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신애(蘇信愛) 교수
국어국문학과
/호크마교양대학
서강대학교에서 국어 음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UCLA 언어학과에서 음성학으로 박사후과정을 이수하였다. 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어 음운론, 국어 방언학, 국어 음운사이다. 북한 방언, 언어 변이와 변화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해 왔다. 국어학회, 국어국문학회, 국어사학회, 한국방언학회, 한국사회언어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부총리상, 어문논문상, 일석 국어학연구장려상, 방언학 학술장려상, 한글학회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연구실적
개인어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의 방언 연구
한국학논집, 2024, v.0 no.94, 125-157
북한 문화어의 방언 수용 양상
국어국문학, 2024, v.0 no.206, 49-72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음운론적 변이 -구술발화 자료를 중심으로-
방언학, 2024, v.0 no.39, 79-112
중세국어 ‘ㅎ 말음 체언’의 말음 소실과 그 흔적—함북 육진 방언을 중심으로—
한글, 2023, v.84 no.1, 45-84
함경도 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글, 2023, v.84 no.3, 835-867
황해도 방언의 자음 체계와 그 변화: 장연 지역어의 /ㅈ, ㅉ, ㅊ/을 중심으로
언어와 정보 사회, 2023, v.48, 27-58
황해도 방언의 모음 체계와 그 변화 – 장연 지역어를 중심으로
國語學, 2022, no.103, 171-208
[학술지논문] 개인어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의 방언 연구
한국학논집, 2024, v.0
no.94
, 125-157
KCI
[학술지논문] 북한 문화어의 방언 수용 양상
국어국문학, 2024, v.0
no.206
, 49-72
KCI
[학술지논문] 중세 국어 후음 ㅇ에 대한 음운론적 해석
國語學, 2024, v.0
no.112
, 85-125
KCI
[학술지논문]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음운론적 변이 -구술발화 자료를 중심으로-
방언학, 2024, v.0
no.39
, 79-112
KCI
[학술지논문] 중세국어 ‘ㅎ 말음 체언’의 말음 소실과 그 흔적—함북 육진 방언을 중심으로—
한글, 2023, v.84
no.1
, 45-84
KCI
[학술지논문] 함경도 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글, 2023, v.84
no.3
, 835-867
KCI
[학술지논문] 황해도 방언의 자음 체계와 그 변화: 장연 지역어의 /ㅈ, ㅉ, ㅊ/을 중심으로
언어와 정보 사회, 2023, v.48
no.0
, 27-58
KCI
[학술지논문] 평양 지역어의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
언어와 정보 사회, 2022, v.45
no.0
, 109-144
KCI
[학술지논문] 황해도 방언의 모음 체계와 그 변화 – 장연 지역어를 중심으로
國語學, 2022, v.0
no.103
, 171-208
KCI
[학술지논문] 구술 발화에서 관찰되는 음성·음운론적 변이 - 함북 육진 방언의 음절말 유음의 변이를 중심으로
방언학, 2021, v.0
no.34
, 7-40
KCI
[학술지논문] 한국어 지역 방언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국어국문학, 2021, v.0
no.194
, 39-71
KCI
[학술지논문] 함남 방언의 모음 체계와 그 변화 - 함흥 지역어를 중심으로
國語學, 2021, v.0
no.97
, 177-214
KCI
[학술지논문] 함남 함흥 지역어의 자음 체계 및 관련 음운 현상 -/ㅈ, ㅉ, ㅊ, ㅅ, ㅆ/을 중심으로
방언학, 2020, v.0
no.31
, 7-42
KCI
[학술지논문] 음운 변화의 흔적에 대하여 -ㅿ>ø를 중심으로
國語學, 2019, v.0
no.89
, 95-130
KCI
[학술지논문] 음절말 비음 간 대치 현상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2019, v.0
no.188
, 33-72
KCI
[학술지논문] 평양 방언과 서울 표준어의 자음에 대한 음성신호 파라미터들의 비교연구 – 파찰음 “ㅈ/ㅉ/ㅊ”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2019, v.14
no.4
, 411-423
KCI
[학술지논문] ‘ᄋᆞ’말음 체언의 통시적 변화 –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18, v.0
no.183
, 37-66
KCI
[학술지논문] 음운론적 변이와 변화에 대한 종합적 검토
한국어학, 2018, v.0
no.79
, 1-34
KCI
[학술지논문] 평양 지역어와 서울 지역어의 자음에 대한 음성신호 파라미터들의 비교 연구 - “ㅅ/ ㅆ”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8, v.8
no.6
, 927-937
KCI
[학술지논문] AMDF 함수를 이용한 음성 신호의 피치 추정 Algorithm들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7, v.7
no.4
, 235-242
KCI
[학술지논문] ㅎ의 音價 變化 및 관련 음운 현상의 共時的 기술 - ㅎ의 有氣性을 중심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2017, v.45
no.2
, 7-34
KCI
[학술지논문] 미국의 방언 연구 성과와 방법론 - 언어 변이와 변화에 대한 Labov의 연구를 중심으로
방언학, 2017, v.0
no.26
, 25-54
KCI
[학술지논문] A Study of Peak Finding Algorithms for the Autocorrelation Function
of Speech Signal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16, v.21
no.12
, 131-137
KCI
[학술지논문] 영어권 국가에서의 한국어 음운론 연구
國語學, 2016, v.0
no.77
, 251-285
KCI
[학술지논문] 움라우트의 개재자음에 대한 재고찰 - 중부 방언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16, v.0
no.176
, 237-272
KCI
[학술지논문] 청자에 의한 음운 변화의 유형
인문학연구, 2016, v.0
no.44
, 39-59
[학술지논문]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음운 체계 부분에 대한 검토
언어와 정보 사회, 2015, v.0
no.25
, 237-267
KCI
[학술지논문] 체언 어간말 ‘ᄋᆞ>오’ 변화에 대하여 - 중부 방언을 중심으로
國語學, 2015, v.0
no.74
, 175-206
KCI
[학술지논문] 語頭 nV의 yV로의 變化에 대하여
어문연구(語文硏究), 2014, v.42
no.1
, 93-120
KCI
[학술지논문] 대방언권 자료집의 체재와 성과
방언학, 2014, v.0
no.20
, 37-72
KCI
[학술지논문] 비어두 위치의 ㄱ 구개음화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2014, v.0
no.167
, 5-39
KCI
[학술지논문] 開音節 뒤의 ㄴ 揷入 現象에 대하여- 全南 方言을 중심으로
語文硏究, 2013, v.41
no.1
, 87-117
KCI
[학술지논문] 모음 간 ㄱ 약화․탈락에 대하여 - 방언 구술 발화 자료를 중심으로
방언학, 2013, v.0
no.18
, 107-146
KCI
[학술지논문] 국어의 ㅿ>ㅈ 변화에 대하여
震檀學報, 2012, v.0
no.114
, 51-84
KCI
[학술지논문] 점진적 음변화로서의 ㅅ>ㅿ - 방언 반사형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12, v.0
no.162
, 45-83
KCI
[학술지논문] 국어의 ‘p/k 교체’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2011, v.0
no.158
, 101-134
KCI
[학술지논문] 中子音에 의한 位置 同化에 대하여 -咸北 方言의 /ㅇ/→/ㄴ/ 현상을 중심으로
語文硏究, 2010, v.38
no.4
, 151-173
KCI
[학술지논문] 파찰음 앞 /ㄴ/ 삽입 현상에 관하여
국어국문학, 2010, v.0
no.154
, 5-32
KCI
[학술지논문] 평안 방언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평양 지역어의 모음을 중심으로
國語學, 2010, v.0
no.58
, 231-254
KCI
[학술지논문] 音聲的 요인에 기반한 通時的 音韻 變化의 發生 層位-鼻母音化 및 鼻音性 消去를 중심으로
語文硏究, 2009, v.37
no.3
, 169-193
KCI
[학술지논문] 표기상의 오류에 대한 음운론적 해석
국어교육, 2009, v.0
no.129
, 177-208
KCI
[학술지논문] 중세 국어 음절말 유음의 음가와 그 변화 - 방언 자료와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
國語學, 2008, v.0
no.53
, 35-64
KCI
[학술지논문] 言語 變化 機制로서의 過度 矯正 - 20世紀 初 咸北 方言을 중심으로
語文硏究, 2007, v.35
no.1
, 183-207
KCI
[학술지논문] 방언 음운론과 표준 발음 교육
시학과 언어학, 2007, v.0
no.14
, 221-247
[학술지논문] 어기 및 접사 변화와 파생어의 재형성- 사․피동 파생어를 중심으로
國語學, 2007, v.0
no.50
, 3-26
KCI
[학술지논문] Phonological Variation in the North Hamkyeng Dialect: Focusing on Alternation-governed Variation
Har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2006, v.0
no.11
, 278-291
[학술지논문] 音韻論的 變異의 類型과 要因 - 咸北 六鎭 方言을 중심으로
語文硏究, 2006, v.34
no.1
, 83-106
KCI
[학술지논문] 수의적 교체를 통한 점진적 음운 변화 - 함북 육진 방언의 진행 중인 변화를 중심으로
國語學, 2006, v.0
no.48
, 101-124
KCI
[학술지논문] 방언 접촉을 통한 규칙 생성과 언어 변이 - 연변 훈춘지역 조선어의 음운론적 변이를 중심으로
조선-한국 언어문학 연구, 2005, v.0
no.2
, 82-95
[학술지논문] 어간 재구조화의 진행 과정 (2) - 훈춘 지역 세대별 화자들의 활용 어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國語學, 2005, v.0
no.45
, 41-68
KCI
[학술지논문] /ㅅ, ㅈ, ㅊ/의 음가와 구개모음화 - 연변 훈춘 지역 조선어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04, v.0
no.137
, 269-298
KCI
[학술지논문] Change in Progress: Focusing on Palatalization in the Korean of Hunchun, China
Har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 2004, v.0
no.10
, 186-197
[학술지논문] 語幹 再構造化의 진행 과정 (1) - 琿春地域 世代別 話者들의 활용 어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語文硏究, 2004, v.32
no.4
, 117-139
KCI
[학술지논문] tyV 연쇄의 회피 현상: 연변 훈춘지역 조선어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03, v.0
no.134
, 181-210
KCI
[학술지논문] 음변화의 진행 과정: 연변 훈춘지역 조선어의 구개음화를 중심으로
언어, 2003, v.28
no.3
, 405-426
KCI
[학술지논문] 중국 조선족의 언어를 조사하면서
언어와 정보 사회, 2002, v.0
no.3
, 185-195
[저역서] 중국 길림성 이주 한인의 언어와 구전 설화 – 도문시․훈춘시의 육진방언
역락, 2022, 503
[저역서] 개별 언어와 언어 연구
월인, 2021, 212
[저역서]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창비교육, 2018, 247
[저역서] 음운론적 변이와 변화의 상관성 - 함북 육진 방언을 중심으로
태학사, 2009, 557
[저역서] 중국 이주 한민족의 언어와 생활 - 길림성 회룡봉
태학사, 2008, 728
[학술발표]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음운론적 변이 - 구술발화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2024년 학술대회: 동남방언 연구의 성과와 전망, 대한민국, 서울, 2024-06-21
한국방언학회 2024년 학술대회: 동남방언 연구의 성과와 전망, 2024, 17-34
[학술발표] 개인어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의 방언 연구
2023학년도 한국학연구원 ․ 한국어문학회 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11-03
초개인화 시대, 보편의 재발견과 한국어문학 연구의 전망, 2023
[학술발표] 북한 문화어의 방언 수용 양상
제4회 유네스코·겨레말큰사전 국제학술포럼, 대한민국, 서울, 2023-11-08
토착어의 지속가능한 발전, 2023
[학술발표] 함경도 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
626돌 세종날 기념 전국 국어학 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3-05-12
626돌 세종날 기념 전국 국어학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23, 29-50
강의
2025-1학기
한국어의뿌리와역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3583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학852)
,
수 5~5
(학852)
일상생활속의한국어와변이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G1889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4
(인102)
2024-2학기
한국어음운과문자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3577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2
(학853)
,
금 3~3
(학853)
음운론세미나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G1884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금 5~6
(인101)
2024-1학기
한국어의뿌리와역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3583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화 3~3
(학852)
,
목 2~2
(학852)
한국어방언학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G1880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인105)
2023-2학기
2023-1학기
1학년세미나(인문대)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0845 분반 01
1학년 (
1학점
목 7~7
인문학에서 길 찾기 / 인문관519호
한국어의뿌리와역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3583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포360)
,
수 5~5
(포360)
한국어음운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G1112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인105)
2022-2학기
한국어음운과문자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3577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화 6~6
(포360)
,
목 4~4
(포360)
한국어음운론특강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G1144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4~5
(인102)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