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희 교수는 동양철학과 동서비교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학(西學)으로 불리는 르네상스기 유럽 학술의 동아시아 전이에 관해 연구하면서 다양한 주제로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마테오 리치와 주희, 그리고 정약용>, <서학, 조선 유학이 만난 낯선 거울>, <숙종 시대 문명의 도전과 지식의 전환> 등의 연구서를 썼고 <하빈 신후담의 돈와서학변>을 번역했으며 <8개의 철학지도>, <나를 공부할 시간>, <동양철학스케치>, <철학이 나를 위로한다>, <팝콘을 먹는 동안 일어나는 일> 등의 교양서를 출간했다.
연구실적
[학술지논문] Seongho Yi Ik’s New Approach to Zhijue 知覺and Weifa 未發: Stimulation by Western Learning and the Expansion of Confucianism
RELIGIONS, 2023, v.14
no.2
, 1-18
AHCI
Seongho Yi Ik's New Approach to Zhijue(sic) and Weifa(sic): Stimulation by Western Learning and the Expansion of Confucianism
RELIGIONS, 2023, v.14 no.2, 266
『맹자』의 부동심 논의에서 도덕성의 신체화와 정약용의 재해석
다산학, 2022, v.41, 73-137
성호학에서 사칠론의 한 분기: 신후담에서 이병휴까지
동양철학연구, 2022, no.109, 73-108
영혼(靈魂)에서 인성(人性)으로―『성학추술(性學觕述)』의 철학적 인간학과 유교적 변용―
민족문화연구, 2022, no.94, 247-286
통속 윤리의 시대, 유교 사회의 분화 — 최성환의 권선서(勸善書) 출판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21, no.105, 35-74
『전체신론』에서 『신기천험』으로 -서양 의학의 동아시아 유입과 신체에 관한 최한기 사유의 도전-
국제어문, 2020, no.84, 37-77
남북한(南北韓)의 거울에 비친 실학(實學)과 다산(茶山)
시대와 철학, 2020, v.31 no.4, 7-44
신체, 시선, 권력:조선 후기 여성 소설 『박씨전』의 재고찰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2020, v.13 no.1, 173-201
인체 이론과 심 이론의 통합과 분리 ─ 『의령』에서 『맹자요의』까지 서학을 통한 다산의 인간 이해의 변화
다산학, 2019, no.34, 113~158
조선 후기 유서(類書)와 서학(西學)―『성호사설』과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9, no.83, 45~91
조선 후기 지적 승인의 이념과 그 변용: 예수회의 세계 지도와 지리학 도입을 중심으로
유교사상문화연구, 2019, no.77, 305~339
THE CHALLENGE OF WESTERN LEARNING AS HETERODOXY: RE-READING THE SONGHO SCHOOL'S CONTROVERSIES AND CONFLICTS OVER WESTERN LEARNING IN CHOSON
Acta Koreana, 2016, v.19 no.2, 193-216
19세기 영남 남인의 서학 비판과 지식 권력: 류건휴의 이학집변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2015, v.51, 451-486
19세기 지식장의 변동과 문명의식: 홍한주, 이규경, 최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2015, v.49, 207-252
근대 전환기 문명의 분리와 중첩― 유인석과 이기를 중심으로 ―
온지논총, 2015, v.43, 243-284
대진의 인간 이해-情과 知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15, v.43, 395-432
전근대 문헌의 公刊과 근대적 호명 -근대 계몽기 지적 公認의 변화
민족문화, 2015, v.46, 257-283
신체성, 일상성, 실천성, 공공성 : 성호 이익의 심학(心學)
한국실학연구, 2014, 28호, 77-123
최한기를 읽기 위한 제언: 근대성과 과학의 관점에서
철학사상, 2014, 52호, 67-96
[학술지논문] 『맹자』의 부동심 논의에서 도덕성의 신체화와 정약용의 재해석
다산학, 2022, v.41
no.0
, 73-137
KCI
[학술지논문] 성호학에서 사칠론의 한 분기: 신후담에서 이병휴까지
동양철학연구, 2022, v.0
no.109
, 73-108
KCI
[학술지논문] 영혼(靈魂)에서 인성(人性)으로―『성학추술(性學觕述)』의 철학적 인간학과 유교적 변용―
민족문화연구, 2022, v.0
no.94
, 247-286
KCI
[학술지논문] 통속 윤리의 시대, 유교 사회의 분화 — 최성환의 권선서(勸善書) 출판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21, v.0
no.105
, 35-74
KCI
[저역서] 숙종 시대 문명의 도전과 지식의 전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2, 200
[저역서] 에코테크네 기술비평
도서출판선인, 2021, 360
강의
2023-1학기
인문학으로세상읽기
학수번호 10956 분반 01
학년 (
1학점
, 1.5시간)
원격강의
동서양의인간이해
학수번호 11046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교)
,
목 5~5
(153)
유가철학
학수번호 34368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생활609)
,
수 2~2
(생활609)
동양근세철학연구
학수번호 G13857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인205)
2022-2학기
인문학으로세상읽기
학수번호 10956 분반 01
학년 (
1학점
, 1.5시간)
원격강의
한국철학
학수번호 20231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포367)
,
수 2~2
(포367)
도가철학
학수번호 34370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수 3~3
(포358)
,
금 2~2
(포358)
동양고대철학
학수번호 G1840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인205)
2022-1학기
유가철학
학수번호 34368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포555)
,
수 2~2
(포555)
한국유가철학
학수번호 G13658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인205)
2021-2학기
한국철학
학수번호 20231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
목 3~3
도가철학
학수번호 34370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
수 2~2
동서철학의사유범주
학수번호 G1390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인205)
2021-1학기
1학년세미나(인문대)
학수번호 10845 분반 17
1학년 (
1학점
월 7~7
(인205)
나와 세상을 이해하기 위한 철학지도
동양근세철학
학수번호 20233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인205)
,
목 3~3
(인205)
유가철학
학수번호 34368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인205)
,
수 2~2
(인205)
신유가연구
학수번호 G1365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5~6
(인205)
2020-2학기
한국철학
학수번호 20231 분반 01
4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
수 2~2
동양인식론연구
학수번호 G1389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6
(인205)
2020-1학기
고전읽기와글쓰기
학수번호 11094 분반 08
2학년 (
2학점
, 3시간)
월 7~7
(캠)
,
수 6~6
(219)
수강대상:공대, 공대외수강불가 / 선수과목: 우리말과글쓰기
동양근세철학
학수번호 20233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학410)
,
수 2~2
(학410)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