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형용 교수는 국어국문학전공/인문대학 소속 교수로 한국어 형태론을 전공하였다. 서울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단어의 구조 및 형성 원리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09년부터 어학전문학술지 <형태론>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50여편의 논문을 한국 연구재단 KCI급 국내학술지에 발표한 바 있다. 저서로는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태학사),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박이정) , 『한국어 형태론』(역락) 등이 있다.
연구실적
상하 관계 형태론: 이른바 ‘동의중복어’와 ‘모순어’ 형성을 중심으로
언어와 정보 사회, 2024, v.51, 123-157
신어 연구와 전문 용어:신어 연구의 범위 확대를 위한 시론
한국어학, 2024, v.103, 153-204
단어 형성의 관점에서 본 전문 용어 줄임말의 유형과 특성 -『우리말샘』의 전문 용어 줄임말을 대상으로-
형태론, 2023, v.25 no.1, 1-32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에 대하여
언어와 정보 사회, 2022, v.46, 27-68
국어사전과 학술 연구 그 간극의 극복을 위하여
한국사전학, 2022, no.40, 46-106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접사-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사인가-
한국어학, 2022, v.97, 1-63
품사 통용을 넘어 범주 통용을 제안하며
國語學, 2022, v.0 no.104, 119-155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어인가-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조사와 어미의 범주-
國語學, 2022, v.0 no.101, 319-382
두음 법칙 규정과 어종
언어와 정보 사회, 2021, v.43, 139-168
신어 형성에서 유추의 역할은 무엇인가 - 마티엘로(2017), Analogy in Word-formation을 중심으로 -
형태론, 2021, v.23 no.2, 171-215
한국어 형태론의 쟁점과 그 해결 방안의 모색 - ‘경계’에서 ‘전체’로
한말연구, 2021, no.61, 389-423
1910년대 품사 연구
한국어학, 2020, v.88, 61-111
‘이’, ‘그’, ‘저’ 계열의 단어 형성에 대하여
이화어문논집, 2020, no.51, 503-527
近代 語文 規範의 成立과 漢字 問題
어문연구(語文硏究), 2020, v.48 no.4, 5-51
계열 관계에서 본 『표준국어대사전』의 추가 표제어
한중인문학연구, 2020, no.68, 361-389
기초 어휘 선정을 위한 형태소 분석기의 오류 유형에 대하여
언어와 정보 사회, 2019, v.37, 219-257
미등재어의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이화어문논집, 2019, v.48, 211-234
의미 관계와 신어 형성
한국어 의미학, 2019, v.66, 35-74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한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개선 방안에 대하여
언어와 정보 사회, 2018, v.34 no.0, 363~396
구와 결합하는 접미사의 사전적 처리에 대하여
한국사전학, 2017, v.29, 162~190
단어 형성과 형태소
國語學, 2017, v.81, 351~392
명사와 접미사의 용법을 지니는 단위의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언어와 정보 사회, 2017, v.31, 311~340
현대 한국어 주격 조사 '이/가'의 교체는 보충법적 교체인가
형태론, 2017, v.19 no.1, 25~46
韓國語와 日本語의 副詞 統辭的 結合語에 대하여
어문연구(語文硏究), 2016, v.44 no.3, 67~97
구성족 개념에 따른 사이시옷의 실현과 비실현
國語學, 2016, no.80, 195
반의 관계 형태론
형태론, 2016, v.18 no.1, 52~75
韓․中․日 品詞 對照를 위한 品詞 分類 基準 設定
어문연구(語文硏究), 2015, v.43 no.2, 117-149
광고 속에 나타난 언어적 유추의 유형과 상관성
한중인문학연구, 2015, v.48, 233-261
문법에서 유추의 역할은 무엇인가- 블레빈스 외 편(2009), Analogy in Grammar를 중심으로
형태론, 2015, v.17 no.2, 285-335
학교 문법 교과서의 품사 분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어와 정보 사회, 2015, v.26, 507-548
형태론의 융합과 유형
국어국문학, 2015, v.170, 139-178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형태론-어휘장 형태론을 제안하며
형태론, 2014, 제16권 1호, 1-23
독서문법 내용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한국언어문화, 2014, 53호, 108-128
복합어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國語學, 2014, 70호, 85-115
안확(安廓)과 수사(數詞) -초판본 <조선문법(朝鮮文法)>(1917)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14, 44호, 231-254
[학술지논문] 상하 관계 형태론: 이른바 ‘동의중복어’와 ‘모순어’ 형성을 중심으로
언어와 정보 사회, 2024, v.51
no.0
, 123-157
KCI
[학술지논문] 신어 연구와 전문 용어:신어 연구의 범위 확대를 위한 시론
한국어학, 2024, v.103
no.0
, 153-204
KCI
[학술지논문] 언어 정책적 관점에서 본 신어 외래어
언어와 정보 사회, 2024, v.53
no.0
, 217-260
KCI
[학술지논문]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조사의 단어성
형태론, 2024, v.26
no.1
, 18-40
KCI
[학술지논문] '둘레길'인가 '둘렛길'인가
말과 글, 2022, v.0
no.170
, 6-10
[학술지논문]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에 대하여
언어와 정보 사회, 2022, v.46
no.0
, 27-68
KCI
[학술지논문] 국어사전과 학술 연구 그 간극의 극복을 위하여
한국사전학, 2022, v.40
no.0
, 46-106
KCI
[학술지논문]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접사-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사인가-
한국어학, 2022, v.97
no.0
, 1-63
KCI
[학술지논문] 품사 통용을 넘어 범주 통용을 제안하며
國語學, 2022, v.0
no.104
, 119-155
KCI
[학술지논문]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어인가-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조사와 어미의 범주-
국어학, 2022, v.101
no.0
, 319-382
KCI
[학술지논문] 두음 법칙 규정과 어종
언어와 정보 사회, 2021, v.43
no.0
, 139-168
KCI
[학술지논문] 신어 형성에서 유추의 역할은 무엇인가 - 마티엘로(2017), Analogy in Word-formation을 중심으로 -
형태론, 2021, v.23
no.2
, 171-215
KCI
[학술지논문] 한국어 형태론의 쟁점과 그 해결 방안의 모색 - ‘경계’에서 ‘전체’로
한말연구, 2021, v.61
no.0
, 389-423
KCI
[학술지논문] 1910년대 품사 연구
한국어학, 2020, v.88
no.0
, 61-111
KCI
[학술지논문] ‘이’, ‘그’, ‘저’ 계열의 단어 형성에 대하여
이화어문논집, 2020, v.51
no.0
, 503-527
KCI
[학술지논문] 近代 語文 規範의 成立과 漢字 問題
어문연구(語文硏究), 2020, v.48
no.4
, 5-51
KCI
[학술지논문] 계열 관계에서 본 『표준국어대사전』의 추가 표제어
한중인문학연구, 2020, v.68
no.0
, 361-389
KCI
[저역서] 전문 용어 형성 연구
역락, 2023, 432
[저역서] 한국어 신어 형성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22, 348
[저역서]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계량적 연구
역락, 2021, 614
[학술발표] 전문 용어의 형태어휘론적 쟁점과 과제
제8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5-02-07
전문 용어 연구의 쟁점과 과제, 2025, 149-186
[학술발표] 신어 연구와 전문 용어 - 신어 연구의 범위 확대를 위한 시론 -
제85차 한국어학회, 대한민국, 서울, 2024-02-02
제85차 한국어학회: 신어 연구, 그 성과와 전망, 2024, 275-304
[학술발표] 국어사전과 학술 연구, 그 간극의 극복을 위하여
한국사전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제40차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2-08-18
한국사전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2022, 41-72
[학술발표]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접사-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사인가-
2022년 세계 한국어학자 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2-06-30
언어, 기능 그리고 사용(1), 2022, 343-378
[학술발표] The Oxford Handbook of the Korean Language의 개요
제14회 규장각 한국학 국제심포지엄, 대한민국, 서울(온라인), 2021-11-04
제14회 규장각 한국학 국제심포지엄 발표자료집, 2021, 1-21
[학술발표] 한국어 형태론의 쟁점과 그 해결방안의 모색 -‘경계’에서 ‘전체’로-
제53회 한말연구학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ZOOM 발표, 2021-07-16
제53회 한말연구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집, 2021, 73-91
[학술발표]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어인가-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조사와 어미의 범주-
국어학회, 한국언어유형론학회 2021년 겨울 공동학술대회 , 대한민국, 서울, 2021-12-18
국어학회, 한국언어유형론학회 2021년 겨울 공동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21, 123-158
[학술발표] 1910년대 품사 연구
제78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04-11
제78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0, 25-51
[학술발표] 교착어로서의 한국어의 형태론적 특수성에 대하여
2020 세계 한국어 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0-12-23
세계 한국어 대회 발표자료집(1분과), 2020, 1000-1019
[학술발표] 근대 어문 규범의 성립과 한자 문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제228회 전국 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0-10-17
근대어문학의 성립과 한자문제, 2020, 69-110
강의
2025-1학기
한국어형태론
학수번호 20024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학413)
,
목 6~6
(학413)
한국어형태론
학수번호 G1106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4~5
(인101)
2024-2학기
한국인의언어구조
학수번호 20025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학853)
,
목 5~5
(학853)
화법과미디어언어
학수번호 35070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학853)
,
목 3~3
(학853)
한국어어휘론
학수번호 G1136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인105)
2024-1학기
한국어형태론
학수번호 20024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학853)
,
목 6~6
(학853)
어문규범론
학수번호 G1879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4~5
(인103)
2023-2학기
한국인의언어구조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20025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3
(학654)
,
목 2~2
(학654)
화법과미디어언어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5070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학852)
,
목 6~6
(학852)
대비언어학특강
학수번호 G1150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4~5
(인103)
2023-1학기
호크마세미나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1302 분반 01
1학년 (
1학점
화 7~7
(인411)
미디어와 언어
한국어형태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20024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3
(포253)
,
목 2~2
(포253)
한국어어휘사
학수번호 G11226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4~5
(인103)
2022-2학기
한국인의언어구조
학수번호 20025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3
(포465)
,
목 2~2
(포465)
화법과미디어언어
학수번호 35070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포367)
,
목 6~6
(포367)
언어정책론
학수번호 G1840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4~5
(인102)
2022-1학기
한국어형태론
학수번호 20024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4
(포358)
,
금 5~5
(포358)
한국어연구사
학수번호 G1111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2~3
(인102)
한국어교사를위한한국어의이해
학수번호 Y8110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캠)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