육연구, 2022, v.17 no.2, 81-109
협력교수를 통한 예절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예절수행과 친사회성 및 학급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논총, 2022, v.38 no.1, 81-110
발달장애 학생의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열린교육연구, 2021, v.29 no.6, 129-158
발달장애인의 건강 관련 국내 연구동향 및 향후 연구과제 고찰
특수교육, 2021, v.20 no.2, 31-61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과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논총, 2021, v.37 no.1, 117-143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식행동에 대한 특수교사, 영양교사, 전문의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자폐성장애연구, 2021, v.21 no.1, 57-93
자폐성장애 아동의 식행동 중재에 대한 문헌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021, v.23 no.1, 137-161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또래 매개 중재 문헌 연구
특수교육연구, 2021, v.28 no.3, 151-181
통합교육 환경의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또래 중재 연구의 국내외 연구 동향 고찰
통합교육연구, 2021, v.16 no.2, 1-27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v.21 no.23, 439-459
특수학교 특수교사와 관리자의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 고찰
특수교육논총, 2021, v.37 no.3, 31-62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자기결정력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021, v.37 no.1, 209-234
A review of instruments measuring special educators' competencies
British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20 , 422-451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지적장애연구, 2020, v.22 no.3, 181-220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및 목표달성과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2020, v.54 no.4, 193-222
가족협력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전환기 중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및 전환목표달성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2020, v.30 no.2, 117-148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년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2020, v.19 no.2, 101-131
교육청이 운영한 긍정적 행동지원 개별지원팀 구성원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2020, v.55 no.2, 1-29
발달장애 성인의 가족이 참여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지적장애연구, 2020, v.22 no.4, 27-61
예비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한 특수교육 교직 과목 관련 연구 동향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020, v.37 no.4, 19-45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나이에 따른 식행동 및 식품 기호도와학부모의 영양교육 요구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20, v.35 no.3, 241-255
전환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 고등학생 가족의 전환준비 및 가족역량강화 과정에서의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2020, v.13 no.1, 41-72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의 인성역량,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20, v.20 no.1, 51-80
학교폭력 예방 UCC 제작 동아리 활동이 중학교 비장애학생의 학교폭력태도와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020, v.36 no.3, 25-48
Effects of an Interview Article Writing Intervention Using Class-wide SNS on Writing Abilities and Self-Esteem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eers’ Attitud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2019, v.34 no.1, 27-40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장애학생 부모와 교사의 경험 및 지원요구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2019, v.54 no.1, 25-60
바리스타 교육을 활용한 장애학생주도 또래교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재활연구, 2019, v.29 no.1, 93-118
발달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기술 중재의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지적장애연구, 2019, v.21 no.3, 155-182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사회학습 흥미도, 장애학생 수용태도, 사회적 지위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019, v.32 no.3, 297-326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학교생활 안전교육이 특수학교 초등 발달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안전지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2019, v.19 no.2, 59-84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특성 관련 문헌연구
자폐성장애연구, 2019, v.19 no.3, 111-132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부모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 진로지도효능감,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019, v.35 no.3, 69-96
지체 및 시각·청각 장애인들의 의료서비스 이용 및 자기결정 경험을 통한 의료서비스 개선 및 지원요구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2019, v.62 no.4, 67~101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협력교수 중재 연구 동향 고찰
통합교육연구, 2019, v.14 no.2, 1~26
학생과 가족을 위한 전환지원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2019, v.29 no.2, 135-163
Pre-service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about collaboration with general educators in Korea: Implications for personnel preparation programs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2018, v.15 no.1, 43-58
동화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과 친사회성 및 장애학생의 규칙 지키기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2018, v.20 no.1, 1~24
발달장애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및 자기결정 경험을 통한 의료서비스 개선 및 지원요구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2018, v.61 no.2, 45~78
장애 이해를 위한 자기옹호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년의 장애정체성 및 장애개방 기술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2018, v.19 no.3, 87~114
장애청소년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훈육 관련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청소년의 부모를 위한 행동지원 지침서 개발의 기초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018, v.34 no.1, 257~281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향후 연구과제 고찰
특수교육학연구, 2018, v.53 no.2, 123~157
지적장애 청년들의 장애 이해를 위한 자기옹호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2018, v.11 no.3, 135~162
가정과 연계한 자기일과계획하기 교수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일과계획하기 및 자기주도행동 수행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2017, v.19 no.1, 127~153
유아특수교사 임용시험 준비 및 응시 경험을 통한 교원양성과정과 임용시험의 개선 방안 고찰
유아특수교육연구, 2017, v.17 no.3, 33~64
인천 지역 중학교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현황 및 참여지원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인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2017, v.10 no.2, 59~87
자폐 범주성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동향 및 중재 특성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7, v.17 no.2, 623-636
장애와 빈곤의 이중위험을 경험하는 장애인당사자 및 가족을 위한 지원방안 고찰
특수교육, 2017, v.16 no.4, 113~142
장애인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및 향후 과제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2017, v.60 no.2, 1~31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초․중등학교 통합교육 현실 및 지원요구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2017, v.52 no.2, 45~79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한초・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역량과 지원요구 고찰
통합교육연구, 2017, v.12 no.2, 21~43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태도, 자기결정력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2017, v.27 no.3, 57~87
An inquiry into impacts of policies promoting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2016, v.60 no.42559.0, 795-795
Analysis on quality and outcomes of Korean transition education programmes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of NASET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2016, v.60 no.42559.0, 788-788
Educat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Handbook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linical Psychology Practice: Second Edition, 2016, April 2016, 497-533
Effects of a collaboration-based instruction model for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2016, v.60 no.42559.0, 795-795
The effects of sermons and curriculum activities with graphic organisers on teacher efficacy and understanding of bible knowledge, and participation in worship by person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2016, v.60 no.42559.0, 792-792
The effects of tablet-based SDLMI intervention on academic engagement and problem behaviou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2016, v.60 no.42559.0, 821-821
국내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및 성과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016, v.18 no.1, 145-169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특수교사들의 직업수업 운영에 미치는 영향 및 지원요구 고찰
장애와 고용, 2016, v.26 no.1, 67-96
인터넷 기반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이비장애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 및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016, v.29 no.4, 107
장애 학생 및 성인을 위한 현장중심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및 구성요소 고찰
장애와 고용, 2016, v.26 no.4, 95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연구 동향 및 중재방법 고찰
특수교육, 2016, v.15 no.4, 111
Effect of Instruction with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Meta-Analysis
EDUCATION AND TRAINING IN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15, v.50 no.2, 237-247
Perceptions of Korean pre-service special educators regarding teaching competenc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5, v.30 no.2, 107-118
갈등해결중심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갈등해결전략 사용과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 및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2015, v.17 no.1, 319-348
장애학생의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전환 지원 및 지원 요구 고찰
특수교육, 2015, v.14 no.3, 71-107
태블릿 PC 기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중재가 초등학교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2015, v.17 no.3, 151-178
Cognitive impairment and intellectual disability
Advances in Special Education, 2014, v.27, 55-89
개인 및 학급차원의 자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적용 효과 및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지원 요구 고찰
특수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2호, 241-274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특수학급고등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와 직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2014, 제15권 4호, 229-263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2014, 제16권 3호, 139-163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 및 지원 체계 수립 요구: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자폐성장애연구, 2014, 제14권 3호, 131-169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특성 및 교수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특수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3호, 195-217
장애인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인 특수교육 전공자의 성장과정에서의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지적장애연구, 2014, 제16권 2호, 253-283
중등 통합교육 현장의 장애학생을 위한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특수교육, 2014, 제13권 3호, 173-204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생활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자폐성장애연구, 2014, 제14권 2호, 65-92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특수아동교육연구, 2014, 제16권 1호, 189-209
강의
2025-1학기
지적장애학생교육
학수번호 21831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수 4~5
(교)
지적장애고급세미나
학수번호 G1340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교)
성경적학교교육의이해
학수번호 ED22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
2024-2학기
중등특수교육
학수번호 35282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교)
통합교육세미나
학수번호 G1314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6~7
(캠)
강의실변경
특수교육동향및과제
학수번호 G1885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4~5
(교)
강의실변경 신설: 사범대학행정실-922(2024. 7. 12.)
교육과 선교
학수번호 ED226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
특수아통합교육의실제
학수번호 SP37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A414)
2024-1학기
지적장애학생교육
학수번호 21831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수 2~3
(교)
지적장애학생교육연구
학수번호 G1337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7~8
(교A402)
교과목명, 학기 변경: 2024 교과과정 정비
성경적학교교육의이해
학수번호 ED22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
2023-2학기
중등특수교육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5282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목 6~7
(교)
교육봉사의이론과실제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937 분반 04
4학년 (
2학점
특수교육4
특수교육질적연구방법론
학수번호 G1335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7~8
(교A402)
지적장애인교육의실제
학수번호 SP23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교)
2023-1학기
지적장애학생교육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21831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3
(교)
교육실습(특수학교)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5529 분반 01
4학년 (
2학점
통합교육연구
학수번호 G1323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교)
성경적학교교육의이해
학수번호 ED22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
학력
The University of Kansas
Ph.D.(Special education)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