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남경 교수는 현대비평전공/국어국문학과 소속 교수로 최인훈 문학 연구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박사후연구원을 역임했다.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의 견지에서 이주를 주제로 한 문학을 연구했으며, 현재 현대비평의 젠더 정치와 여성적 플롯에 관심을 갖고 공부 중이다. 국어국문학회, 구보학회, 이화어문학회, 한국소설학회, 한국현대문학회 등 여러 학회 임원을 역임했으며, 「1960년대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 「현대비평의 수립, 혹은 통설의 탄생」, "The Posthuman and Transboundary Imagination in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A&HCI)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서로는 『최인훈의 자기 반영적 글쓰기』, 『탈경계 사유와 서사의 윤리-한국문학과 이주』(2018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외 여러 공저가 있다.
[학술지논문] The Posthuman and Transboundary Imagination in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Considering the Works of Pae Myonghun and Yun Ihyong
JOURNAL OF KOREAN STUDIES, 2018, v.23
no.2
, 325-345
[저역서]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 논문집-시민의 탄생, 사랑의 언어
민음사, 2021, 376
[저역서] 오디세우스의 항해
에피파니, 2018, 1007
[저역서] 최인훈
글누림출판사, 2013, 438
[저역서] 최인훈의 자기 반영적 글쓰기
혜안, 2012, 302
[학술발표] 사변적 페미니즘 SF와 포스트 감수성의 혁명-진정성의 주체에서 감각하는 존재자로대중서사학회 가을 정기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09-16
에코테크네 시대, 한국 SF의 기원과 전개, 2023, 117-128
[학술발표] 이어령 비평의 미학적 정치성-논쟁사의 맥락에서이화어문학회 여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07-12
시대를 선도한 지성, 이어령의 문학 톺아보기, 2022, 17-33
[학술발표] 현대비평의 수립, 혹은 통설의 탄생: 1959년 백철과 강신재의 논쟁을 중심으로한국문화연구원 개원60주년기념 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18-10-26
한국 근현대 학문의 성립과 '통설'의 탄생, 2018, 23-47
[학술발표] The Posthuman and Transboundary Imagination in Korean LiteratureIntersection of Science, Language, and Literature in Modern and Premodern Korea, 미국, 스탠포드, 2016-11-05
없음, 2016
[학술발표] 최인훈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회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15-07-31
최인훈 문학을 다시 읽다, 2015
[서평] '호모 데비토르'가 된 청춘의 초상2024 올해의 문제소설, 2024, 125-130
[서평] 진실을 말하는 삶은 아름답다문학과사회, 2024, v.0
no.147
, 417-422
[서평] 마흔셋, 진정한 성장을 모색하다2019 올해의 문제소설, 2019, 198-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