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석사, 박사과정을 마치고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법교육을 전공하였으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에서 선임 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7차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 한국방송 뉴스 자문, 논술경시대회 등을 주관하였다. 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학회, 한국문법교육학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등 학회에 이사 및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연구실적
(한)국어교육 분야의 개념적 은유 연구 동향 분석
청람어문교육, 2024, v.0 no.98, 37-72
國語 慣用 表現의 敎育 內容에 대한 批判的 檢討
어문연구(語文硏究), 2022, v.50 no.3, 287-332
중국 초·중·고『어문』교과서의 편지 텍스트 교육내용 분석 및 교육적 시사점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2022, v.26 no.3, 263-278
한국어 교재 내 편지 텍스트의 격식성 반영 양상 고찰
작문연구, 2022, no.52, 207-243
한국어 교재의 편지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교재 내 텍스트 제시 양상 및 학습자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2022, v.11 no.3, 259-293
고등학교 ‘실용 국어’의 직무 어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법 교육, 2021, v.43, 225-260
국어과 문법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미국 공통핵심기준(CCSS)의 언어 영역 성취기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021, v.25 no.6, 472-495
미국 공통핵심기준(CCSS)의 ‘언어(Language)’ 영역의 내용 체계 분석
국어국문학, 2021, no.195, 387-426
고령친화 소통환경 조성을 위한 비노인 참여자들의 노인 의사소통 문제 인식 조사 -세대 간 소통, 교육 소통, 의료 소통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20, v.86, 45-87
국어 문법 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020, v.24 no.2, 154-166
국어 문법교육 내용으로서의 ‘쟁점’의 재조명
국어국문학, 2020, no.191, 107-148
노년층을 위한 국어문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요구 조사 분석 연구
어문학, 2020, no.149, 3-49
청소년 ‘느린 학습자’의 독서 지원을 위한 텍스트 수정 사례 연구
독서연구, 2019, no.50, 71-110
한국어 교사는 ‘교재의 실제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국어국문학, 2019, no.188, 151-183
한국어 교재의 실제성 평정 척도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019, v.23 no.4, 265-276
‘국어에 대한 태도’ 교육의 현황과 새로운 전개
한말연구, 2018, no.50, 5~34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쟁점 반영 양상 연구
문법 교육, 2018, v.32, 1~32
(한)국어 교재의 실제성 논의의 새로운 방향
국어교육, 2017, no. 159, 339~370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language Textbook Selection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국어교육학연구, 2016, v.51 no.5, 171
‘국어 문법 교사’와 문법 교육
문법 교육, 2016, v.28, 1
국어과 교재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예비 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예비 국어교사들의 교재 평가기준 적용 양상 분석을 토대로
국어교육, 2016, v.154, 165~198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신문 매체 텍스트의 한자어 이해 양상 연구: 한자 난도와 세대에 따른 양상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016, no.41, 49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새국어교육, 2016, v.107, 135~171
한국어의 교육: 越境과 統合
국어국문학, 2016, no.177, 41
A study on Sino-Korean word usage aspects as subjects of articles in online newspapers and traditional newspap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2015, v.10 no.18, 39345-39348
교과 어휘의 기능 분류에 따른 교과 학습 어휘의 개념 설정-국어․사회과 교과서 어휘 구성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2015, v.104, 261-293
청소년어에 관한 청소년 문식 실천의 사례 연구
국어교육연구, 2015, v.36, 383-424
PBG(Problem Behavior Graph)를 이용한 문법 탐구 과제 해결 과정 분석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2호, 549-581
국어 정책 통계 자료의 체계화 방안 연구
국어국문학, 2014, 168호, 153-178
국어교육의 최전선- 현대문학 텍스트의 교육적 소통에 관한 소론
한국언어문화, 2014, 54호, 55-88
문법 탐구 과제 설계를 위한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 문항 분석
국어교육, 2014, 145호, 27-60
문법 탐구 과제의 해결 경험에 대한 학습자 반응 사례 연구
문법 교육, 2014, 제21권, 27-65
신문기사의 청소년 언어문화 재현 양상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2014, 54호, 61-100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국어 교과서 선정 기준 연구
국어교육연구, 2014, 33호, 391-417
[학술지논문] (한)국어교육 분야의 개념적 은유 연구 동향 분석
청람어문교육, 2024, v.98
no.0
, 37-72
KCI
[학술지논문] 중국 語文 교과의 成語 교육 현황 및 국어과 한자성어 교육에의 시사점 : 교육과정과 대입 시험 평가 문항의 분석을 중심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2024, v.52
no.4
, 225-263
KCI
[학술지논문] 國語 慣用 表現의 敎育 內容에 대한 批判的 檢討
어문연구(語文硏究), 2022, v.50
no.3
, 287-332
KCI
[학술지논문] 중국 초·중·고『어문』교과서의 편지 텍스트 교육내용 분석 및 교육적 시사점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2022, v.26
no.3
, 263-278
KCI
[학술지논문] 한국어 교재 내 편지 텍스트의 격식성 반영 양상 고찰
작문연구, 2022, v.0
no.52
, 207-243
KCI
[학술지논문] 한국어 교재의 편지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교재 내 텍스트 제시 양상 및 학습자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2022, v.11
no.3
, 259-293
KCI
[학술지논문] 고등학교 ‘실용 국어’의 직무 어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법 교육, 2021, v.43
no.0
, 225-260
KCI
[학술지논문] 국어과 문법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미국 공통핵심기준(CCSS)의 언어 영역 성취기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021, v.25
no.6
, 472-495
KCI
[학술지논문] 미국 공통핵심기준(CCSS)의 ‘언어(Language)’ 영역의 내용 체계 분석
국어국문학, 2021, v.0
no.195
, 387-426
KCI
[학술지논문] 고령친화 소통환경 조성을 위한 비노인 참여자들의 노인 의사소통 문제 인식 조사 -세대 간 소통, 교육 소통, 의료 소통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20, v.86
no.0
, 45-87
KCI
[학술지논문] 국어 문법 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020, v.24
no.2
, 154-166
KCI
[학술지논문] 국어 문법교육 내용으로서의 ‘쟁점’의 재조명
국어국문학, 2020, v.0
no.191
, 107-148
KCI
[학술지논문] 노년층을 위한 국어문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요구 조사 분석 연구
어문학, 2020, v.0
no.149
, 3-49
KCI
[저역서] 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입문
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413
[연구보고서]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177-185
[학술발표] 느린 학습자를 위한 학교 국어 수업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어교육학회 제298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2024-10-29
정서적 치유와 성장을 위한 (한)국어교육, 2024
[학술발표] 국어과와 타 교과 간 중복 교육내용 요소에 대한 비판적 검토: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의사소통' 관련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제46회 한국화법학회 전국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05-13
인공지능, 인간과 기계의 의사소통, 2023
[학술발표] 중학교 국어과 기초학력부진반 수업 사례 연구: '느린 학습자'의 학습 참여 양상 변화를 중심으로
제141차 한국국어교육학회 전국학술대회, 대한민국, 2023-06-10
(한)국어 교사 되기, 살아남기, 성장하기, 2023
[학술발표] 국어 관용 표현의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235회 全國 學術大會, 대한민국, 2022-04-16
제235회 全國 學術大會 자료집, 2022, 449-472
[학술발표] 국어교사 교육을 위한 변혁적 역량 중심 국어과 교수법 강의 사례 연구: 국어 수업 설계 및 실행에서의 교사 행위자성 강화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제294회 전국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10-07
변혁적 역량을 준비하는 (한)국어교육의 생태계: 미래로 나아가는 교사, 2022, 281-298
[학술발표] 고등학교 실용 국어의 직무 어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제35차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08-14
뉴노멀 시대의 문법 평가, 2021
[학술발표] 국어 교사의 '느린 학습자' 교육 경험과 인식
2020 한국어교육학회/한국독서학회 공동 학술발표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0-09-19
언어복지와 교육, 2020, 533-552
[학술발표] 대학 교양 과목 <교육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실제>의 개발 및 운영 사례
제72회 전국학술발표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0-11-07
미래 사회 변화와 교육커뮤니케이션, 2020, 189-200
강의
2025-1학기
교육문법의이해
학수번호 36489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캠)
,
목 3~3
(157)
'교육문법연습' 기수강자 수강 불가
한국어창의성교육세미나
학수번호 G1606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2~3
(캠)
교육실습II(학교현장실습)
학수번호 ED114 분반 01
학년 (
2학점
, 2시간)
국어학과문법교육
학수번호 KN15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교)
2024-2학기
국어학개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468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3
(교)
국어학개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468 분반 02
1학년 (
3학점
, 3시간)
목 2~3
(교)
교육문법연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G1608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2~3
(캠)
문법교육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KN15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2024-1학기
1학년세미나(사범대)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0857 분반 21
1학년 (
1학점
월 7~7
책 읽는 국어교사: 독서를 통한 국어교육 역량 강화
국어교육학개론
학수번호 36470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교)
,
수 5~5
(154)
5인팀티칭
국어교육학개론
학수번호 36470 분반 02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교A406)
,
목 5~5
(교A406)
5인팀티칭
국어문법교육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487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교)
국어학개론 기수강자만 수강 가능
문법교육연구동향탐구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G1605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3~4
(캠)
국어교육연구방법세미나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KN35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2023-2학기
국어학개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468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수 4~5
(포359)
청소년언어교육연구
학수번호 G1608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3~4
(캠)
국어학과문법교육
학수번호 KN15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2023-1학기
1학년세미나(사범대)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10857 분반 20
1학년 (
1학점
목 7~7
책 읽는 국어교사: 독서를 통한 국어교육 역량 강화
국어문법교육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487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교)
문법교육론연구
학수번호 G1604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3~4
(캠)
문법교육론
학수번호 KN15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2022-2학기
국어학개론
학수번호 36468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수 6~7
(교)
언어연구와문법교육
학수번호 G1608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2~3
(교)
강의실변경
한국어어휘론과어휘교육
학수번호 KN24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