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적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가족돌봄청년 관련 동영상 댓글 분석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2024, v.21 no.2, 45-74
국내 거주 난민 어머니들의 학령기 자녀 양육경험
한국가족복지학, 2024, v.71 no.2, 171-212
난민아동 지원 실천가들의 네트워크 경험 연구
다문화사회연구, 2024, v.17 no.2, 65-106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부모의 방임에 따른진로결정성의 변화궤적
학교사회복지, 2024, v.0 no.65, 1-2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s)과 청년기 외로움의 관계: 우울과 사회적지지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
청소년학연구, 2024, v.31 no.6, 185-214
아동보호서비스에서의 아동청문권 보장방안
한국아동복지학, 2024, v.73 no.1, 29-55
자립준비청년 관련 자립지원 조례 분석 -전국 시도⋅시군구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024, v.73 no.1, 91-135
재난피해자의 PTSD, 회복탄력성, 사회적응 간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관계 : 성별 다집단 분석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2024, v.52 no.2, 35-60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긍정적/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스마트폰 의존 간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적용
청소년복지연구, 2024, v.26 no.1, 101-132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결식우려아동의 식사지원서비스에 관한 탐색 연구 -실무자와 양육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023, v.72 no.4, 31-61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발달장애인의 동영상 콘텐츠 댓글 분석
발달장애연구, 2023, v.27 no.2, 337-353
난민아동의 통역 경험 의미
다문화교육연구, 2023, v.16 no.1, 21-45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장벽인식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예측요인
청소년복지연구, 2023, v.25 no.4, 67-91
성인전환기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자립의 의미
발달장애연구, 2023, v.27 no.3, 179-201
중학생이 인식한 부모양육태도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의 직렬매개효과 및 성차 비교
한국사회복지교육, 2023, v.63, 153-177
폭력피해를 경험한 아동복지 종사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권리보호인식과 내재적 직무동기의 다중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논총, 2023, v.39 no.2, 121-157
A longitudinal study on the stability an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ability among Koreans with disability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2022, v.16 no.3, 290-305
Social Adjustment of Crossover Adolescents in Korea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2022, v.19 no.3, 101-142
난민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또래지지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논총, 2022, v.38 no.1, 97-131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직렬다중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022, v.33 no.4, 59-87
신체장애여성 생활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장애인복지학, 2022, v.55 no.55, 283-316
아동 의견을 어떻게 들어야 하는가? -아동보호관련 기관 종사자의 의견 청취 현실과 과제-
한국아동복지학, 2022, v.71 no.3, 27-60
위기 경험 아동복지 종사자의 조직 집단문화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직무동기와 감정상태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022, v.71 no.4, 1-29
재난경험자의 우울, 회복탄력성, 사회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영향
한국사회복지학, 2022, v.74 no.2, 317-341
국내 난민들이 경험한 도움의 의미
사회과학연구논총, 2021, v.37 no.1, 143-178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 학교생활적응 간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한국아동복지학, 2021, v.70 no.3, 127-155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의 이중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2021, no.53, 27-53
아동복지 프로그램 평가 기준 및 지표 개발
사회복지연구, 2021, v.52 no.1, 67-96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 영향요인
한국아동복지학, 2021, v.70 no.2, 197-222
아동학대 온톨로지 개발
한국아동복지학, 2021, v.70 no.4, 1-32
영유아기 자녀를 둔 난민 부모의 가족 분리 경험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배우자 양육문제 도움의 조절 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021, v.30 no.3, 441-459
중학생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외모 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021, v.30 no.1, 17-33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 학교생활 적응 및 다문화 수용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영향
학교사회복지, 2021, no.55, 129-151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2020, v.14 no.3, 184-196
국내 영유아기 난민 아동의 발달에 관한 탐색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020, v.69 no.1, 143-175
아동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연구에서 도출된 구성요소 분석
사회과학연구, 2020, v.36 no.1, 258-288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학교생활 적응,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청소년복지연구, 2020, v.22 no.4, 265-291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between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in refugee children in South Korea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19, v.106, 104474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한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매개효과, 다집단분석-
한국아동복지학, 2019, v.68, 87-114
미세먼지가 가정외보호 아동의 심리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사회보장연구, 2019, v.35 no.3, 129-151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부모의 지도감독,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청소년복지연구, 2019, v.21 no.2, 97-121
How do physical health problems of Korean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ffect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s? The mediation of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18, v.94, 670-678
Voices of refugee children in Korea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18, v.94, 606-616
국내 난민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018, no.63, 23~53
행정자료를 이용한 프로그램비 지출이 가정외보호 10-13세 아동의 발달성과에 미친 효과
유라시아연구, 2018, v.15 no.2, 183~196
Case studies of successful transition from out-of-home placement to young adulthood in Korea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17, v.79, 315-324
Developmental outcomes among Korean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 longitudinal study comparing kinship foster care and institutional car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17, v.76, 118-124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between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and aggressive behaviors in Korean adolescent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17, v.83, 41-47
Meta-analysis of depression among marriage-based migrant women in South Korea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2017, v.11 no.3, 205-215
Neighborhood effects on self-concept among Korean adolescent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17, v.81, 168-177
Predictors of Cambodian parents’ perceptions of corporal punishment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2017, v.11 no.2, 168-180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보호의 비교
한국사회복지학, 2017, v.69 no.3, 97~119
Does Size Matter? Comparing Medium-Term Cost-Effectiveness of Group Homes with Institutional Care in South Korea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2016, v.10 no.2, 248-263
Kinship Foster Care and School Adjustment: Evidence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in South Korea
Child and Youth Care Forum, 2016, 11 Nov 2016, 1-22
Linking Traumatic Childhood Experiences to the Physic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through Depression and Anxiety
Social Work in Public Health, 2016, 8 Oct 2016, 1-9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016, v.27 no.4, 87
임금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에 미치는 효과
유라시아연구, 2016, v.13 no.2, 87~102
주양육자의 양육태도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2016, v.54, 145~172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이 우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부모양육태도와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016, v.47 no.3, 251~277
가정외보호아동의 친부모 애착이 우울⋅불안 및공격성에 미치는 영향-Ping의 2단계 접근방식을 적용한 긍정적대리양육자 관계의 조절 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015, v.51, 189-217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사회복지학, 2015, v.67 no.3, 5-29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와 Wee클래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015, v.30, 95-120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SOCIAL WORK IN PUBLIC HEALTH, 2014, v.29 no.6, 528-539
The outcomes of foster care in South Korea ten years after its foundation : A comparison with institutional car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14, v.39, 135-143
결식 경험이 신체건강,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2014, 제16권 2호, 229-254
부모의 아동학대와 방임이 학령기 아동의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및 성별 비교-
한국아동복지학, 2014, 47호, 93-123
주양육자의 양육태도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또래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014, 제22권 2호, 313-335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2014, 제16권 2호, 203-227
강의
2025-1학기
정신건강론
학수번호 34970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포260)
,
수 4~4
(포260)
미래사회아동복지
학수번호 G1658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6
(포262)
아동복지
학수번호 SW402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포360)
2024-2학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학수번호 34954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포260)
,
수 4~4
(포260)
사회복지상담Ⅱ
학수번호 SW407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포459)
강의실변경
2024-1학기
정신건강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4970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포465)
,
수 4~4
(포465)
Independent Study
학수번호 G1727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6~7
(포354)
정신건강과DSM
학수번호 SW402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포360)
2023-2학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4954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포160)
,
수 4~4
(포160)
글로벌프론티어Ⅰ
학수번호 G1810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6~7
(포160)
사례연구수퍼비전
학수번호 SW405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포459)
강의실변경
2023-1학기
정신건강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4970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포260)
,
수 4~4
(포260)
미래사회아동복지
학수번호 G1658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6
(포354)
글로벌프론티어Ⅰ
학수번호 G1810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6~7
(포351)
정신건강과DSM
학수번호 SW402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포451)
강의실변경
2022-2학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학수번호 34954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포453)
,
수 4~4
(포453)
사회복지세미나Ⅱ
학수번호 G1811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5
(포354)
사례연구수퍼비전
학수번호 SW405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포459)
강의실변경
2022-1학기
호크마세미나
학수번호 11302 분반 11
1학년 (
1학점
화 7~7
우리나라 아동권리, 어디까지 왔나? / 장소: 교수연구실(포관 520호)
사회과학탐구
학수번호 11304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금 3~4
원격강의 전공탐색 교과목(호크마대 1학년 수강 권장), 재수강 불가, 1학년만 수강 가능, 2~4학년 수강 불가, 팀티칭
정신건강론
학수번호 34970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포259)
,
수 4~4
(포259)
미래사회아동복지
학수번호 G1658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4
(포352)
상담과심리치료
학수번호 SW401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포262)
학력
Columbia University
Ph.D.(Advanced Practice)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