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한국 회화사 및 근대미술사를 지도하고 있다. 동 대학에서 한국 회화사를 전공하여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사로 근무했다. 주요 연구물로는「한국 근대기 미술 유학을 통한 ‘동양화’의 추구: 채색화단을 중심으로」, 「한국 근대 여성의 서화교육과 작가활동 연구」, 「1930년대 서양화단의 성장과 학생화가들」, 「남성적 외금강과 여성적 내금강― 근대기 금강산의 젠더 표상」,『명화의 탄생 대가의 발견: 한국회화사를 돌아보다』(공저) 등이 있으며, 19세기 말~20세기 전반 한국 회화사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전문위원(동산문화유산 분과)을 맡고 있으며,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동악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회, 헤리티지:역사와 과학(문화재청), 고궁문화(국립고궁박물관)의 편집위원,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연구이사, 동악미술사학회 섭외이사로 활동중이다.
대학원부원장/대학원IR센터장/대학원생연구지원센터장
인문관 410호
02-3277-3473
면담 가능시간
월 15:30~17:00, 수 14:00~17:00
연구관심분야
연구실적
生竹과 畵竹: 일제강점기 죽림조성과海岡 金圭鎭(1868~1933)의 묵죽화
대동문화연구, 2024, v.0 no.126, 135-162
鐘鼎圖 병풍 연구 : 종정 도안 및 金石圖說의 활용을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 2023, v.0 no.33, 31-55
한국 근대기 ‘나체화’의 성취와 한계― 제작, 전시, 검열의 구조적 고찰
대동문화연구, 2023, v.0 no.123, 7-41
한국미술사 연구의 뉴노멀: 방법론 모색과 탈경계
역사학보, 2023, v.0 no.259, 501-549
근대기 공주의 서화계 - 서화 창작과 수집, 그리고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2022, no.44, 39-64
남성적 외금강과 여성적 내금강― 근대기 금강산의 젠더 표상
대동문화연구, 2022, v.0 no.118, 143-168
瓦塼을 그리다― 한국 근현대 예술과 瓦塼의 에이전시(Agency)
대동문화연구, 2021, no.115, 189-218
오원 장승업― 작가적 위상 정립과 평가의 궤적
대동문화연구, 2020, v.109, 97-122
재조선 일본인 화가 마츠다 레이코(松田黎光, 1898~1941)와 ‘조선풍속화’
미술사연구, 2020, no.39, 295-320
1920년대 미술교육과 근대화단의 재편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2019, v.38 no.38, 87-108
‘조선후기 회화’의 연구사 -풍속화의 재발견과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한국문화연구, 2019, v.37 no.37, 133-160
근대기 재조선 일본인 여성 화가 연구
美術史論壇, 2019, v.448 no.48, 157-178
해강 김규진 묵죽화와 『해강죽보(海岡竹譜)』 연구
미술사학보, 2019, v.52 no.52, 175-194
이용우(李用雨, 1902-1952)의 ‘묵로’시대 회화 연구 - 인물화와 화조화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2018, no.36, 7~28
채용신 초상화의 도상학 -병풍배설형 초상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018, v.35 no.35, 119~145
1930년대 서양화단의 성장과 학생화가들 - 도화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2016, v.0 no.31, 33-57
미술사 서적 대중화의 명(明)과 암(暗): 어린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서술을 중심으로
미술사학보, 2016, v.0 no.47, 125-145
한국 근대기 미술 유학을 통한 ‘동양화’의 추구 ― 채색화단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2014, v.0 no.27, 249-276
[학술지논문] 기억과 상상으로 떠나는 여행: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 소장 민화 《금강산도 10폭 병풍》연구
민화연구, 2025, v.13
no.13
, 123-143
[학술지논문] 화조영모화의 사실적 모색: 이영일(李英一, 1904~1983)의 수원 체제기 작품 활동 연구
수원미술연구, 2025, v.8
no.8
, 13-37
[학술지논문] 生竹과 畵竹: 일제강점기 죽림조성과海岡 金圭鎭(1868~1933)의 묵죽화
대동문화연구, 2024, v.126
no.126
, 135-162
KCI
[학술지논문] 근대기 화조영모화의 대표 작가, 李英一(1904-1983)의 생애 및 작품세계 연구
동악미술사학, 2024, v.36
no.36
, 83-108
KCI
[학술지논문] 鐘鼎圖 병풍 연구 : 종정 도안 및 金石圖說의 활용을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 2023, v.33
no.33
, 31-55
KCI
[학술지논문] 한국 근대기 ‘나체화’의 성취와 한계― 제작, 전시, 검열의 구조적 고찰
대동문화연구, 2023, v.123
no.123
, 7-41
KCI
[학술지논문] 한국미술사 연구의 뉴노멀: 방법론 모색과 탈경계
역사학보, 2023, v.259
no.259
, 501-549
KCI
[학술지논문] 근대기 공주의 서화계 - 서화 창작과 수집, 그리고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2022, v.44
no.44
, 39-64
KCI
[학술지논문] 남성적 외금강과 여성적 내금강― 근대기 금강산의 젠더 표상
대동문화연구, 2022, v.118
no.0
, 143-168
KCI
[학술지논문] 瓦塼을 그리다― 한국 근현대 예술과 瓦塼의 에이전시(Agency)
대동문화연구, 2021, v.115
no.0
, 189-218
KCI
[학술지논문] 韓国近代期美術留学と「東洋画」の模索―彩色画壇を中心に―
美術研究, 2020, v.0
no.429
, 475-498
[학술지논문] 오원 장승업― 작가적 위상 정립과 평가의 궤적
대동문화연구, 2020, v.109
no.0
, 97-122
KCI
[학술지논문] 재조선 일본인 화가 마츠다 레이코(松田黎光, 1898~1941)와 ‘조선풍속화’
미술사연구, 2020, v.39
no.39
, 295-320
KCI
[학술지논문] 한국 근대 수묵채색화 연구사: 최근 20년 연구의 궤적
인물미술사학, 2020, v.16
no.0
, 379-403
[학술지논문] 1920년대 미술교육과 근대화단의 재편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2019, v.38
no.38
, 87-108
KCI
[학술지논문] ‘조선후기 회화’의 연구사 -풍속화의 재발견과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한국문화연구, 2019, v.37
no.37
, 133-160
KCI
[학술지논문] 근대기 재조선 일본인 여성 화가 연구
美術史論壇, 2019, v.448
no.48
, 157-178
KCI
[학술지논문] 해강 김규진 묵죽화와 『해강죽보(海岡竹譜)』 연구
미술사학보, 2019, v.52
no.52
, 175-194
KCI
[학술지논문] 선망과 조롱, 신여성의 험난한 여정
내일을 여는 역사, 2018, v.70
no.70
, 204-215
[학술지논문] 이용우(李用雨, 1902-1952)의 ‘묵로’시대 회화 연구 - 인물화와 화조화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2018, v.0
no.36
, 7-28
KCI
[학술지논문] 채용신 초상화의 도상학 -병풍배설형 초상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018, v.35
no.0
, 119-145
KCI
[학술지논문] 근대 풍속화의 새로운 국면 -고전의 복제와 복고적 재현-
서강인문논총, 2017, v.49
no.49
, 85-111
KCI
[학술지논문] 서화의 교양적 수련과 ‘묵회(墨會)’ 문화∶김용진과 금란묵회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017, v.32
no.32
, 39-62
KCI
[학술지논문] 심전 안중식 산수화의 특질- 사계산수병(四季山水屛)을 중심으로
인물미술사학, 2017, v.13
no.13
, 9-37
[저역서] 촉각의 미술관 - 동아시아 시각예술을 새롭게 느끼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4, 372
[저역서] 동아시아 미술, 젠더로 읽다
혜화1117, 2023, 456
[저역서] 석지 채용신 화조, 산수화
국립전주박물관, 2023, 275
[저역서] 예술의 주체 - 한국 회화사의 에이전시(agency)를 찾다
아트북스, 2022, 400
[학술발표] 상상으로 노닐기: 민화 <금강산도> 다시 보기
계명대학교 한국민화연구소 제 16회 학술세미나, 대한민국, 2024-11-15
계명대학교 한국민화연구소 제 16회 학술세미나 발표자료집, 2024
[학술발표] 생죽과 화죽: 일제강점기 죽림조성과 묵죽화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연구소 국내학술회의, 대한민국, 2024-01-10
생태, 환경, 동아시아 미술사, 2024
[학술발표] Mt. Kumgang and Gender: How Mt. Kumgang Came to Symbolize the Masculine and the Feminine during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The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in Europe 2023, 덴마크, 코펜하겐, 2023-06-23
31st AKSE Conference, 2023
[학술발표] 근대기 공주 전통화단 연구
청전 이상범 작고 50주년 기념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09-17
근현대기 공주 화단과 미술가, 2022
[학술발표] 한국 근대기 나체화: 모델, 화가, 관람자의 삼각관계
인문한국연구소 국내학술회의, 대한민국, 2022-12-16
촉각의 회화사: 매체, 물상, 신체 , 2022
[학술발표] 남성적 외금강과 여성적 내금강: 근대기 금강산의 젠더 표상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HK+)연구소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11-12
젠더하기+동아시아 미술사와 여성, 2021
[학술발표] 고대(古代)의 소환: 와전(瓦塼)을 그리다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HK+)연구소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11-07
예술의 주체-한국회화사에서 에이젼시 Agency를 찾다, 2020
[학술발표] 한국 근대 수묵채색화 연구사: 최근 20년 연구의 궤적
인물미술사학회 동계학술회, 대한민국, 2020-12-23
한국, 중국, 일본 근대미술연구사, 2020
[학술발표] 1920년대 근대화단의 재편과 미술교육
<근대서화, 봄 새벽을 깨우다> 기념학술대회, 대한민국, 2019-06-0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9
[학술발표] 근대 여성 서화·미술교육과 선각자들
제 10차 여성사박물관 포럼, 대한민국, 2019-08-30
한국 여성미술인 역사 다시보기, 2019
[학술발표] 장승업 흥행의 이유
명화의 발견 대가의 탄생: 한국회화사를 돌아보다, 대한민국, 2019-12-13
명화의 발견 대가의 탄생: 한국회화사를 돌아보다, 2019
[학술발표] 조선후기 회화의 연구사: '풍속화' 다시 보기
한국 근현대 학문의 설립과 '통설'의 탄생 Ⅱ, 대한민국, 2019-10-17
한국 근현대 학문의 설립과 '통설'의 탄생 Ⅱ, 2019
[학술발표] 해강 김규진의 작품세계와 서화교육
한국미술의 현재와 미래 Ⅲ(3), 대한민국, 2019-09-18
한국미술의 현재와 미래 Ⅲ(3), 2019
[서평] 이구열, 근대 한국화 연구의 실증적 토대
인물미술사학, 2022, v.17.18
, 149-156
강의
2025-1학기
한국미술의이해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015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학251)
,
수 5~5
(학251)
일본회화사
학수번호 G1779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5
(학655)
영어강의
한국미술사교육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FA15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학202)
2023-2학기
한국회화사연구I
학수번호 G1428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5
(인108)
영어강의
근대한국회화사연구
학수번호 G1431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3~4
(학509)
2023-1학기
한국미술의이해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015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정보)
,
금 4~4
(01)
일본회화사
학수번호 G1779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5
(인108)
영어강의
한국미술사교육
학수번호 FA15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캠)
2022-2학기
중국회화사I
학수번호 G1427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5
(인108)
영어강의
근대한국회화사연구
학수번호 G1431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4
(인108)
2022-1학기
한국미술의이해
학수번호 1015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
수 5~5
한국회화사연구I
학수번호 G1428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4~5
(인108)
영어강의
한국미술사교육
학수번호 FA15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포366)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