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연 교수는 심리학전공 소속 교수로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대학원에서 학교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학교폭력과 공격성, 자살, 긍정적 정신건강 등 청소년 발달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과 <Journal of School Violence>의 associate editor로 활동하고 있다. 2017년-18년 한국학교심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2019년-20년 한국발달심리학회 편집위원장을 맡았다. 2019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아동발달센터 소장직을 수행 중이다. 최근 저서로는 『학교폭력과 괴롭힘 예방』 (학지사)이 있으며, 주변인 대상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인 '행복나무 프로그램'(법무부)을 공동 개발하였다. 
				 
				
			 
			
			
		 
		
			
				
				
				연구실적  
				
				
				 
				
				
				
					
					
					
					
					
					
					
					
					
					
					
					
					
					
					
					
					
					
					
					
					
					
					
					
					
					
					
					
					
					
					
					
					
						
						20대 직장인의 탐욕, 기본심리욕구, 선망에 따른 삶의 만족, 공격성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사회과학연구논총, 2025, v.41 no.1, 61-83 
						
						
						
					 
					
					
					
					
						
						대학생 대상 한국판 다문화 성격 척도 단축판(K-MPQ-SF)의 타당화 및 문화적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025, v.39 no.1, 75-98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발달지원연구, 2025, v.14 no.1, 79-99 
						
						
						
					 
					
					
					
					
						
						대학생의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 : 감사,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2024, v.13 no.1, 25-42 
						
						
						
					 
					
					
					
					
						
						대학생의 성적 고정신념과 우울 및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2024, v.13 no.2, 1-15 
						
						
						
					 
					
					
					
					
						
						대학생의 외적 속박감, 무망감, 자살사고의 관계: 현재향유 향유신념과 미래기대 향유신념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4, v.37 no.2, 67-82 
						
						
						
					 
					
					
					
					
						
						대학생의 절차에 대한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낯선 사람 및 친구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사회적 증명-접근 목표와 사회적 증명-회피 목표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24, v.31 no.1, 367-393 
						
						
						
					 
					
					
					
					
						
						청소년기 긍정적 위험 감수 행동과 부정적 위험 감수 행동: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탐색 
						
						
						청소년학연구, 2024, v.31 no.9, 333-356 
						
						
						
					 
					
					
					
					
						
						여자 청소년의 정서적 학대 피해와 사이버 언어폭력 가해의 관계: 내현적 자기애와 피해자 정의민감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23, v.30 no.10, 287-307 
						
						
						
					 
					
					
					
					
						
						일반 초등학교에 통합된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또래괴롭힘 경험과 위험요인 분석 
						
						
						발달지원연구, 2023, v.12 no.3, 39-66 
						
						
						
					 
					
					
					
					
						
						중학생의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훈육 구조와 분노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23, v.20 no.3, 137-155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피해자 정의민감성과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23, v.30 no.12, 299-324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가치 우선순위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023, v.37 no.3, 427-450 
						
						
						
					 
					
					
					
					
						
						교사의 폭력피해 경험, 자신감, 소진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22, v.29 no.7, 249-274 
						
						
						
					 
					
					
					
					
						
						남자 중학생의 도덕적 이탈과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의 관계: 정서적 학교 관여와 훈육 구조의 조절된-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22, v.29 no.7, 199-221 
						
						
						
					 
					
					
					
					
						
						부모의 수용과 대학생 자녀의 피해자 정의민감성, 가해자 정의민감성 간의 관계:권력가치와 자기초월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2, v.35 no.3, 21-41 
						
						
						
					 
					
					
					
					
						
						어머니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 적대적 귀인편향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2, v.35 no.2, 181-198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 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22, v.28 no.2, 107-131 
						
						
						
					 
					
					
					
					
						
						20, 30대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 간의 관계: 지각된 조직불공정성과 상태분노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21, v.27 no.1, 1-18 
						
						
						
					 
					
					
					
					
						
						고등학생의 지각된 교실수행목표구조와 공격성의 관계: 학업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2021, v.10 no.1, 107-125 
						
						
						
					 
					
					
					
					
						
						근거이론에 기반한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또래괴롭힘 경험과 피해 대처과정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2021, v.37 no.1, 1-27 
						
						
						
					 
					
					
					
					
						
						대학생의 개인적 공정세상신념, 삶의 의미 발견, 자기통제력, 공격성의 구조적 관계:  성별 간 다집단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21, v.27 no.1, 95-112 
						
						
						
					 
					
					
					
					
						
						대학생의 스트레스, 부정정서,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부정 긴급성과 긍정정서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1, v.34 no.1, 81-100 
						
						
						
					 
					
					
					
					
						
						대학생의 좌절된 소속감, 삶의 의미, 자살사고의 관계: 외향성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2021, v.10 no.3, 17-33 
						
						
						
					 
					
					
					
					
						
						어머니의 집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와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 자기자비와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1, v.34 no.3, 21-42 
						
						
						
					 
					
					
					
					
						
						중등교원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폭력피해경험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 
						
						
						청소년학연구, 2021, v.28 no.5, 27-58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또래괴롭힘 피해, 우울 간의 관계: 학급별 차별수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21, v.18 no.2, 249-267 
						
						
						
					 
					
					
					
					
						
						중학생의 차별경험, 우울과 가해행동의 관계: 집단효능감과 교사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 
						
						
						아시아교육연구, 2021, v.22 no.1, 97-121 
						
						
						
					 
					
					
					
					
						
						중학생의 희망과 비행의 관계: 권태의 매개효과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21, v.28 no.10, 1-29 
						
						
						
					 
					
					
					
					
						
						학교 성폭력의 실태 및 다면적 영향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021, v.30 no.1, 59-98 
						
						
						
					 
					
					
					
					
						
						Prevalence of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Bullying i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Cross-Cultural Meta-Analysis 
						
						
						Yonsei medical journal, 2020, v.61 no.11, 909-922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 거부 민감성, 남성 성역할 갈등의 이중매개효과 및 비판단 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0, v.33 no.2, 49-68 
						
						
						
					 
					
					
					
					
						
						대학생의 분배 및 절차공정성에 대한 개인적 믿음, 미래지향 시간관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0, v.33 no.1, 65-84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20, v.27 no.11, 147-172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경험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남성 성역할 갈등, 수치심,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9, v.32 no.3, 79~98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 사회불안,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9, v.32 no.1, 105~126 
						
						
						
					 
					
					
					
					
						
						성인진입기 심리적 데이트 폭력 피해와 관계 투자의 관계: 성별, 관계에 대한 암묵적 이론, 관계 지속 기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19, v.24 no.3, 263-282 
						
						
						
					 
					
					
					
					
						
						중학생의 방어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간 관계에서 고정신념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2019, v.26 no.4, 243-266 
						
						
						
					 
					
					
					
					
						
						중학생의 피해자 정의민감성,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분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19, v.26 no.3, 197~224 
						
						
						
					 
					
					
					
					
						
						중학생의 형제자매 괴롭힘 피해경험, 성격적 자기비난, 대처효능감과 또래괴롭힘 피해경험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9, v.32 no.2, 23~41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폭력 지지, 교사개입, 학급규준과 가해행동 간의 관계: 또래괴롭힘에 반대하는 태도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19, v.26 no.3, 117~141 
						
						
						
					 
					
					
					
					
						
						How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teachers' bullying intervention 
						
						
						PSYCHOLOGY IN THE SCHOOLS, 2018, v.55 no.9, 1086-1097 
						
						
						
					 
					
					
					
					
						
						사회적 거절 경험 이후 애착 안정성 점화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여대생의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8, v.31 no.3, 77~97 
						
						
						
					 
					
					
					
					
						
						정신건강 2요인 모델에 따른 완전정신건강 선별검사: 정신건강 유형 간 차이와 개입 시사점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18, v.15 no.2, 197~219 
						
						
						
					 
					
					
					
					
						
						중학생의 개인적 공정세상신념, 인지적 재평가,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관계: 집단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18, v.15 no.3, 489~509 
						
						
						
					 
					
					
					
					
						
						중학생의 피해자 정의민감성, 적대적 귀인편향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8, v.31 no.4, 143~165 
						
						
						
					 
					
					
					
					
						
						초등학생의 도덕 추론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학급 수준 특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8, v.31 no.2, 83~103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서적 공감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관계: 성별에 따른 교사 개입정도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18, v.25 no.7, 93~117 
						
						
						
					 
					
					
					
					
						
						한국 청소년의 웃음공포증: 놀림당한 경험, 수치심, 웃음공포증의 관계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18, v.25 no.2, 247~276 
						
						
						
					 
					
					
					
					
						
						관계적 공격성 피해 여학생의 개인 및 가족 변인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7, v.30 no.4, 1~28 
						
						
						
					 
					
					
					
					
						
						남녀 사무직 직장인의 특성분노, 사회적 회피,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간 관계: 조직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17, v.23 no.1, 53-74 
						
						
						
					 
					
					
					
					
						
						노인의 감사성향, 관계만족, 정신적 웰빙의 관계: 인식된 짐스러움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2017, v.72 no.2, 35~60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의 매개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7, v.19 no.4, 2121~2134 
						
						
						
					 
					
					
					
					
						
						북한이탈 청년의 문화적응에 따른 군집유형별 문화적응 스트레스, 일상적 차별감, 남/북 공동체 지지 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017, v.31 no.2, 77~99 
						
						
						
					 
					
					
					
					
						
						사회적 배제 경험과 감사 글쓰기 과제가 얼굴표정 해석 편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7, v.30 no.1, 83~102 
						
						
						
					 
					
					
					
					
						
						자기조절자원 고갈 상황에서 효과적인 섭식조절을 위한 긍정정서의 효과: 섭식억제 여대생 집단을 중심으로 
						
						
						인간이해, 2017, v.38 no.1, 67~81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거부민감성, 지위불안감의 역할: 집단적-,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17, v.24 no.4, 125~152 
						
						
						
					 
					
					
					
					
						
						초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의 폭력 및 비폭력에 대한 지지, 또래괴롭힘에 반대하는 태도와 가해행동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7, v.30 no.4, 29~47 
						
						
						
					 
					
					
					
					
						
						Validation of the Social Emotional Health Survey–Secondary for Korean Students 
						
						
						Child Indicators Research, 2016, v.9 no.1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관계 상실 경험 중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6, v.29 no.1, 25-45 
						
						
						
					 
					
					
					
					
						
						근거이론에 기반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교폭력 특징에 대한 교사의 인식 탐색 연구 
						
						
						교육과학연구, 2016, v.47 no.4, 73 
						
						
						
					 
					
					
					
					
						
						노인의 감사성향 및 감사표현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관계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6, v.29 no.3, 53~73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 분노억제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배척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16, v.23 no.10, 259~285 
						
						
						
					 
					
					
					
					
						
						또래괴롭힘 방관자 하위유형의 탐색 
						
						
						상담학연구, 2016, v.17 no.5, 377~398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 자녀의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16, v.13 no.1, 99~122 
						
						
						
					 
					
					
					
					
						
						불면증 환자의 스트레스, 심리적 강인성,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스트레스 硏究, 2016, v.24 no.3, 137-150 
						
						
						
					 
					
					
					
					
						
						여대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6, v.29 no.1, 83-99 
						
						
						
					 
					
					
					
					
						
						영아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영아-교사 간정서적 가용성의 양상 및 관계 
						
						
						유아교육연구, 2016, v.36 no.2, 295~324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 과다사용의 관계: 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16, v.13 no.1, 205~225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 가족 삼각화와 불인정 기반 자기평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5, v.28 no.4, 181-203 
						
						
						
					 
					
					
					
					
						
						중산층 중년 기혼여성의 건강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15, v.20 no.4, 531-549 
						
						
						
					 
					
					
					
					
						
						중학생의 아버지 애착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5, v.28 no.2, 41-61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개념 불일치와 공격성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15, v.22 no.12, 81-115 
						
						
						
					 
					
					
					
					
						
						초등학생의 부모-자녀 갈등, 거부불안민감성, 소속에 대한 욕구와 또래괴롭힘 동조행동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5, v.28 no.3, 51-73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심리학 연구의 방향성: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15, v.34 no.2, 485-512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분노억압 간의 관계: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2014, 제15권 2호, 729-751 
						
						
						
					 
					
					
					
					
						
						성인기 ADHD 성향과 부적응적 분노행동의 관계: 외적 권태성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2014, 제15권 3호, 1215-1233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초기 성인기 이성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4, 제27권 1호, 33-53 
						
						
						
					 
					
					
					
					
						
						중학생의 공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규준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4, 제27권 3호, 89-109 
						
						
						
					 
					
					
					
					
						
						청년기 손자녀-친/외조부모간 유대와 접촉, 가치유사성 및 부모-조부모 관계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2014, 제34권 2호, 277-297 
						
						
						
					 
					
					
					
					
						
						초등학교 학교폭력 가해, 피해, 가해-피해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 
						
						
						청소년학연구, 2014, 제21권 5호, 391-416 
						
						
						
					 
					
					
					
					
					
					
						
							[학술지논문] 20대 직장인의 탐욕, 기본심리욕구, 선망에 따른 삶의 만족, 공격성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사회과학연구논총, 2025, v.41
										no.1
									, 61-83 
								 
							
							
							
							
							
							
							
							
							
							
							
							
								KCI 
									
									
										
								
							
							
						 
						
					
						
							[학술지논문] 대학생 대상 한국판 다문화 성격 척도 단축판(K-MPQ-SF)의 타당화 및 문화적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025, v.39
										no.1
									, 75-98 
								 
							
							
							
							
							
							
							
							
							
							
							
							
								KCI 
									
									
										
								
							
							
						 
						
					
						
							[학술지논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초기 성인기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 분노의 매개효과와 관계 내 지각된 권력 및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5, v.38
										no.1
									, 61-81 
								 
							
							
							
							
							
							
							
							
							
							
							
							
								KCI 
									
									
										
								
							
							
						 
						
					
						
							[학술지논문] 초기 성인기의 불공정세상신념과 사이버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악의적 선망과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5, v.38
										no.3
									, 19-39 
								 
							
							
							
							
							
							
							
							
							
							
							
							
								KCI 
									
									
										
								
							
							
						 
						
					
						
							[학술지논문] 대학생의 외적 속박감, 무망감, 자살사고의 관계: 현재향유 향유신념과 미래기대 향유신념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4, v.37
										no.2
									, 67-82 
								 
							
							
							
							
							
							
							
							
							
							
							
							
								KCI 
									
									
										
								
							
							
						 
						
					
						
							[학술지논문] 대학생의 절차에 대한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낯선 사람 및 친구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사회적 증명-접근 목표와 사회적 증명-회피 목표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24, v.31
										no.1
									, 367-393 
								 
							
							
							
							
							
							
							
							
							
							
							
							
								KCI 
									
									
										
								
							
							
						 
						
					
						
							[학술지논문] 중학생의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훈육 구조와 분노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23, v.20
										no.3
									, 137-155 
								 
							
							
							
							
							
							
							
							
							
							
							
							
								KCI 
									
									
										
								
							
							
						 
						
					
						
							[학술지논문]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피해자 정의민감성과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23, v.30
										no.12
									, 299-324 
								 
							
							
							
							
							
							
							
							
							
							
							
							
								KCI 
									
									
										
								
							
							
						 
						
					
						
							[학술지논문] 교사의 폭력피해 경험, 자신감, 소진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22, v.29
										no.7
									, 249-274 
								 
							
							
							
							
							
							
							
							
							
							
							
							
								KCI 
									
									
										
								
							
							
						 
						
					
						
							[학술지논문] 남자 중학생의 도덕적 이탈과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의 관계: 정서적 학교 관여와 훈육 구조의 조절된-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22, v.29
										no.7
									, 199-221 
								 
							
							
							
							
							
							
							
							
							
							
							
							
								KCI 
									
									
										
								
							
							
						 
						
					
						
							[학술지논문] 부모의 수용과 대학생 자녀의 피해자 정의민감성, 가해자 정의민감성 간의 관계:권력가치와 자기초월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2, v.35
										no.3
									, 21-41 
								 
							
							
							
							
							
							
							
							
							
							
							
							
								KCI 
									
									
										
								
							
							
						 
						
					
						
							[학술지논문] 어머니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 적대적 귀인편향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2, v.35
										no.2
									, 181-198 
								 
							
							
							
							
							
							
							
							
							
							
							
							
								KCI 
									
									
										
								
							
							
						 
						
					
						
							[학술지논문]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 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22, v.28
										no.2
									, 107-131 
								 
							
							
							
							
							
							
							
							
							
							
							
							
								KCI 
									
									
										
								
							
							
						 
						
					
						
							[학술지논문] 20, 30대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 간의 관계: 지각된 조직불공정성과 상태분노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21, v.27
										no.1
									, 1-18 
								 
							
							
							
							
							
							
							
							
							
							
							
							
								KCI 
									
									
										
								
							
							
						 
						
					
						
							[학술지논문] 고등학생의 지각된 교실수행목표구조와 공격성의 관계: 학업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2021, v.10
										no.1
									, 107-125 
								 
							
							
							
							
							
							
							
							
							
							
							
							
								KCI 
									
									
										
								
							
							
						 
						
					
						
							[학술지논문] 근거이론에 기반한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또래괴롭힘 경험과 피해 대처과정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2021, v.37
										no.1
									, 1-27 
								 
							
							
							
							
							
							
							
							
							
							
							
							
								KCI 
									
									
										
								
							
							
						 
						
					
						
							[학술지논문] 대학생의 개인적 공정세상신념, 삶의 의미 발견, 자기통제력, 공격성의 구조적 관계: 성별 간 다집단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21, v.27
										no.1
									, 95-112 
								 
							
							
							
							
							
							
							
							
							
							
							
							
								KCI 
									
									
										
								
							
							
						 
						
					
						
							[학술지논문] 대학생의 스트레스, 부정정서,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부정 긴급성과 긍정정서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1, v.34
										no.1
									, 81-100 
								 
							
							
							
							
							
							
							
							
							
							
							
							
								KCI 
									
									
										
								
							
							
						 
						
					
						
							[학술지논문] 대학생의 좌절된 소속감, 삶의 의미, 자살사고의 관계: 외향성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2021, v.10
										no.3
									, 17-33 
								 
							
							
							
							
							
							
							
							
							
							
							
							
								KCI 
									
									
										
								
							
							
						 
						
					
						
							[학술지논문] 어머니의 집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와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 자기자비와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1, v.34
										no.3
									, 21-42 
								 
							
							
							
							
							
							
							
							
							
							
							
							
								KCI 
									
									
										
								
							
							
						 
						
					
						
							[학술지논문] 중등교원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폭력피해경험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 
							
							
							
								
								
									청소년학연구, 2021, v.28
										no.5
									, 27-58 
								 
							
							
							
							
							
							
							
							
							
							
							
							
								KCI 
									
									
										
								
							
							
						 
						
					
						
							[학술지논문]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또래괴롭힘 피해, 우울 간의 관계: 학급별 차별수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21, v.18
										no.2
									, 249-267 
								 
							
							
							
							
							
							
							
							
							
							
							
							
								KCI 
									
									
										
								
							
							
						 
						
					
						
							[학술지논문] 중학생의 차별경험, 우울과 가해행동의 관계: 집단효능감과 교사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 
							
							
							
								
								
									아시아교육연구, 2021, v.22
										no.1
									, 97-121 
								 
							
							
							
							
							
							
							
							
							
							
							
							
								KCI 
									
									
										
								
							
							
						 
						
					
						
							[학술지논문] 중학생의 희망과 비행의 관계: 권태의 매개효과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21, v.28
										no.10
									, 1-29 
								 
							
							
							
							
							
							
							
							
							
							
							
							
								KCI 
									
									
										
								
							
							
						 
						
					
						
							[학술지논문] 학교 성폭력의 실태 및 다면적 영향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021, v.30
										no.1
									, 59-98 
								 
							
							
							
							
							
							
							
							
							
							
							
							
								KCI 
									
									
										
								
							
							
						 
						
					
						
							[학술지논문] 20-30대 여성의 일상 속 성차별 경험,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에 다른 잠재 프로파일 분류: 차별 대처전략 및 반응적 공격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20, v.25
										no.3
									, 225-246 
								 
							
							
							
							
							
							
							
							
							
							
							
							
								
							
						 
						
					
						
							[학술지논문] Prevalence of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Bullying i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Cross-Cultural Meta-Analysis 
							
							
							
								
								
									YONSEI MEDICAL JOURNAL, 2020, v.61
										no.11
									, 909-922 
								 
							
							
							
							
							
							
							
							
							
							
							
							
								SCI 
									
									
									
									
									
									
										
								
							
							
						 
						
					
						
							[학술지논문]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20, v.27
										no.11
									, 147-172 
								 
							
							
							
							
							
							
							
							
							
							
							
							
								KCI 
									
									
										
								
							
							
						 
						
					
						
							[저역서] 사회정서발달 
							
							
							
							
							
								
								
									학지사, 2021, 632
								 
							
							
							
							
							
							
							
							
							
							
								
							
						 
						
					
						
							[저역서] 코로나 시대 아이 생활 처방전 
							
							
							
							
							
								
								
									와이즈맵, 2021, 235
								 
							
							
							
							
							
							
							
							
							
							
								
							
						 
						
					
						
							[저역서] 자폐증이 있는 아이를 위한 긍정 양육 
							
							
							
							
							
								
								
									학지사, 2020, 181
								 
							
							
							
							
							
							
							
							
							
							
								
							
						 
						
					
					
					
					
						
							[학술발표] How does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protect against youth violence?  
							
								APS 2021 virtual convention, 미국, 2021-05-26  
								 
							
							
							
								APS 2021 virtual convention, 2021
								 
							
						 
						
					
						
							[학술발표] Post-traumatic stress among North Korean refugee youth:  The role of discrimination and support 
							
								SRCD 2021 Biennial Meeting , 미국, 2021-04-09  
								 
							
							
							
								SRCD 2021 Biennial Meeting, 2021
								 
							
						 
						
					
						
							[학술발표] 고등학생의 지각된 교실수행목표구조와 공격성의 관계: 학업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온라인 연차학술대히 , 대한민국, 2020-08-21  
								 
							
							
							
								위기의 지구: 재난, 심리학에서 길을 찾다, 2020
								 
							
						 
						
					
						
							[학술발표] 대학생의 개인적 공정세상신념, 삶의 의미 발견, 자기통제력, 공격성의 구조적 관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심리학회 온라인 연차학술대히 , 대한민국, 2020-08-21  
								 
							
							
							
								위기의 지구: 재난, 심리학에서 길을 찾다, 2020
								 
							
						 
						
					
						
							[학술발표] 중학생의 희망과 비행의 관계: 권태의 매개효과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온라인 연차학술대회 , 대한민국, 2020-08-21  
								 
							
							
							
								위기의 지구: 재난, 심리학에서 길을 찾다, 2020
								 
							
						 
						
					
					
					
					
					
					
					
					
					
					
					
					
					
					
				 
				
			 
			
				강의 
				
				
					
						
						
							2025-2학기
							
							
								
									
										
											사회정서발달 
											
											
											
										
										
											학수번호 38867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포)
														
														,
													
														목 3~3 
														
														(152)
														
														
													
												 
											 
											
											
											
										 
									 
								
									
										
											행동치료 
											
											
											
										
										
											학수번호 G1136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포259)
														
														
													
												 
											 
											
											
											
										 
									 
								
							 
								
						 
						
						
					
						
						
							2024-2학기
							
							
								
									
										
											사회정서발달 
											
											
											
										
										
											학수번호 38867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포)
														
														,
													
														목 6~6 
														
														(161)
														
														
													
												 
											 
											
											
											
										 
									 
								
									
										
											아동기와청년기의발달문제 
											
											
											
										
										
											학수번호 G1135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5~6 
														
														(포361)
														
														
													
												 
											 
											
												강의실변경 
											
											
											
										 
									 
								
							 
								
						 
						
						
					
						
						
							2024-1학기
							
							
								
									
										
											발달장애 
											
											
											
										
										
											학수번호 30634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5 
														
														(포161)
														
														,
													
														목 6~6 
														
														(포161)
														
														
													
												 
											 
											
											
											
										 
									 
								
									
										
											행동치료 
											
											
											
										
										
											학수번호 G1136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4 
														
														(포358)
														
														
													
												 
											 
											
											
											
										 
									 
								
							 
								
						 
						
						
					
						
						
							2023-2학기
							
							
								
									
										
											사회정서발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8867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포161)
														
														,
													
														수 5~5 
														
														(포161)
														
														
													
												 
											 
											
											
											
										 
									 
								
									
										
											발달정신병리학 
											
											
											
										
										
											학수번호 G1141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6~7 
														
														(포362)
														
														
													
												 
											 
											
											
											
										 
									 
								
							 
								
						 
						
						
					
						
						
							2023-1학기
							
							
								
									
										
											1학년세미나(사회대)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0848 분반 13 
												1학년 (
												1학점 
												
												 
												
												
												
												
												
												
													
														월 7~7 
														
														
													
												 
											 
											
												심리학과 건강한 대학생활  
											
											
											
										 
									 
								
									
										
											발달장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0634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포253)
														
														,
													
														목 3~3 
														
														(포253)
														
														
													
												 
											 
											
											
											
										 
									 
								
									
										
											아동기와청년기의발달문제 
											
											
											
										
										
											학수번호 G1135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6~7 
														
														(포367)
														
														
													
												 
											 
											
											
											
										 
									 
								
							 
								
						 
						
						
					
						
						
							2022-2학기
							
							
								
									
										
											사회정서발달 
											
											
											
										
										
											학수번호 38867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3 
														
														(포153)
														
														,
													
														목 2~2 
														
														(포153)
														
														
													
												 
											 
											
											
											
										 
									 
								
									
										
											행동치료 
											
											
											
										
										
											학수번호 G1136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포260)
														
														
													
												 
											 
											
											
											
										 
									 
								
							 
								
						 
						
						
					
						
						
							2022-1학기
							
							
								
									
										
											1학년세미나(사회대) 
											
											
											
										
										
											학수번호 10848 분반 11 
												1학년 (
												1학점 
												
												 
												
												
												
												
												
												
													
														월 7~7 
														
														(포458)
														
														
													
												 
											 
											
												심리학과 건강한 대학생활 
											
											
											
										 
									 
								
									
										
											발달장애 
											
											
											
										
										
											학수번호 30634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
													
														수 4~4 
														
														
													
												 
											 
											
											
											
										 
									 
								
									
										
											발달정신병리학 
											
											
											
										
										
											학수번호 G1141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6~7 
														
														
													
												 
											 
											
											
											
										 
									 
								
							 
								
						 
						
						
					
				 
				
			 
			
			
			
			
			
				학력 
				
					
						
							 
								The University of Iowa 
								Ph.D.(학교심리)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