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체육학은 장애가 있는 사람은 물론, 신체활동시 심동적 문제가 있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신체활동을 통한 신체적 심리적 건강증진 및 사회성 향상을 도모할 뿐 아니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 연구하고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행정을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이화여자대학교 체육과학부 특수체육 연구실>
문화체육관광부&대한장애인체육회, 학교체육시설 장애인 이용 개방사업 수행 중
한국특수체육학회, HUGS(High-5 for Unified Games and Sports) 연구lab 운영 중
국민체육진흥공단, 노인스포츠지도사 연수원 운영 중
스페설올림픽코리아(SOK), SOK 종목별 지도서 및 영상 개발 및 보급, 공동연구 완료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장애인 실업팀 선수 인권조사, 공동연구 완료
스포츠과학연구소장
체육관 C동 305호
연구관심분야
통합스포츠, 근거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특수인구층 건강증진, 특수체육 및 장애인 생활체육 지도자 교육, 여성 & 장애인 스포츠 활성화, Aging well
연구실적
[학문후속세대 쿼터] 체육학 전공 분야에서 ESG 교육 발전 방안한국체육정책학회지, 2025, v.23 no.1, 145-163
Parental Self-Efficacy and Practices in Physical Activity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21, v.30 no.6, 1567-1576
[학술지논문] [학문후속세대 쿼터] 체육학 전공 분야에서 ESG 교육 발전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2025, v.23
no.1
, 145-163
KCI
[학술지논문] Sport Safety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Comparative Study of New Zealand, the USA, and the UK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024, v.35
no.1
, 122-132
Scopus
[학술지논문] 여성 장애인 스포츠 이슈 분석: 텍스트 마이닝 활용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24, v.32
no.1
, 155-166
KCI
[학술지논문] 조현병을 가진 성인의 정기적 신체활동 참여 경험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24, v.32
no.4
, 55-70
KCI
[학술지논문] The Effect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Practicums o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nfidence
PALAESTRA, 2021, v.35
no.3
, 43-47
[저역서]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Human Kinetics, 2022, 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