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찬(吳永贊) 교수

사회과교육과

오영찬 프로필 사진
오영찬 교수는 사회과교육과 역사교육전공 교수로, 한국고대사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과 영국 브리티시박물관 비지팅 큐레이터를 역임하였다. 낙랑군을 중심으로 한 한국 고대사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문화유산과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교육에 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낙랑군 연구』(사계절), 『조선총독부박물관과 식민주의』(사회평론) , 역서로는 『중국고고학에서 본 낙랑고분』(진인진), 『한권으로 읽는 박물관학』(사회평론) 등이 있다.
  • 한국문화연구원장
  • 교육관 A동 501호
  • 02-3277-2664
연구실적
  • ‘고적’의 탄생-일제 시기 문화재의 제도화와 식민주의 한국문화연구, 2023, v.45, 109-139
    KCI dColl.
  • 예맥의 종족성과 물질문화 한국고대사연구, 2023, v.0 no.109, 89-122
    KCI dColl.
  • 4세기 서북한지역 명문자료의 다중적 메시지 한국고대사연구, 2022, v.0 no.106, 203-240
    KCI dColl.
  • 역사교사들의 현장학습 인식과 실천 역사교육연구, 2020, no.38, 211-252
    KCI dColl.
  • 열패한 식민지 문화의 전파-조선총독부박물관의 설립 배경- 서울과 역사, 2020, no.105, 141-180
    KCI dColl.
  • 조선총독부박물관 초기 소장품의 형성과 성격 역사학보, 2020, no.246, 1-29
    KCI dColl.
  • 민족의 기원을 찾아서–한국 상고 민족 담론의 창안 한국문화연구, 2019, v.37, 103-132
    KCI dColl.
  • 식민지박물관의 역사 만들기 - 조선총독부박물관 상설전시의 변천 역사와 현실, 2018, v.110, 199~231
    KCI dColl.
  • 낙랑토성 출토 봉니의 연대와 성격 동국사학, 2017, no. 63, 235~272
    KCI dColl.
  • 세계문화유산 교육의 새로운 시도 :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 미술사학, 2017, v.33, 233-253
    KCI dColl.
  • Legacies of Japanese Colonialist Historiography and Scholarly Views on Wiman Joseon KOREA JOURNAL, 2016, v.56 no.1, 93-115
    AHCI KCI Scopus dColl.
  • 낙랑군 출토 봉니의 진위에 대한 기초적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2015, v.88 no.88, 5-29
    KCI dColl.
  • 모바일 기반 창덕궁 현장체험학습을 위한역사과 교수․학습 방안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2015, v.19 no.2, 621-644
    KCI dColl.
  • 기원전 2세기대 서북한 고고 자료와 위만조선 한국고대사연구, 2014, 76호, 95-125
    KCI dColl.
  • [학술지논문] ‘고적’의 탄생-일제 시기 문화재의 제도화와 식민주의 한국문화연구, 2023, v.45 no.0 , 109-139
    KCI
  • [학술지논문] 예맥의 종족성과 물질문화 한국고대사연구, 2023, v.1 no.109 , 89-122
    KCI
  • [학술지논문] 4세기 서북한지역 명문자료의 다중적 메시지 한국고대사연구, 2022, v.0 no.106 , 203-240
    KCI
  • [학술지논문] 미래 서울을 위한 수집: 서울역사박물관의 현대 컬렉션 서울역사박물관 리뷰, 2021, v.2021 no.0 , 54-79
  • [학술지논문] 역사교사들의 현장학습 인식과 실천 역사교육연구, 2020, v.0 no.38 , 211-252
    KCI
  • [학술지논문] 열패한 식민지 문화의 전파-조선총독부박물관의 설립 배경- 서울과 역사, 2020, v.0 no.105 , 141-180
    KCI
  • [학술지논문] 조선총독부박물관 초기 소장품의 형성과 성격 역사학보, 2020, v.0 no.246 , 1-29
    KCI
  • [저역서] 고성 동외동 유적 삼강문화재연구원, 2023, 678
  • [저역서] 조선총독부박물관과 식민주의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376
  • [저역서] 한국 고대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진인진, 2021, 779
  • [저역서] 한 권으로 읽는 박물관학 사회평론 아카데미, 2020, 361
  • [학술발표] Chariot Parasol Components Excavated in Korean Peninsula 2024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zerbaijan-Korean Scientific Cooperation on Archaeology, 아제르바이잔, 2024-07-20 2024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zerbaijan-Korean Scientific Cooperation on Archaeology, 2024, 36-38
  • [학술발표] Symbol of Dragon-A Gold Buckle of Lelang in Korea Academic Conference on Archaeology: Turkiye-Korea-Azerbaijan International Cooperation, 터키, 이스탄불, 2023-10-12 ogy: Turkiye-Korea-Azerbaijan International Cooperation, 2023, 1-5
  • [학술발표] Archaeological Similarities between Early Korea and Vietnam The 22nd Congress of the Indo-Pacific Prehistory Association, 태국, 치앙마이, 2022-11-08 IPPA 22 Conference Program and Abstracts, 2022, 186-186
  • [학술발표] 일제시기 한국문화재와 소프트 파워 국외소재문화재재단 SOAS 공동 국제학술회의, 대한민국, 서울, 2022-08-12 국외소재문화재와 소프트 파워, 2022, 47-55
  • [학술발표] 전근대 및 일제시기 서울 백제유산에 대한 인식 2022 서울 백제역사유적 국제학술회의, 대한민국, 서울, 2022-11-17 서울의 백제유산에서 세계의 백제유산으로-세계 역사도시 유산의 보존과 활용, 2022, 31-39
  • [학술발표] 조선총독부박물관과 식민주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이화여대한국문화연구원 공동 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2-07-07 일제 식민사학 다시 읽기, 2022, 18-24
  • [학술발표]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사업과 (탈)식민주의 국립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자료의 공개와 활용, 대한민국, 2022-09-30 국립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자료의 공개와 활용, 2022, 199-209
  • [학술발표] 미래 서울을 위한 수집: 서울역사박물관의 현대 컬렉션 2021 서울역사박물관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10-15 도시박물관 너의 갈 길을 묻는다., 2021, 56-79
  • [학술발표] 한일 문화재 연구 포럼의 성과와 과제 제10회 한일 문화재 전문가 세미나, 대한민국, 2021-08-13 한일 문화재 교류사업의 발전 방향, 2021, 68-87
  • [학술발표] 한국 상고 '민족'담론과 식민지 고적조사 한국상고사학회 제53회 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0-11-27 '통설'의 탄생-한국 상고사의 주류학설에 대한 발전적 검토, 2020, 15-22
강의
  • 2025-1학기

    • 1학년세미나(사범대)

      • 학수번호 10857분반 17
      • 1학년 ( 1학점 , 1시간) 수 7~7
      • 역사를 보는 열린 시각 (교육관A동 501호)
    • 한국사제문제와역사교육

      • 학수번호 21699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교A402) , 수 2~2 (교A402)
    • 한국고대사와역사교육

      • 학수번호 30660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교) , 수 4~4 (154)
    • 교육실습II(학교현장실습)

      • 학수번호 ED114분반 03
      • 학년 ( 2학점 , 2시간)
    • 역사교육과역사자료

      • 학수번호 HI104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 2024-2학기

    • 교사를위한고려시대사

      • 학수번호 30662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교) , 수 2~2 (254)
    • 학술답사

      • 학수번호 38236분반 01
      • 4학년 ( 1학점
    • 한국사연구의쟁점과역사교육

      • 학수번호 G13683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교A406)
    • 역사학개론

      • 학수번호 HI15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 2024-1학기

    • 1학년세미나(사범대)

      • 학수번호 10857분반 18
      • 1학년 ( 1학점 수 7~7
      • 박물관 속 역사보기/교육관A동 501호
    • 한국사제문제와역사교육

      • 학수번호 21699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교A406) , 금 2~2 (교A406)
    • 한국고대사와역사교육

      • 학수번호 30660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2 (교A406) , 금 3~3 (교A406)
    • 역사교육에서의한국사학습지도

      • 학수번호 HI262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교)
  • 2023-2학기

  • 2023-1학기

  • 2022-2학기

    • 교사를위한고려시대사

      • 학수번호 30662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교A406) , 금 2~2 (교A406)
    • 학술답사

      • 학수번호 38236분반 01
      • 4학년 ( 1학점
    • 한국생활문화사교육특강

      • 학수번호 G13656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교A501)
    • 현대세계와역사교육

      • 학수번호 HI154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 2022-1학기

    • 1학년세미나(사범대)

      • 학수번호 10857분반 21
      • 1학년 ( 1학점 월 7~7 (교A406)
      • 박물관 속 역사보기 / 장소: 교수연구실 (교A501)
    • 한국사제문제와역사교육

      • 학수번호 21699분반 01
      •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교) , 수 2~2 (152)
    • 한국고대사와역사교육

      • 학수번호 30660분반 01
      •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교A406) , 수 4~4 (교A406)
    • 한국사교육특강1

      • 학수번호 G1353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 교사를위한한국정치사이해

      • 학수번호 HI251분반 01
      •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학력

서울대학교 문학박사(국사학)

서울대학교 문학석사(국사학)

서울대학교 문학사(국사학)

경력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2005-09-01 ~ 2012-02-29

영국 대영박물관 비지팅 큐레이터 2009-10-17 ~ 2010-10-16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운영위원 2013-02-01 ~ 2019-02-01

문화체육관광부 박물관미술관 학예사 운영위원 2014-07-07 ~ 2018-07-06

서울특별시 서울공예박물관 건립추진위원 2017-03-02 ~ 2018-03-01

국립고궁박물관 운영자문위원 2017-12-01 ~ 2019-11-30

문화체육관광부 국립민속박물관 세종시 확대이전 건립자문위원 2020-05-20 ~ 2021-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