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적
-
고종대 경복궁 중건과 壽進寶酌銘 소라잔의 물질성
서울과 역사, 2024, v.0 no.116, 39-78
-
조선시대 국가의례용 술잔의 표상(表象) : 작(爵)
한국문화연구, 2024, v.46, 197-245
-
조선시대 종묘 오향대제용 제기(祭器)의 상호관계와 성격: 정전 제상과 준소상 제기를 중심으로
한국학, 2024, v.47 no.2, 75-130
-
조선시대 국가제사용 도자제기陶磁祭器의 종류와 성격
국학연구, 2023, v.0 no.51, 347-402
-
조선시대 吉禮·凶禮 공예품 연구의 현황과 과제
조선시대사학보, 2022, no.100, 411-458
-
조선시대 선잠제 제기의 구성과 의미-영조 정해년 왕비친림작헌례의 제기를 중심으로-
서울과 역사, 2022, v.0 no.112, 87-135
-
조선시대 왕실의례용 숟가락과 젓가락 종류와 사용양상
국학연구, 2022, v.0 no.49, 255-294
-
조선후기 국장(國葬)용 제기(祭器)의 조성과정과 성격 -정조(正祖) 국장관련 의궤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022, v.42, 117-161
-
조선후기 종묘 신실(神室)공간의 구성방식과 성격
한국학, 2021, v.44 no.2, 149-194
-
대한제국기 경운궁 선원전 禮器의 구성과 함의 - 『영정모사도감의궤』(1901) 도설 속 기명을 중심으로 -
미술사학연구, 2015, v.288 no.288, 121-154
강의
-
2025-1학기
-
동양미술의이해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 학수번호 1003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학251)
,
금 4~4
(학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