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연 교수는 현재 국제사무학과 교수로 다양한 실무경험과 연구경력을 갖춘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분야 연구의 전문가이다. 경영컨설턴트의 경력 후, 미국 뉴욕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BA(재무전공)를 취득하였다. 주식/채권가치를 평가하는 벤처회사에 창립맴버로 업무를 수행하였고 그 능력을 인정받아 한국정부지원으로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벤처리더를 위한 특별과정을 수료하였다. 그후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인적자원개발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오하이오주정부의 교육노동정책을 평가하는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 2006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국제사무학과 전임교수로 재직중이다. 서울산업통상진흥원 지원의 이화.창조아카데미사업을 책임맡았으며, 연구과제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 교육과학기술연수원, 교육부 과제 등을 통해 공공분야의 인적자원개발분야의 연구 및 정책과제를 수행하였고, 몽골정부공무원과 현대기아차 교육과정 자문역할을 하는 등 인적자원개발분야의 실무적 능력도 인정받고 있다. 저서로는『경력개발전략: 이론과 실제』(학지사)와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의 후원의 『여성인적자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경력개발』(집문당)이 있으며, 『경력개발전략: 이론과 실제』는 2017년 세종우수도서에 선정되었다. 현재까지 총 30여편의 논문을 <Gender, Work, & Organization> 등 SSCI급 국제학술지 또는 국내등재지급에 발표했고, HRD분야의 국제학술대회에서 최고논문상을 2회 수상하였다.
연구실적
비서직 종사자의 경력자본, 경력만족, 상사-비서 교환관계(LMX)에 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4, v.33 no.3, 35-61
하이브리드 근무환경에서의 전문비서 업무경험에 관한 글로벌기업 A사 사례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4, v.33 no.1, 47-73
신입비서의 조직사회화를 위한 업무매뉴얼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3, v.32 no.1, 5-30
우연이론으로 본 청년 바리스타 경력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3, v.32 no.3, 31-61
프로티언 커리어 관점으로 본 현직 비서의 이직 경험
비서·사무경영연구, 2023, v.32 no.3, 63-88
『비서·사무경영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비서직의 진로 및 경력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비서·사무경영연구, 2022, v.31 no.2, 75-103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인센티브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022, v.23 no.3, 173-192
여성 비서의 여성 상사와의 업무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관계,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중심으로
비서·사무경영연구, 2022, v.31 no.1, 5-32
원격근무 환경에서 상사의 리더십 역량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2022, v.23 no.1, 165-185
재택근무 비서직 채용공고 분석을 통한 미래 비서에게 요구되는 자격 요건에 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2, v.31 no.2, 29-52
법률비서 초기 경력자의경력전환에 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1, v.30 no.3, 61-90
비서의 창의적 업무수행에 관한 기초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1, v.30 no.2, 53-80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공기업 근로자 경력열망유형별 리더경험과 유리천장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021, v.34, 61-82
전문비서의 오피스매니저로서의 경력개발을 위한 직무비교와 역량에 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1, v.30 no.1, 79-112
An Exploratory Study of South Korean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in Thailan
신산업경영저널, 2020, v.38 no.2, 187-208
The Difficulties and Experiences of Re-acculturation among Returned Vietnamese on Workplace Learning
신산업경영저널, 2020, v.38 no.1, 26-46
경력개발 관점에서의 비서관련 학과 전공심화과정 재학생에 대한 사례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0, v.29 no.2, 131-162
미래사회 대비를 위한 비서교육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0, v.29 no.2, 163-189
오피스매니저의 직무와 역량에 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0, v.29 no.3, 107-132
재택근무환경에서 비서의 업무 경험에 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0, v.29 no.4, 63-96
중국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인식과 소비가치가 만족도와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벤트컨벤션연구, 2020, v.16 no.3, 105-124
Does leader-member similarity in prosocial personality affect informal learning transfer?
European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2019, v.44 no.2-3, 121-139
Kano 모델을 이용한 쇼핑관광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 동대문 패션시장 방문 중국관광객 대상으로
이벤트컨벤션연구, 2019, v.15 no.2, 137-156
고경력 비서직 종사자의 경력개발과정과 경력지속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19, v.28 no.3, 81-109
비서의 직장 내 감정노동 모델 도출을 위한 질적연구-부정적 감정을 중심으로
비서·사무경영연구, 2019, v.28 no.1, 29-56
비서직 경력정체의 선행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19, v.28 no.1, 57-90
비서의 일 주도성 및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와 무형식학습의 관계
비서·사무경영연구, 2018, v.27 no.1, 5~31
상사의 시각으로 본 우수 성과 비서의 역량 및 행동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18, v.27 no.2, 31~54
네트워킹 행동과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 관한 연구: 비서직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017, v.30 no.3, 343~362
법률비서 자격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비서학논총, 2017, v.26 no.1, 105~131
신입비서의 조직사회화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영역, 학습원천 및 학습 성공지표에 관한 질적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17, v.26 no.2, 123~148
창의성이 발현되는 비서 업무에 대한 질적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017, v.26 no.2, 229~252
A Study on Secretary’s Core Self-Evaluations and Creativity: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and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비서학논총, 2016, v.25 no.1, 109~135
조직사회화 전략이 신입사원의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과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016, v.29 no.1, 47-63
타 직무 종사자의 비서직으로의 경력전환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2016, v.25 no.1, 33~58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and External Mentors on the Mentoring Functions
대한경영학회지, 2015, v.28 no.1, 203-225
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이 비서의 경력변인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논총, 2015, v.24 no.1, 173-196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비서학논총, 2015, v.24 no.1, 99-122
Differential Spaces in Korean Places? Feminist Geography and Female Managers in South Korea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2014, v.21 no.2, 165-186
The Study on Reverse Culture Shock and Workplace Learning among Chinese Returnees
기업경영연구, 2014, 제21권 2호, 43-59
강의
2025-1학기
국제사무학원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183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경영312)
,
목 3~3
(경영312)
경력개발연구
학수번호 G1311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경영303)
2024-2학기
2024-1학기
2023-2학기
2023-1학기
2022-2학기
2022-1학기
글로벌커리어개발과기업가정신
학수번호 1121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3
,
금 3~3
국제사무학원론
학수번호 36183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4
,
금 5~5
국제사무학연구
학수번호 G1310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경영304)
학력
The Ohio State University
Ph.D.(인력개발 및 교육)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