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옥경 교수는 사회과학대학 소속 교수로 사회복지학 실천/임상 분야 연구의 권위자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지역사회정신보건,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윤리 및 인권, 통일사회복지, 그리고 한국사회복지역사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6년 6월 임기 2년의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2010년-2011년에는 한국사회복지학회장을, 2005년에는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장을 지냈다. 2012년부터 SCOPUS 등재지인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Wiley Publishing)의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캄보디아 Royal University of Phnom Penh에 Social Work master program 을 운영하고 있다.
Social Indicators Research 등 SSCI급 국제학술지 게재를 비롯해 현재까지 단독논문 28편과 공동논문 27편 등 총 5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 『지역사회정신건강』(나남출판) 『Family and New Governance』(Ewha Womans University Press) 등 단독저서 4권이 있고 『사회복지실천론』(나남출판) 등 공동저서 11권이 있으며 『여성과 사회복지』(이화여대출판부), 『사회복지와 탄력성』(나눔의집) 등 편저서, 번역서가 있다. 이 저술들 중 6권은 대한민국학술원과 문화관광부로부터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교내에서는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 경력개발센터원장, 대외협력처장 등을 지냈다. 2013년 중국 길림사범대학 종신 명예교수로 위촉되었으며, 유니세프한국위원회와 삼성생명공익재단을 비롯하여 다수의 공익재단에서 이사로 봉사하고 있다.
연구관심분야
정신보건, 사회복지역사, 통일사회복지, 사회복지윤리 및 인권, 가족복지
연구실적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psychological distress in social workers in Singapore and South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International Social Work, 2024, v.67 no.3, 730-745
The Effects of Difficulties Due to COVID-19 on Mental Health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사회복지실천과 연구, 2021, v.18 no.3, 121-160
The effects of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capital on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through personal growth initiative among youth in out-of-home care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2020, v.14 no.2, 85-98
[학술지논문]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psychological distress in social workers in Singapore and South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SOCIAL WORK, 2024, v.67
no.3
, 730-745
SSCI
[학술지논문] 통일억제 인식의 유형화 및 통일태도와의 영향 관계 분석
문화와 정치, 2024, v.11
no.2
, 105-147
[학술지논문] 재난 중 조직지원과 일선 사회복지사의 레질리언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싱가포르의 사례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2023, v.51
no.4
, 135-165
KCI
[학술지논문]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Discriminatory Behavior Toward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PSYCHIATRY INVESTIGATION, 2022, v.19
no.6
, 480-487
SSCI
[학술지논문] 국가인권위원회 각하 결정례 분석 : 국민의 사회권 보호를 중심으로
사회복지법제연구, 2022, v.13
no.2
, 353-382
KCI
[학술지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아동권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한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022, v.26
no.1
, 83-114
KCI
[학술지논문] 사회복지사의 공감 측정도구 개발 연구
미래사회복지연구, 2022, v.13
no.3
, 133-164
KCI
[학술지논문] The effects of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capital on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through personal growth initiative among youth in out-of-home care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2020, v.14
no.2
, 85-98
Scopus
[학술지논문] 아동·보호자·교사의 아동권리인식 수준 비교 연구 '아동 최선의 이익'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020, v.24
no.4
, 641-664
KCI
[학술지논문] 통일시대 사회복지실천 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
보건사회연구, 2020, v.40
no.3
, 592-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