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적
冥界의 심판·응보 일화를 통해 본 宋代의 夫妾 관계
역사문화연구, 2025, v.0 no.93, 331-370
The Perception and Treatment of People about Abscesses(癰疽) in the Song Period: Focus on Hongmai(洪邁) Yijianzhi(夷堅志); [송대(宋代) 사람들의 옹저(癰疽)에 대한 인식과 대응: 홍매(洪邁)의 『이견지(夷堅志)』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024, v.33 no.1, 135-189
‘악핵독종(惡核毒腫)’ 치료에서 ‘치혈지통(治血止痛)’으로: 중국에서의 유향(乳香)에 대한 인식과 활용의 변천사
의료사회사연구, 2023, v.11, 149-176
唐宋 시기 해외‧남방 本草 지식의 집적과 전승 ― 李珣의 海藥本草 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2023, v.0 no.85, 175-208
Another Tradition of Chinese Medical Knowledge Dissemin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Zhiguai({greek word presented}) Medical Cases' of the Song Period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022, v.31 no.1, 35-92
‘離之’: 南宋 시기 지방관의 ‘違法’ 혼인에 대한 인식과 판결
동양사학연구, 2020, v.0 no.153, 43-85
南宋 시기 地方官의 姦罪 처리 원칙 ― 『청명집』의 판례를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2020, v.150 no.150, 83-126
남송(南宋) 시기 지방관의 이혼 관련 소송의 처리 - 의절(義絶)‧칠출(七出)‧화리(和離)의 변용과 확장 -
여성과 역사, 2020, 33, 269-303
宋代 『夷堅志』 수록 ‘醫方’ 지식의 특징
동양사학연구, 2019, v.146 no.146, 103-156
宋代 儒醫 연구 회고: 儒醫의 출현배경·개념 변화·전형 탐색
역사와 담론, 2018, v.86 no.86, 277~302
송대 의방(醫方) 지식의 전승과 사대부의 역할 : 화독배농내보산(化毒排膿內補散)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018, v.27 no.1, 89-129
南宋 시기 지방관이 알아야 할 ‘檢驗’ 관련 법률 ― 宋慈의 『洗冤集錄』 「條令」에 대한 분석 ―
동양사학연구, 2014, 129호, 107-143
宋⋅元 시기 ‘檢驗지식’의 형성과 발전: 『洗冤集錄』과 『無冤錄』을 중심으로
중국학보, 2014, 69호, 79-104
宋代 檢驗 제도에서의 결과보고: “驗狀”類 문서를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 2013, v.0 no.47, 153-188
宋代 檢驗 제도의 운영 - 「檢驗格目」을 중심으로
역사학보, 2013, v.0 no.220, 125-156
[학술지논문] 冥界의 심판·응보 일화를 통해 본 宋代의 夫妾 관계
역사문화연구, 2025, v.00
no.93
, 331-370
KCI
[학술지논문] 宋代 士大夫의 목욕문화와 寺院 浴室院 활동
역사와 담론, 2025, v.00
no.114
, 181-222
KCI
[학술지논문] 송대 보록(譜錄)의 편찬과 본초(本草) 지식의 전승
의료사회사연구, 2025, v.00
no.15
, 171-202
KCI
[학술지논문] The Perception and Treatment of People about Abscesses((sic)(sic)) in the Song Period: Focus on Hongmai((sic)(sic)) Yijianzhi((sic)(sic)(sic))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024, v.33
no.1
, 135-189
AHCI
[학술지논문] 송대 사대부의 의학지식 축적과 확산: 옹저(癰疽)의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사론, 2024, v.61
no.61
, 47-108
KCI
[학술지논문] ‘악핵독종(惡核毒腫)’ 치료에서 ‘치혈지통(治血止痛)’으로: 중국에서의 유향(乳香)에 대한 인식과 활용의 변천사
의료사회사연구, 2023, v.11
no.11
, 149-176
KCI
[학술지논문] 唐宋 시기 해외‧남방 本草 지식의 집적과 전승 ― 李珣의 『海藥本草』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2023, v.85
no.85
, 175-208
KCI
[학술지논문] 중국 의학지식 전승의 또 하나의 전통: 송대(宋代) ‘지괴의안(志怪醫案)’의 특징과 의미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022, v.31
no.1
, 35-92
AHCI
[학술지논문] ‘離之’: 南宋 시기 지방관의 ‘違法’ 혼인에 대한 인식과 판결
동양사학연구, 2020, v.0
no.153
, 43-85
KCI
[학술지논문] 南宋 시기 地方官의 姦罪 처리 원칙 ― 『청명집』의 판례를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2020, v.150
no.150
, 83-126
KCI
[학술지논문] 남송(南宋) 시기 지방관의 이혼 관련 소송의 처리 - 의절(義絶)‧칠출(七出)‧화리(和離)의 변용과 확장 -
여성과 역사, 2020, v.0
no.33
, 269-303
KCI
[저역서] 이견지 병지 一
세창출판사, 2024, 455
[저역서] 이견지 병지 二
세창출판사, 2024, 400
[저역서] 이견지 정지 一
세창출판사, 2024, 438
[저역서] 이견지 정지 二
세창출판사, 2024, 405
[저역서] 새로 쓰는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방법, 교육모델과 사례
선인, 2023, 399
[저역서] 질병 관리의 사회문화사 - 일상생활에서 국가정책까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360
[학술발표] Citations from Pulu(谱录)Compiled during the Song Period in Bencaogangmu(本草纲目)
한·중 의료사회사 국제학술대회, 중국, 2025-01-05
多元视野下的医疗社会史研究国际学术研讨会, 2025
[학술발표] 冥界의 심판·응보를 통해 본 宋代 夫妾 관계
효원사학회 2025년 동계 학술대회, 대한민국, 부산, 2025-01-17
동아시아의 법과 사회, 2025
[학술발표] 송대 보록(譜錄)의 편찬과 본초 지식의 전승
인제의대 인문의학연구소·의료역사연구회 공동 하계워크숍, 대한민국, 부산, 2024-07-18
의학 지식과 물질의 교류사, 2024
[학술발표] 隐喻与治疗:宋人对痈疽的认识和应对
朗潤宋史論壇, 중국, 베이징, 2023-08-29
朗潤宋史論集, 2023, 76-109
[학술발표] 당송 시기 해외‧남방 본초 지식의 집적과 전승 ― 李珣의 『海藥本草』를 중심으로―
동서양의 해양교류: 교역, 의학, 사상과 권력, 대한민국, 서울, 2023-01-13
동서양의 해양 교류: 교역, 의학, 사상과 권력, 2023, 141-162
[학술발표] 해외 유입 본초 乳香에 대한 인식과 활용의 변천사
2023년 의료역사연구회 동계워크숍, 대한민국, 공주, 2023-01-28
의학지식의 전파와 일상생활의 변화, 2023, 32-47
[학술발표] 宋代痈疽的发病与治疗——以《夷坚志》的叙述为中心
第九届中韩宋辽夏金元史国际学术研讨会, 중국, 2021-08-31
第九届中韩宋辽夏金元史国际学术研讨会论文集, 2021
[학술발표] 송대(宋代) 지괴의안(志怪醫案)의 의방(醫方) 연구: 기존 의학지식의 확산과 보완
대한의사학회 2021년 가을철 학술대회 , 대한민국, 서울, 2021-11-05
대한의사학회 2021년 가을철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학술발표] 송인(宋人)의 내러티브를 통해 본 송대 사회상: 홍매洪邁 『이견지夷堅志』의 사료적 가치
아세아문제연구원 중국역사연구센터 학술회의, 대한민국, 서울, 2021-12-10
아세아문제연구원 중국역사연구센터 학술회의 발표집 - 사료 번역과 중국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 2021
[학술발표] 南宋 시기 지방관의 부부관계 관련 쟁송의 처리 - 『淸明集』의 판례를 중심으로-
제39회 동계연구토론회, 대한민국, 2020-08-20
동아시아 역사 속의 가족, 2020
[학술발표] 宋代 사대부와 신비주의 사유 – 의학 지식의 생성, 축적 그리고 확산을 중심으로 -
제17회 중국고중세사학회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09-19
동아시아 고중세시기 신비주의의 제양상, 2020
강의
2025-1학기
1학년세미나(인문대)
학수번호 10845 분반 16
1학년 (
1학점
, 1시간)
화 7~7
(인607)
처음읽는중국의역사
인물로본중국의역사
학수번호 1129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3
(포464)
,
금 3~3
(포464)
중국문명의성립과전개
학수번호 35143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4
(학409)
,
금 5~5
(학409)
중국사회사연구
학수번호 G1276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인105)
2023-2학기
인물로본중국의역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129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4
(학655)
,
금 5~5
(학655)
중국근세의사회와문화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5152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2
(학410)
,
금 3~3
(학410)
중국근세사연구
학수번호 G12896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인105)
2023-1학기
인물로본중국의역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129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포465)
,
금 4~4
(포465)
중국문명의성립과전개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5143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포462)
,
수 2~2
(포462)
동양사사료연구
학수번호 G1275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5~6
(인105)
2022-2학기
인물로본중국의역사
학수번호 1129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4~4
(포465)
,
금 5~5
(포465)
중국근세의사회와문화
학수번호 35152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2
(캠)
,
금 3~3
(147)
2022-1학기
인물로본중국의역사
학수번호 1129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
수 5~5
호크마세미나
학수번호 11302 분반 35
1학년 (
1학점
수 7~7
(인607)
MZ세대와 역사학
중국문명의성립과전개
학수번호 35143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포454)
,
수 2~2
(포454)
세계사연구방법론
학수번호 G1714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3~4
(인105)
학력
Peking University
Ph.D.(역사학과)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